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JOB 터뷰] 꿈을 조립한다! 국내 최초 레고 공인 작가 김성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쓰였다던데?은 모든 기술의 집합체예요. 레고 부품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LED를 사용했어요. 아두이노로 빛을 조절하고, 전선은 레고 안으로 숨겼죠. 건축 기술도 적용됐어요. 받침이 없는 긴 천장 내부에 단단한 철제 기둥을 심었어요. 천장이 무너지지 않도록 계산해 설계했죠 ... ...
- 폴리매스 정보통! 로블록스로 창의력과 수학 실력을 한 번에!수학동아 l2021년 10호
- 프로그램의 사용 방법과 지형 만들기, 아이템 배치 방법 등을 배웠어요. 또 블록의 크기와 모양을 직접 조절하고 색을 바꾸며 횃불도 만들기도 했답니다! 여러분도 자신만의 섬을 만들고 싶다면 동아사이언스 유튜브 채널에 접속해 영상을 보며 따라 해보세요! 스크립트를 사용해 섬과 섬 사이를 슝~ ... ...
- 기술검증│인류 지식의 최전선을 시험하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우주 비행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이론일 뿐, 추진체 하나의 크기가 길이 약 200m, 직경 12m로 거대해야 하며, 키보드를 누르는 정도의 힘인 1N의 추력을 생성하는 데 165MW(메가와트)라는 엄청난 전력이 필요해 현실적으로 개발은 어렵다. 김 교수는 “군사 분야의 연구가 아무리 ... ...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2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포의 복제본이 생겨요. 복제본은 마우스로 화면을 찍은 위치로 이동하면서(moveForward) 크기가 커지지요(addSize). 폭탄을 터뜨리는 ‘특수 공격’은 총 3번만 사용할 수 있도록 했어요. 사용할 수 있는 폭탄의 수는 코드를 통해 변수로 저장되어 활용되지요(➋). 폭탄이 점점 커지도록 반복문을 ... ...
- [특집] 땅에 묻혀있던 하늘이 드러나다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정밀한 관측 기기지만 크고 무거워 군대에서 사용하기는 불편했습니다. 그래서 크기가 작고 사용법이 단순해 천문학을 잘 모르는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소정시의’를 만들어 사용했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일성정시의, 왜 중요할까? 각 지역에서 측정하는 시간은 그 지역의 ... ...
- [기획] 2020 도쿄올림픽 스케이트 보딩, 서핑 그리고 스포츠 클라이밍수학동아 l2021년 09호
- 높은 부분(피크)에 가까운 선수가 통행권을 가집니다. 스포츠 클라이밍 모양과 크기가 다양한 ‘핸드 홀드(손으로 잡는 부분)’와 ‘풋 홀드(발을 올리는 부분)’가 박힌 가파른 경사면을 힘과 기술을 이용해 등반하는 경기입니다. 스포츠 클라이밍은 두 선수가 15m 암벽을 얼마나 빨리 ... ...
- [매스크래프트] #21. 에펠탑과 도쿄 타워는 닮은 도형?수학동아 l2021년 09호
- 반면, 사각형은 정사각형과 마름모를 동시에 그릴 수 있으니까요. 또 삼각형은 세 각의 크기가 주어지면 한 가지 모양만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럼 두 변의 길이와 그 끼인각이 주어졌을 때 만들 수 있는 삼각형의 개수는 몇 개일까요? 맞습니다. 단 1개죠. 결국 삼각형의 닮음 조건은 한 가지 모양의 ... ...
- [수학체험실] 톱니바퀴가 만드는 아름다움 스피로그래프수학동아 l2021년 09호
- 공학자 데니스 피셔가 장난감으로 개발한 뒤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스피로그래프는 크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플라스틱 고리로 구성돼 있습니다. 그리고 큰 원 모양의 고리 내부와 작은 원 모양의 고리 외부에 톱니가 있습니다. 내부에 톱니가 있는 큰 원을 고정하고, 외부에 톱니가 있는 작은 원의 ... ...
- 베스트셀러 소재의 새로운 사후세계에 관한 세 가지 고찰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등 외부물질을 흡착하도록 했다. 그 결과 필터는 2.5 µm(마이크로미터·1µm는 백만분의 1m) 크기 입자를 98.3% 차단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마스크 기준으로 N95 급의 성능을 보였다. 또, 분해 테스트 결과 퇴비화 조건에서 4주 이내에 생분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doi: 10.1002/advs.202003155생분해성 ... ...
- 우주로부터 지구를 지켜라! 우주위험감시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기준)은 자연우주물체를 관측하는 데 활용된다. 다만 소행성은 표면반사율이 매우 낮아 크기가 작은 경우 지상에 설치된 광학망원경으로 감시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를 보완하고자 NASA에서 운영하는 적외선 우주망원경 ‘NEOWISE’ 등으로 관측한 자료를 활용하기도 한다. 김 선임연구원은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