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록빛
초록색
초록
풀빛
청색
푸르름
신선
뉴스
"
녹색
"(으)로 총 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쫄깃하고 맛있는 송편을 만드는 비법 대방출!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14
다양한 식물을 이용했어요. 대표적인 재료가 바로 ‘쑥’이지요. 반죽에 쑥을 넣으면
녹색
이 나는데다, 쑥의 향까지 어우러져 아주 맛있는 송편을 만들 수 있거든요. 그뿐만이 아니에요. 쑥에는 식이섬유가 많이 들어 있어요. 식이섬유가 많이 들어간 떡은 쌀가루로만 만든 떡보다 더 오랫동안 ... ...
고양이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한 이유
2015.09.07
, 즉 빛에서 망막에 도달하는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 빨간색 등고선은 80%, 파란색은 60%,
녹색
은 40%, 노란색은 20%다. 가로형 눈동자는 등고선도 납작해 위아래 정보보다는 좌우정보를 더 많이 처리한다. - 사이언스 어드밴스 제공 초식동물의 경우 천적의 정확한 거리보다는 존재 차체를 확인하는 게 더 ... ...
우리 개도 TV 볼 수 있을까요?
2015.09.04
수는 사람보다 적다. 눈의 망막에는 색깔을 구별하는 원추세포가 있다. 사람은 빨강 파랑
녹색
빛을 인식하는 3가지 원추세포를 갖고 있어 대부분의 색을 인지하는 반면 개는 노란색과 보라색 빛을 인식하는 2가지만 갖고 있다. 곽상기 해피독티비 대표는 “노란색과 보라색 소품을 많이 활용하거나 ... ...
고등학교 교실에 ‘스마트폰 감옥’ 첫 등장
2015.09.03
보인다.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공 스마트폰을 넣고 충전 줄을 연결하자 보관함 위쪽에
녹색
불이 켜졌다. 문을 닫고 전자카드를 갖다 대자 ‘삑’ 하는 소리가 들렸다. 철제 보관함 속에 스마트폰이 안전하게 보관됐다는 뜻이다. 이 보관함은 일명 ‘스마트폰 감옥’. 스마트폰을 꺼내기 위해 다시 ... ...
설악산 산양과 울진 산양, 유전자가 다르다
2015.09.02
산양(사진)은 대관령 남부의 산양과 유전적 구조가 다르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설악
녹색
연합 박그림 제공 같은 한국 산양이라도 대관령을 기준으로 남과 북의 서식지에 따라 유전적 구조가 다르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항 서울대 수의대 교수팀은 희귀 멸종위기종인 한국 산양들의 유전자를 ... ...
PART 0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08.27
같은 휘발성 물질이 더 많다. 이런 대기는 태양의 적색 파장을 흡수하고 청색과
녹색
파장의 빛을 반사해 천왕성이 청록색을 띠게 만든다. 신기한 건 이런 대기가 가스 형태가 아닌 얼음 형태를 띠고 있다는 것이다. 얼음이라고는 하지만 대기 물질이 고온고압의 환경에서 농밀해져 유체처럼 ... ...
효모 정밀화학공장, 말라리아치료제에서 마약성진통제까지 생산
2015.08.24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7년이 지난 2013년 상업화에 성공했다. 아르테미신산 생합성 경로로,
녹색
으로 표시한 부분이 개똥쑥에서 도입한 유전자가 관여하는 부분이다. - 네이처 제공 2006년 학술지 ‘네이처’에는 효모를 이용한 합성생물학 연구의 전환점이 되는 논문이 실렸다. 현재까지 불과 9년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곤충을 끌어들이기 위함이라는 사실이 지난해 밝혀졌다. 초파리 다리에 붙어있는 효모(
녹색
). - 커런트 바이올로지 제공 그렇다면 왜 효모는 향기로 초파리를 불러들일까. 효모는 곰팡이의 일종이지만 포자를 만들어 이동하는 능력이 떨어진다. 즉 누군가가 옮겨주지 않으면 새로운 서식처를 찾지 ... ...
우주에서 본 광복 70년의 발자취
2015.08.13
3A호가 찍은 서대문형무소.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아리랑 3A호가 찍은 홍구 공원(가운데
녹색
부분).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아리랑 3A호가 찍은 하얼빈역.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 ...
“계절이 바뀌면 색깔도 달라진다”
2015.08.05
연구원은 “여름에는 무성한 나뭇잎 등 중간 파장의
녹색
이 풍부하기 때문에 우리 눈이
녹색
에 적응하기 위해 M세포의 반응을 줄인다”며 “자연은 계절에 따라 큰 환경 변화를 겪고 사람들의 시각 체계도 여기에 순응하며 조화를 이루는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