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뜻밖
의외
생각밖
d라이브러리
"
예상밖
"(으)로 총 1,030건 검색되었습니다.
역대 대통령 과학성적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대통령이란 자리는 한 나라의 모든 정책을 최종 결정한다. 과학기술정책 역시 예외는 아니다. 아니, 어쩌면 과학기술 정책이야말로 대통령의 태도에 가장 크게 영향받는 분야인지도 모른다. 대통령의 과학점수를 따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대덕연구단지 연구원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우스갯 소리 ... ...
2 유전자 이용, 수명연장·암 치료 현실화 눈 앞에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생체 내에 존재하는 효소는 생물공학의 발전과 함께 생체 밖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식품 의약 화학공업 유전공학 에너지 환경 등의 분야에서 이용되는 효소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생체 내에는 약 2천여종 이상의 효소가 있다. 이 효소는 생체 내에서 일어나는 모든 종류의 신진대사에 관여한다. 한 ... ...
3. '지구의 허파' 열대우림 파괴는 어떤 핵전쟁보다 끔찍한 일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가이아 이론이 지구환경오염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은 조금 독특하다. 이 이론은 인간을 가이아를 구성하는 한 요소로 끌어내렸지만, 지구 자체의 자기조절 능력을 강조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향도 있다."백인은 맹목적인 이방인이며 필요로 하는 것은 무엇이든 자연에서 얻 ... ...
4. 극저온·초고온에 견디는 신소재를 찾아라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로켓개발의 핵심기술 중의 하나는 재료다. 재료개발 없이는 오늘날 인류가 우주를 정복할 수 있는 기회는 오지 않았을 것이다.제2차 세계대전 말기에 폰 브라운 박사팀에 의해 완성된 V2 로켓 개발을 시작으로 오늘날에는 군사용을 비롯하여 통신 관측 과학 및 우주개발을 위한 다양한 로켓이 연구 ... ...
1. 세계가 자랑하는 대형로켓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일본이 H2 로켓을 쏘아올림으로써 방송통신위성을 지구정지궤도에 올릴 수 있는 나라는 5개국으로 늘어났다. 이들 '로켓 빅5'는 상업용 인공위성 발사시장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지난 2월 4일 일본은 자체 기술로 개발한 H2 로켓을 쏘아올렸다. 이로써 일본인 명실상부한 로켓개 ... ...
3. 염색체의 DNA에 투과, 인위적 돌연변이 유발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일견 무시무시하게만 느껴지는 방사선 피폭은 육종학 분야에서 이미 적극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문제가 되는 것은 인체 방사능 피폭의 유전적 영향인데…편집광적으로 집념이 강하면서도 자신의 연구분야에서는 특출한 재능을 가진 한 과학자가 어느날 실험실에서 방사선에 노출된다. 이 사고로 ... ...
화학- 고대 4원소설에서 원자설 태어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고대 그리스 자연철학자들의 사색으로부터 출발한 물질에 대한 탐구는 연금술을 거쳐 근대에 들어 질량보전의 법칙이 설파되고 입자설 원자설을 지나 오늘에 이르고 있다.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은 우주에 합리성이 내재돼 있다고 믿고 이것을 발견하고자 했다. 우주의 조화와 형체의 완전함 ... ...
PART.3 어떤 드라이브를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CD-ROM을 사기로 작정했다면 전송률, 평균 액세스시간, 버퍼의 크기를 확인하라. 그리고 내 컴퓨터와 인터페이스 방식이 호환되는지를 살펴라.물건을 구입하는 과정을 생각해보자. 사람들은 대개 늘상 써왔던 물건이 아니라면 구매과정에서 꼬리표에 부착된 제품 특성을 먼저 읽는다. 가령 그것이 ... ...
물리- 빛은 공간 자체가 매질이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빛의 매질을 에테르로 가정하고 에테르에 대한 지구의 절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이 시행됐으나 결과는 불가능이었다. 결국 빛은 매질이 필요없고 빛의 속도는 누구에게나 똑같다는 결론이 내려졌다.빛의 속도를 최초로 재려고 시도한 사람은 뉴턴이었다. 그는 달도 없는 깜깜한 밤에 멀리 떨 ... ...
기초과학 연구의 상징 SSC 건설계획 중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거대과학은 사멸하는가. 게놈 계획, 우주정거장(프리덤)과 함께 거대기초과학의 상징물로서 세계 과학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초전도거대가속기(SSC) 건설이 중지됐다. 작년 말 미국 상하양원협의회에서 SSC건설을 중지하기로 결정한 것. 전체 길이 87km 중 14.7km의 굴착공사가 진행되던 상황에서 이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