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완전
완비
천의무봉
완전무결
완성
마무리
극치
d라이브러리
"
완벽
"(으)로 총 2,300건 검색되었습니다.
35.9% 지지율로 서울시장?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기준에 합격하지 못한다는 점이 다소 실망스럽다. 이처럼 선거 방법이 원천적으로
완벽
하지 못하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특정 선거 방법에 의해 1등을 한 사람은 불완전하고 잠정적인 당선자일 뿐이다. 따라서 당선자는 조금 더 겸손한 마음을 갖고 자신을 지지하지 않은 다수의 의견에 귀를 여는 ... ...
김주황의 악당예찬1 - 배터리가 된 인간 일렉트로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적인 해리 오스본이 아니라 매그니토와 손을 잡아야 한다! 전기와 자기장은 서로
완벽
하게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사이다. 나침반 주변에 전선을 감고 전류를 흘리면 자기장이 만들어진다. 또 발전기는 자석을 이용해 유도 전류를 만드는 발명품이다. 일렉트로와 매그니토 둘이 만나서 세계를 정복하는 ... ...
김주황의 악당예찬4 - 스스로 진화하는 로봇 울트론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단을 내리고 실행한다.한 가지 더. 울트론은 인공지능으로 끝나는 것이 아 니라 사람처럼
완벽
하게 움직일 수 있는 로봇이다. 지난 해 12월 ‘DARPA 로보틱스 챌린지’를 보면 로봇이 자율 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얼마나 어렵고 복잡한 일인지 엿 볼 수 있다. 세계에서 내로라하는 로봇이 모였지만 ‘주 ... ...
김주황의 악당예찬6 - 창 하나로 세뇌시킬 수 있을까 로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거꾸로 뇌에서 활성 화 된 부분을 찾아 영상으로 복원한다. 아직은 눈으로 봤던 영상을
완벽
하게 재현하지는 못하고, 단지 유사한 형태의 덩어리가 움직이는 정도는 재현할 수 있다.이처럼 생각을 읽는 것도 어려운 상황에서 조종은 가능할까. 로키는 호크아이와 셀빅 교수를 자신의 편 으로 만들 뿐 ... ...
캡틴 아메리카, 준결정의 비밀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소콜라 타일이 완전한 답은 아니라고 본다. 이 때문에 아직까지 ‘단 하나의 돌’에 대한
완벽
한 해답은 찾지 못한 상태이다.5. 준결정의 숨겨진 비밀, 황금비펜로즈 타일링을 이해하면 준결정의 구조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는 말이군. 준결정의 비밀을 풀기 위해 수학자들과 과학자들이 펜로즈 ... ...
황우석 대 오보카타 하루코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이 때문이다.황우석 사건은 변질된 현대과학의 현장에서 그가 어떻게 과학적 규범을
완벽
하게 무시하고 연구를 날조해 사기극을 벌이게 되었는지를 보여주는 가장 좋은 사례다. 반면 오보카타 사건은 변질된 현대과학 시스템에서도 여전히 머튼의 규범이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도 ... ...
수학 문제 증명했더니 그 크기가 무려 13GB?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있죠.그렇다면 이번에 증명하신 내용이 에르도스 불일치 문제를 풀어낸 건가요?정확히
완벽
한 증명이라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불일치 값이 2가 되는 수열의 항의 개수가 최대 1161개 라는 것을 밝혀낸 것뿐이니까요. 그래도 에르도스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는 실마리는 제공했다고 생각합니다.그 ... ...
4회 K의 은신처를 탈출하라!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일리가 있어. 그림에 어떤 규칙이라도 있는 건가?”“네! 이 그림을 세로로 반을 접으면
완벽
하게 대칭이 될 거예요. 일부 검은 칸이 지워졌지만, 남아 있는 검은 칸을 보면 알 수 있어요.”고장난 벽시계?!“반장님, 아무래도 이상해요. 이 방 곳곳에 퍼즐이 숨겨져 있고, 그 퍼즐의 정답은 모두 수로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과학이 아니라고 할 정도다. 그런데 불확정성원리가 이들을 가로막았다! “그건 절대로
완벽
하게 측정할 수 없어, 원래 아무도 몰라”라는 말이 물리학자들에게는 눈엣가시였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이 불확정성 원리를 부정하려다가 망신 당하는 것을 본 터라 대부분 인정할 수 밖에 없었다. ... ...
PART 3. 인간의 역사를 바꾼 꽃의 유혹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인간꿀벌’이 이 향기에 매혹됐다. 대표적인 꽃이 사프란이다.향기로 유명한 사프란은
완벽
하게 좌우 대칭인 꽃망울을 틔우는 매력적인 알뿌리 식물이다. 사프란의 독특한 향은 ‘사프라날’이라는 화학 물질 때문이다. 1653년 니콜라스 컬페퍼가 펴낸 ‘약용식물전집’에는 “사프란의 암술을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