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능"(으)로 총 2,290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봇공학전공 홀로그램 기술과 딥러닝이 만나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이미징 기법입니다.”문인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가 이끄는 지능형이미징및비전시스템연구실로 들어서자 홀로그래픽 이미징 시스템이 눈앞에 펼쳐졌다. 중앙을 차지한 이 시스템 주변으로 연구원 9명의 책상이 빼곡하게 들어서 있었다. 문 교수는 “홀로그래픽 이미징을 ... ...
- [과학뉴스] 인공지능(AI)으로 초압축성 신소재 개발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연구팀이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새로운 초압축성 신소재를 개발했다.미구엘 베사 네덜란드 델프트공대 재료공학과 교수팀은 사람이 별도의 실험 테스트를 수행하지 않고 AI의 기계학습만으로 새롭고 강력한 초압축성 재료를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0월 14일자 ... ...
- Google 진실을 말해줘~ 1만 년 걸릴 연산 200초 만에 한 거 실화임?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여기저기서 목격됐습니다. 5월 열린 구글 심포지엄에서 하트무트 네벤 구글 양자인공지능연구실장은 “양자컴퓨터의 정보 처리 능력은 기존에 무어의 법칙처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이중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네벤은 6월 미국의 과학전문잡지인 ... ...
- [과학뉴스] 초소형 벌새 로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만들었어요. 그리고 벌새의 비행법을 흉내 내는 인공지능을 로봇에 적용했지요. 이 인공지능은 벌새의 날갯짓 횟수, 비행 궤적, 자세 등의 데이터를 컴퓨터에 입력해 벌새의 비행법을 학습시킨 결과랍니다. 실제 벌새처럼 180° 회전하며, 잠시 동안 공중에서 정지한 채로 있는 것도 가능해요. 1초에 3 ... ...
- 인공지능을 둘러싼 쟁점 I SF에 묻는다 ❹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사람도 물론 생길 겁니다. 애초에 인간이 그렇게 말을 잘 듣는 동물은 아니니까요. 인공지능 유모가 과연 인류에게 좋은 일일지는 각자의 생각에 맡기겠습니다. 고호관건축과 과학사를 공부했고, 동아사이언스에서 과학기자로 일했다. 지금은 SF와 과학에 대한 글을 쓰거나 번역하고 있다. 옮긴 ... ...
- 아픈 돼지 고르는 안면 인식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11호
- 할 수 있을까요? 우리는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중국에서 인공지능(AI) 돼지 안면 인식 기술을 시험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중국으로 떠났어요. 비행기를 타고 중국 쓰촨성에 도착했어요. 중국 전체 돼지의 3분의 1을 살처분해서 그런지 으스스한 느낌이 들었죠. 자칫하면 ... ...
- 더 강하게 돌아왔다, 터미네이터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심판의 날,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스카이넷’은 군사적 목적으로 만든 인공지능 슈퍼컴퓨터다. 인간은 모든 군사 무기와 시스템을 장악한 스카이넷에 두려움을 느끼고 가동을 멈추려 한다. 하지만 이를 눈치챈 스카이넷은 인간 사회를 지키고 있는 방어 시스템을 모두 마비시키고 ... ...
- 법률 자문 놓고 첫 대결 AI 변호사 vs. 인간 변호사 진검승부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스스로 생각하는 강한 인공지능이 아니고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판단하는 약한 인공지능인 만큼 인간 변호사를 완전히 대체하는 건 불가능하다”며 “특히 법률의 경우 종합추론이 필요한 만큼 인간을 대체하기가 더욱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법률 AI는 법률가의 업무를 돕거나 ... ...
- 뇌가 제일 잘나가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무게 약 1.5kg, 약 860억 개의 뉴런(신경세포)으로 이뤄진 기관.인간의 뇌다. 인간 뇌의 가장 큰 특징은 고도화된 지능이다.지능은 뇌의 어느 부위에서 관장하는 것일까. 지능은 ... 어떻게 측정할까Part3. 전교 1등은 지능이 높을까Part4. 지능도 노력하면 좋아지나Part5. 인공 ...
- 지능×뉴런 지능은 어디에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뇌에서 발생하는 이런 변화를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이라고 부른다. 신경가소성을 지능의 변화와 연관시키는 것도 흥미로운 연구 주제가 될 것이다. 권준수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겸 뇌인지과학과 교수다. 유전적, 심리학적, 신경영상학적 기법을 이용해 인간의 정신 능력이나 강박,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