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의"(으)로 총 1,79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수학과 과학은 서로 다르다수학동아 l2011년 04호
- 하지만 과학에선 이를 궁금해하지 않죠. 때때로 실험결를 쉽게 나타내기 위해 수학에서 정의한 점과 선을 이용할 뿐이죠.또 다른 예를 들어 볼까요. 최신 수학의 큰 흐름 중 하나가 물리학 문제를 푸는 겁니다. 기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볼츠만 방정식도 수학자들의 관심사지요. 수학자들은 볼츠만 ... ...
- PART 2 수학이 밝히는 자전거의 5가지 신비수학동아 l2011년 03호
- 걸어가는 게 낫다.” 이렇게 설명해 보지만 왜 둥근지에 대한 답은 될 수 없다.이때 원의 정의를 알면 답이 보인다. 원은 ‘한 고정점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점들의 집합’을 말한다. 원 모양의 바퀴는 움직이는 동안 바퀴의 중심이 언제나 땅에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한다. 삼각형이나 사각형 바퀴와 ... ...
- 게임으로 수학 배운다수학동아 l2011년 03호
- 10개의 수가 나온다고 해. 포지스는 1보다 큰 수 중에서 1로 끝나는 수를 ‘행복한 수’로 정의했어.예를 들어, 19라는 숫자를 살펴볼게. 19는 십의 자리가 1, 일의 자리가 9야. 12과 92을 더하면 82가 돼. 다시 82과 22을 더하면 68이 나오지. 이렇게 반복하다 보면 결국 1로 끝나니 19는 행복한 수야. 지금 바로 ... ...
- 우리 집 家 도 혹시 병든 집?과학동아 l2011년 03호
-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집안이 화목해야 모든 일이 술술 풀린다는 뜻이다. 집이 사람에게 심리적인 영향만 끼치는 것은 아니다. 집이 건강해야 사람도 건강하게 살 수 있 ... 한다고 권고한다. 가화만사성을 넘어, ‘가건만사성(家健萬事成)’이라는 새로운 정의를 내리고 있는 것이다 ... ...
- 굿 바이! 킬로그램의 어머니!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와트 밸런스는 몇몇 선진국에만 있다.2011년 10월 국제도량형총회가 열리면 새로운 질량의 정의가 탄생한다. 아보가드로 상수와 플랑크 상수 중 과연 어느 것이 새로운 질량의 표준으로 등극할지는 아직 알 수 없다. 하지만 비록 정확성에서는 다소 떨어진다고 해도 1kg의 기준을 명료하고 직관적으로 ... ...
- 진정한 꿈을 찾는 기나긴 여정과학동아 l2011년 03호
- 가야할 길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도 있을 거야.” K학생은 어떤 꿈을 가질 수 있을까? 정의로움을 추구하는 사람인지, 생명을 존중하는 사람인지, 새로운 모험을 추구하는 사람인지, 어느 쪽이냐에 따라 앞으로 거쳐야 할 과정은 완전히 달라진다. “어떤 일을 할 때 가장 보람을 느끼고 가치가 ... ...
- 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과학동아 l2011년 03호
- 모든 집단이 시공간을 아우르면서 끊임없이 유전자를 교환했다면, 생물학의 ‘종’의 정의에 따라 유전자를 교환할 수 있는 모든 집단은 하나의 종에 속하게 된다. 즉 호모 에렉투스와 호모 사피엔스는 결국 같은 종이 된다.실제로 다지역연계론의 주창자 밀포드 월포프 미국 미시건대 인류학과 ... ...
- Part 1. 역사 속의 최초, 그녀는 누구?수학동아 l2011년 03호
- 될 때 그 소수 p가 페르마의 정리를 만족시키는 것을 증명했는데, 이 소수는 그녀가 정의해 *소피 제르맹 소수라 불린다. 그녀는 이후 물리학의 탄성론에도 많은 업적을 남겨 파리아카데미로부터 상을 받았다. 소피 제르맹이 18세기를 대표하는 여성수학자였다면, 소피아 코발레프스카야와 에미 ... ...
- 화산 신이 남겨놓은 돌기둥 병풍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주상절리를 ‘용암이 지표에서 식으면서 굳을 때 만들어진 기둥 같은 쪼개짐’이라고만 정의내리기에는 너무 아찔하게 아름다운 절벽이었다.그 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연구했던 약 35년 동안 국내 여기저기 주상절리를 찾아다녔다. 지질학을 전공하지 않은 일반인이라도 이 돌병풍을 보면 ... ...
- 달라진 융합형 과학 교과서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이 단원을 학습할 때는 나무보다는 숲에 먼저 주목한다. 이야기 속의 단어(혹은 간단한 정의 수준) 정도로 전체 내용을 받아들인 후에, 더 관심 있는 학생들은 세부적인 개념을 파고들도록 하자. 융합형 과학 교과서가 담고 있는 분야가 다양한만큼 다양한 영역과 주제에 대한 독서가 필요하다.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