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의"(으)로 총 1,79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수학의 달은 왜 없는 건가요?수학동아 l2011년 04호
- 20세기에 들어 힘을 조금 주면 물체가 조금 움직이는 당연한 현상을 연속 성질이라 정의하고 연구하는 위상수학이 탄생합니다. 반대로 연속 성질을 따르지 않는 현상을 연구하는 이론도 생겨나는데요. 나비효과로 유명한 카오스 이론이 대표적입니다. 조금만 상황이 달라져도 결과가 완전히 다르게 ... ...
- 우리 집 家 도 혹시 병든 집?과학동아 l2011년 03호
-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집안이 화목해야 모든 일이 술술 풀린다는 뜻이다. 집이 사람에게 심리적인 영향만 끼치는 것은 아니다. 집이 건강해야 사람도 건강하게 살 수 있 ... 한다고 권고한다. 가화만사성을 넘어, ‘가건만사성(家健萬事成)’이라는 새로운 정의를 내리고 있는 것이다 ... ...
- 굿 바이! 킬로그램의 어머니!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와트 밸런스는 몇몇 선진국에만 있다.2011년 10월 국제도량형총회가 열리면 새로운 질량의 정의가 탄생한다. 아보가드로 상수와 플랑크 상수 중 과연 어느 것이 새로운 질량의 표준으로 등극할지는 아직 알 수 없다. 하지만 비록 정확성에서는 다소 떨어진다고 해도 1kg의 기준을 명료하고 직관적으로 ... ...
- 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과학동아 l2011년 03호
- 모든 집단이 시공간을 아우르면서 끊임없이 유전자를 교환했다면, 생물학의 ‘종’의 정의에 따라 유전자를 교환할 수 있는 모든 집단은 하나의 종에 속하게 된다. 즉 호모 에렉투스와 호모 사피엔스는 결국 같은 종이 된다.실제로 다지역연계론의 주창자 밀포드 월포프 미국 미시건대 인류학과 ... ...
- 화산 신이 남겨놓은 돌기둥 병풍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주상절리를 ‘용암이 지표에서 식으면서 굳을 때 만들어진 기둥 같은 쪼개짐’이라고만 정의내리기에는 너무 아찔하게 아름다운 절벽이었다.그 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연구했던 약 35년 동안 국내 여기저기 주상절리를 찾아다녔다. 지질학을 전공하지 않은 일반인이라도 이 돌병풍을 보면 ... ...
- 달라진 융합형 과학 교과서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이 단원을 학습할 때는 나무보다는 숲에 먼저 주목한다. 이야기 속의 단어(혹은 간단한 정의 수준) 정도로 전체 내용을 받아들인 후에, 더 관심 있는 학생들은 세부적인 개념을 파고들도록 하자. 융합형 과학 교과서가 담고 있는 분야가 다양한만큼 다양한 영역과 주제에 대한 독서가 필요하다. ... ...
- 진정한 꿈을 찾는 기나긴 여정과학동아 l2011년 03호
- 가야할 길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도 있을 거야.” K학생은 어떤 꿈을 가질 수 있을까? 정의로움을 추구하는 사람인지, 생명을 존중하는 사람인지, 새로운 모험을 추구하는 사람인지, 어느 쪽이냐에 따라 앞으로 거쳐야 할 과정은 완전히 달라진다. “어떤 일을 할 때 가장 보람을 느끼고 가치가 ... ...
- 집합 바로 알기!수학동아 l2011년 03호
- 벤 다이어그램을 적절히 활용하세요. 연산이나 활용문제는 대부분 두 개 정도의 집합을 정의하고 그에 관련된 집합의 연산법칙이나 원소의 개수에 관련된 공식을 이용해 문제를 해결하도록 해요. 물론 연산법칙으로 풀이과정을 적어 푸는 것이 정석이지만 눈에 보이도록 벤 다이어그램으로 ... ...
- Part 1. 역사 속의 최초, 그녀는 누구?수학동아 l2011년 03호
- 될 때 그 소수 p가 페르마의 정리를 만족시키는 것을 증명했는데, 이 소수는 그녀가 정의해 *소피 제르맹 소수라 불린다. 그녀는 이후 물리학의 탄성론에도 많은 업적을 남겨 파리아카데미로부터 상을 받았다. 소피 제르맹이 18세기를 대표하는 여성수학자였다면, 소피아 코발레프스카야와 에미 ... ...
- 게임으로 수학 배운다수학동아 l2011년 03호
- 10개의 수가 나온다고 해. 포지스는 1보다 큰 수 중에서 1로 끝나는 수를 ‘행복한 수’로 정의했어.예를 들어, 19라는 숫자를 살펴볼게. 19는 십의 자리가 1, 일의 자리가 9야. 12과 92을 더하면 82가 돼. 다시 82과 22을 더하면 68이 나오지. 이렇게 반복하다 보면 결국 1로 끝나니 19는 행복한 수야. 지금 바로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