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친구
동무
벗
짝패
동지
패거리
짝
뉴스
"
동료
"(으)로 총 1,256건 검색되었습니다.
2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이충훈 위원·이근백 대표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인정받은 계기가 됐다. 이 연구위원은 “엘라스토머 제품 상업화라는 도전에 함께한
동료
들과 지원해준 회사에 감사한다”며 “지속적 경쟁력 강화를 위해 차별화된 기술 개발에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단일장비로 폐수처리를 하는 미세기포 생성 기술을 개발했다. 이 ... ...
‘지우고 싶은 공포 기억’ 제거 돕는 뇌 속 효소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못한다.’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고전영화 ‘현기증’ 속 주인공은 공포스러운 기억(
동료
의 죽음)과 특정한 자극(높은 곳)이 결합한 공포증을 앓는다. 그래서 직접 목숨의 위협이 없는 안전한 지역이라도, 일단 높은 곳이라면 공포를 느낀다.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도 비슷하다. 포항지진을 겪은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이종호 KIST 책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9.02.06
성과를 낼 수 있었다”며 “이런 환경을 만들어 준 선임 연구자와, 함께 동고동락한
동료
와 후배 연구자들에게 감사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앞으로는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연료 생산 외에, 에너지 저장 분야로도 연구 결과를 확장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친구가 없는 이유
2019.02.02
상처받기 싫다는 게 주된 동기이기도 하다. 영국 에든버러대 시어러 길 교수와
동료
들의 연구에 의하면 스스로에게 너그럽고 따듯할 줄 아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상처받을 것에 대한 두려움이 적은 편이다. 예컨데 실패를 했을 때 ‘이 바보야 너가 그러니까 안 되지’라며 자신을 ... ...
우주에서 ‘당’ 만들어진다?
과학동아
l
2019.02.01
누에보(왼쪽) NASA 연구원과 그의
동료
들이 실험을 진행하는 모습. 연구팀은 생명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분자들의 기원을 추적했다. NASA 제공 미셸 누에보 미국항공우주국(NASA) 아베스연구센터 연구원팀은 우주 공간을 모방한 조건을 갖춘 실험실에서 DNA의 당 분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 ...
주기율표 곳곳을 채운 화학의 '히든 피겨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19세 때 87번 원소 프랑슘(Fr)을 발견했다. 퀴리 박물관 제공 대부분 여성 과학자들이 남성
동료
와 함께 일하면서 자신들의 업적이 가려지는 처지에 놓였지만, 예외도 있다. 프랑스 물리학자 마르게리트 페레다. 페레는 87번 원소 프랑슘(Fr)을 1939년에 발견했다. 마리 퀴리 연구소에 19세 때 기술자로 ... ...
‘10대 바이오 유망기술’에 근육 생기는 약,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등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노화제어연구단장(맨 뒤)이
동료
연구원들과 함께 자체 개발한 근감소증 치료제 후보물질을 살펴보고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운동하지 않아도 운동한 것처럼 근육감소증을 치료하는 약과 몸 안의 면역세포를 이용해 암을 치료하는 차세대 항암기술, 플라스틱 ... ...
두피에 남은 축구공의 흔적
팝뉴스
l
2019.01.15
멀리 날아갔는데 언뜻 보기에 남자의 머리 위에도 축구공 하나가 있는 것처럼 보였다.
동료
들은 폭소를 터뜨렸고 인증 사진을 촬영해 인터넷에 공개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 몸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2019.01.15
있기 때문이다. 곰비국립공원 제공 아침 일찍 일어나 실컷 먹고 한두 시간 낮잠을 자거나
동료
와 털고르기를 주고받다가 다시 먹고 또 낮잠을 자거나 친구들과 놀다가 일찌감치 저녁을 먹고 나무 위에 잠자리를 만든 뒤 잠든다. 시간으로 따지면 하루 8~10시간은 쉬거나 털고르기를 하거나 먹으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등장한다. 차오위안의 지도교수인 MIT 물리학과 파블로 자릴로-헤레로 교수(맨 왼쪽)와
동료
연구자들이 실험실에서 포즈를 취했다. 차오위안은 보이지 않는다. 그래핀 초전도체 발견이 상온 초전도체 개발로 이어질 경우 자릴로-헤레로와 차오위안이 노벨상을 받지 않을까. Juliette Halsey/네이처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