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토대"(으)로 총 1,76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찾아서우주를 구성하는 성분의 26.8%를 차지하는 암흑물질은 우주 관측 결과를 토대로 존재한다는 사실 정도만 밝혀져 있을 뿐, 표준모형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따라서 암흑물질을 실제로 발견한다면 새로운 물리학, 표준모형 너머(Beyond the Standard Model)의 세계가 열린다.암흑물질을 측정하고, 그 ... ...
- [교과연계수업] 곤충, 미래 식량이 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않나요? 오늘날을 생각하면 이렇게 먹을 것이 넘쳐나는데 말이에요. 오늘은 기사를 토대로 미래 식량의 대안 중 하나인 곤충 식량은 물론 또 다른 미래 식량의 후보까지 알아보기로 해요. 먼저 미래에 식량이 부족해진다는데 왜일까요? GIB 제공 ○ 사람들로 북적대는 2050년 지구 2050년엔 전세계 ... ...
- 10년의 대탐험 뉴호라이즌호, 명왕성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로리(LORRI)’는 흑백 사진만 찍을 수 있어요. 대신 다른 관측 기기들이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명왕성의 실제 색깔을 예측할 수 있지요. 뉴호라이즌호의 탐사 결과 명왕성 색깔은 붉은 갈색으로 밝혀졌어요.명왕성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 중에 메탄가스는 태양이나 우주에서 생겨 들어오는 자외선과 ... ...
- [교과연계수업] 팔방미인! 드론 파헤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또 다양한 모습으로 오늘날 진화하고 있는 드론의 모습과 미래의 모습까지 기사를 토대로 알아보기로 해요.드론은 언제, 어떻게 만들어진 걸까요? 오스트리아 군대의 비밀 무기, ‘드론’ 최초의 드론은 유럽의 복잡한 전쟁을 배경으로 탄생했어요. 당시 만들어진 드론은 지금과는 달리 열기구 ... ...
- 수학으로 배터리의 남은 수명을 측정하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고체 전해질 간기층’에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이라는 걸 알아냈습니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수학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기존의 모형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완전히 충전됐거나 방전된 배터리, 하이브리드 차에 쓰이는 배터리로 실험한 결과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연구를 이끈 란 ... ...
- [과학뉴스] 외계생명체 보기엔 너무 일찍 태어난 지구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피터 베루치 연구원은 허블우주망원경과 케플러우주망원경의 데이터를 토대로 지구형 행성 생성에 관여하는 물질이 우주에 얼마나 남았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물질의 92%가 아직 행성으로 만들어지지 않고 우주 공간에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우리은하의 경우 지구와 유사한 행성이 10억 개가 ... ...
- Part3. ‘살아남은 자’의 슬픔, 뇌를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활성이 증가한 반면, PTSD 환자에게서는 변화되지 않았던 것이다. 연구팀은 추가 연구를 토대로 전방대상피질에 생긴 문제가 편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상적으로 활성화돼야 할 뇌 부위가 활성화되지 않으면서 다른 부위(편도체)가 극도로 예민해져 감정이 왜곡될 수 있다는 ... ...
- [PART 2]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 진화의 5가지 KEY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오래 전에 썩어 없어졌지만, 뼈화석 주변에 깃털 문양이 찍혀 있었다.공룡학자들은 이를 토대로 공룡을 새롭게 복원하기 시작했다. 초기와 가장 많이 달라진 것이 바로 벨로시랩터다. 영화 ‘쥬라기 공원’ 시리즈에서는 벨로시랩터가 티라노사우루스를 키 2m 정도로 축소한 듯한모습을 하고 있다 ... ...
- [생활] 뇌섹남들은 수학 문제를 푼다?! 뇌섹시대 문제적남자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앨버트와 버나드의 대화에서 ‘모른다’는 사실도 하나의 정보로 생각한 다음, 그것을 토대로 논리의 흐름을 따라가야 하는 것이 문제의 핵심이었다. 박 교수는 “사람들은 수학이 실생활에 쓸모가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살아가며 겪는 모든 문제를 해결할 때 필요한 ‘논리’는 수학을 ... ...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한양을 기준으로 일식과 월식을 정확하게 관측할 수 있게 했다. 실제로 칠정산외편을 토대로 계산한 1447년 음력 8월 1일 일식은 예보된 시간인 오후 4시 50분 27초에 정확하게 일어나 6시 55분 53초에 끝났다. 이로써 조선은 독자적으로 일식을 예측할 수 있는 나라가 됐다.세계의 밤하늘을 담다김담은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