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세
지리
땅모양
지리학
자모
모형
풍수지리
d라이브러리
"
지형
"(으)로 총 1,171건 검색되었습니다.
근대화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매우 희박하다심해저에서 움푹 들어간 좁고 긴 곳으로 급사면에 둘러싸인 해저
지형
대개 수심이 6천m 이상으로 대륙 연안부에 많다건강하고 쾌적한 환경 속에서 인간답게 살 수 있는 권리 소극적인 공해법을 넘어 환경보전을 기본적 인권의 차원으로 끌어올린 적극적 제도이다컴퓨터와 통신기기를 ... ...
거대 바위들의 장엄한 행렬 비슬산 돌강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형성되면 더이상 침식과 퇴적이 일어나지 않는다. 북한에 있는 낙랑준평원이 이런
지형
이다.준평원이 융기해 산지를 형성하면 산 정상부는 평탄하다. 이를 고위평탄면 또는 융기준평원이라고 한다. 돌강이 시작되는 비슬산 정상 부근에도 여의도 면적의 1/3 정도인 약 30여만평에 이르는 ... ...
붉은별 화성이 다가온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밝고 어두운 부분과 선들이 존재한다. 화성의 표면은 숙련된 관측가들에게 꽤 많은
지형
들을 보여준다. 화성 표면의 대협곡이나 높은 산 등은 표면에 어두운 흐릿한 부분으로 나타난다. 이들은 초보자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확연한 특징이다.화성이 흥미를 끄는 가장 큰 이유는 대기의 다양한 ... ...
열대 무더위에 견디도록 단련된 인체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유명한 사이클 경주인 ‘뚜르 드 프랑스’에서 다섯차례나 우승한 에디 메르크스는 험한
지형
에서도 6시간 내내 전속력으로 사이클을 탈 수 있다. 그러나 실내에 고정돼 있는 사이클을 타본 결과 한시간만에 녹초가 돼버렸다. 땀을 비오듯이 흘렸지만 페달을 밟는 격렬한 운동으로 근육에서 생긴 ...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모래사막 해안사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약 4km, 폭 5백m 이상의 넓은 사구지대가 형성돼 있다. 바람과 모래가 만들어내는 특이한
지형
이 나타나고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해안사구의 전형이다.무리지어 피어오른 띠꽃이 바람에 흔들리는 모습, 연분홍 해당화 군락, 세찬 바람에 날리는 모래구름, 사막을 연상하게 하는 모래언덕, 그리고 ... ...
다차원 공간의 외로운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카우프만은 이 같은 사실로부터 N개의 유전자를 갖는 생물의 네트워크는 K=2 정도의 NK-
지형
과 비슷한 수의 끌개를 가질 것으로 추정한다. 실제로 유전자들은 대개 2-10 정도의 연관된 유전자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단백질의 3차원 구조에도 강력한 끌개가 존재한다. 단백질 3차원 구조 ... ...
대형 구조물 안전 책임지는 시뮬레이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거리가 5백m로 현재 국내 최장의 현수교다.곽 교수는“다리를 놓을 지점이 정해지면 그
지형
에 가장 적합한 다리의 형태와 재료, 비용 등을 찾아주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우선 과제”라며“시뮬레이션의 결과를 토대로 설계가 완성되면 그 뒤 실제 구조물을 짓는 과정, 즉 시공은 ... ...
밀양 얼음골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영남알프스의 가운데쯤에 위치한다. 즉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는 말이다.이런
지형
적 특성은 냉기를 오랫동안 끌어안게 해준다. 상공을 지나는 한랭한 공기가 이곳으로 한번 들어오면 바깥으로 잘 빠져나가지 못한다. 차가운 공기는 따뜻한 공기보다 무겁다. 따라서 상공의 기류가 얼음골로 ... ...
바다의 올림픽 선수 고래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단파회선에서 낮과 밤에 주파수를 바꾸어도 같은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달표면의
지형
을 정밀 탐사하기 위해 쏘아 올린 미국의 달표면 탐사기 1966년 8월부터 67년 8월까지 모두 5기가 발사되었다 3호기까지는 달의 적도에 대한 경각(傾角)이 작은 궤도로 발사되었고, 4 · 5호기는 경각이 큰 궤도로 ... ...
13일 밤 고흐의 보름달 떠오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정 반대편으로 진다는 것이죠. 그 다음부터는 일사천리로 진행됐습니다. 그림에 나오는
지형
들의 거리와 높이 등과 보름달이 뜬 시점을 계산한 결과 그 해 5월 16일과 7월 13일에 절벽의 그 위치에서 달이 떠오른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과연 둘 중 어느 날이었을까요.문제는 의외로 쉽게 풀렸습니다.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