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경
변형
전환
개종
변질
변용
뉴스
"
변환
"(으)로 총 1,057건 검색되었습니다.
움직이는 쥐의 뇌 반응 실시간으로 읽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얻는 데도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교수는 “기존의 초음파
변환
기는 쥐 몸무게의 6배에 달해 움직이는 쥐에는 적용할 수 없었는데 이런 한계를 극복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뇌를 자극하는 기존 방법에는 뇌의 특정 영역을 미세 자극할 수 있는 심부뇌자극술(DBS)과 광(光 ... ...
연료전지 촉매 가격 10분의 1로 낮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촉매를 이용해 수소 등의 연료와 산소를 반응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다. 에너지
변환
효율이 70% 내외로 높고, 부산물로 물만 발생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다. 하지만 현재 연료전지 촉매로 널리 사용되는 백금(Pt)의 가격이 ㎏당 1억 원 수준으로 높은 데다 사용할수록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 ...
무선랜으로 스마트폰 충전하는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정류 안테나를 쓰면 이를 직류 전기로 바꿀 수 있다. 안테나에서 교류를 직류로
변환
해주는 정류기는 실리콘(Si)이나 갈륨비소(GaAs)를 재료로 쓴다. 이들 물질은 반도체 공정에 쓰이는 물질이라 생산에 드는 비용은 저렴하다. 하지만 단단한 구조로만 만들 수 있어 벽이나 공간이 충분한 곳에 ... ...
과산화수소 친환경적이고 값싸게 만들 새로운 탄소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27
환경오염을 일으킨다는 문제도 있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과학자들은 ‘전기화학적
변환
’을 통해 친환경적이면서도 값싼 과산화수소 생산법을 연구해 왔다. 전기를 써 공기 중에 산소를 과산화수소로 바꾸는 방식이다. 여기에 쓰이는 촉매로 주목받는 물질이 ‘탄소 기반 물질’이다. 특히 ... ...
UNIST, 접는 천연색 발광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교수 연구진은 접힐 정도로 유연한 PeLED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LED는 전류를 빛으로
변환
시키는 반도체 소자다.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전환하는 효율이 높다. PeLED도 LED의 일종으로 ‘페로브스카이트’를 광학재료로 사용한다는 특징이 있고 LED에 비해 저렴하다. 페로브스카이트는 ... ...
배터리 충전 없이 체온으로 웨어러블 기기 24시간 작동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5
얇고 부드러운 고분자 소재로 열전소자는 이 면을 통해 흡수한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
한다. - 자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처럼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었던 것은 사람 피부의 땀샘 형태를 모사한 덕분이다. 일반적인 형태의 패치를 피부에 붙이면 구조 차이에서 비롯된 미세한 틈 때문에 ... ...
알함브라 궁전 벽면의 비밀
수학동아
l
2019.01.13
어떤 물체가 위치를 여러번 움직였을 때, 위치 좌표를 행렬로 나타내면 벡터로 위치
변환
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수학 가상현실은 좌표 하나를 기준으로 모든 가상의 물체를 움직이면 되지만 증강현실은 좌표가 2개 필요하다. 또 증강현실은 실제 세계를 나타내는 ... ...
사진도,사람 말도 잘 이해하는 AI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07
원인을 찾았다. 딥러닝은 데이터를 여러 겹의 ‘층(레이어)’을 통과시키며 추상적으로
변환
시켜 특징을 찾고 학습을 한다. 이때 각 레이어를 구성하는 파라미터들은 다른 레이어와 서로 연결돼 있는데, 빈 곳 없이 빼곡히 연결된 경우와 듬성듬성 연결된 경우로 크게 나뉜다. 김 연구원은 ... ...
파도 조건 상관없이 24시간 파력발전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7
보정해 주는 ‘자동 위치조절 시스템’을 고안한 덕분이다. 연구진이 개발한 이중
변환
장치는 파랑의 원운동을 이용하는 원통형 실린더와 직선운동을 하는 스윙판 중 변하는 해양환경에 따라 매 순간 발전효율이 높은 방식을 택해 발전기를 작동시키는 장치다. 박 연구원은 “하이브리드 ... ...
세계 최초 기술 들고 라스베이거스로 가는 KAIST 교수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6
혁신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김문철 교수 연구진이 개발한 AI기반의 실시간 UHD화질
변환
기술은 대표적인 성과로 손꼽힌다. UHD TV가 출시된 지 꽤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아직까지 방송 콘텐츠는 FHD 화질의 영상이 대부분이다. FHD 영상을 그냥 늘리면 화면이 깨지겠지만, 이 인공신경망은 화면을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