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메타버스 여행법] 점프 점프! 제페토에서 뛰어 보자, 팔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아이템을 선물로 받게 되는 건 기분 좋은 덤이죠. ●블랙핑크 멤버들의 아바타가 게임 시작 전에 등장하지만, 게임 자체는 블랙핑크와 큰 관련이 없답니다. 매직트리 4 동화 가 생각나는 점프 게임이에요. 함정을 피해 하늘에 닿을 듯 끝없이 솟아오른 나무 줄기 위를 빙글빙글 ... ...
- [DATA MATH] 소행성의 궤도를 바꾼 치밀한 계산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로스앨러모스국립연구소 연구원은 대학원에서 응용수학을 전공하면서 소행성 연구를 시작했다고 해요. 그때 연구했던 소행성은 ‘16 프시케(16 Psyche)’로, 알려진 소행성 중 17번째로 크고 10번째로 무거운 소행성이지요. 당시 NASA에서 16 프시케를 수학적으로 모형화하는 연구 주제가 있었고 ... ...
- [러셀 탐구생활] 제1장, 러셀을 사랑한 이유수학동아 l2023년 01호
- ‘팬’이 됐답니다. 지금 제 휴대전화의 배경화면도 러셀의 사진이에요! ◆ 연재를 시작하며 ◆ 제가 러셀의 팬이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던 이채린 기자님이 제게 러셀에 관한 연재를 부탁했습니다. 덕분에 저의 팬심을 에 쏟을 수 있게 되었네요. 분명 여러분도 저만큼이나 러셀의 ... ...
- [어수티콘 사전] 자연수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되었나요? 수달 : 아주 먼 옛날 사람들은 어떤 물건의 개수를 세기 위해 수를 사용하기 시작했어요. 물건이 한 개 있으면 1, 다섯 개일 땐 5, 백 개일 땐 100으로 나타냈지요. 이렇게 수를 세다 보니 자연수가 일상에서 가장 자연스럽게 자주 사용하는 수로 자리 잡은 거예요. 어수동 : 그렇다면…, ... ...
- [출동, 수학 히어로! 슈퍼M] 버스 번호에 숨은 비밀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빨간색 광역버스 중 앞자리가 9로 시작하는 버스는 서울시가 운영하는 버스, 9로 시작하지 않는 버스는 경기도에서 운영하는 버스랍니다. 용어 설명 환승★ 다른 노선이나 교통수단으로 갈아타는 것을 말해요. 수도권★ 수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대도시권을 말해요. 우리나라의 수도권은 ... ...
- [기고] 선진국·개발도상국 한 목소리 "기후변화 대응, 다시 전진할 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별도의 펀드를 조성한다는 원칙적 합의까지 이끌어냈다. 시작은 위태로웠다. 정치적경제적 상황이 역대 어느 총회보다 어려웠기 때문이다. 우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장기화되면서 국제 유가와 가스 가격은 계속 상승했다. 겨울까지 다가오자 여러 국가가 ... ...
- [뉴스&인터뷰] 형보다 나은 아우, 차세대 쇄빙연구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기후변화 연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북극 기후에서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연구가 시작될 수 있겠죠.” 주 단장은 인터뷰를 마무리하며 과학동아 독자들에게 차세대 쇄빙연구선 안에서 만날 수 있길 바란다고 인사를 남겼다 ...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 공룡 화석 발굴 게임을 해봤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돌아오는 전자기파를 수신할 수 있죠. 그럴듯한 신호를 발견했다면 그때부터 삽질을 시작합니다. 삽과 곡괭이로 땅을 파헤치며 땀 좀 흘리다 보면 중생대 시기의 암반을 찾을 수 있을 거예요(색이 살짝 다릅니다). 불필요한 바위를 깨어 내면 금방 공룡 화석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화석이 운반 도중 ... ...
- [기획] 나노 세계에 0차원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볼 수 있는 바이오 이미징 기술에 사용됩니다. 삼성디스플레이가 2000년대 초부터 연구를 시작해 2022년 1월 미국 ‘소비자 가전 전시회(CES) 2022’에서 최초로 상용화 기술을 선보인 차세대 TV, 퀀텀닷 디스플레이는 0차원 나노 물질인 ‘퀀텀닷(양자점)’으로 빛을 냅니다. 퀀텀닷은 무려 스스로 빛을 ... ...
- [5년 후, 과학은]빛과 소리로 몸속을 샅샅이, 광음향 의료영상기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발명가 알렉산더 벨이 실험으로 처음 확인했습니다. 본격적으로 기초연구에 적용되기 시작한 건 1970년대부터입니다. 레이저 발생기, 컴퓨터 및 초음파 감지 기술 등 다양한 하드웨어 기술과, 신호 및 영상처리 소프트웨어 기술이 발전하면서 2003년에는 처음으로 실험용 쥐의 뇌 구조 및 기능을 해부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