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확
정교
적확
명확
면밀
상세
세밀
뉴스
"
정밀
"(으)로 총 2,618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을 원숭이와 구분케 하는 특정 뇌세포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11.21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간의 차이점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아주
정밀
한 ‘뇌 세포 카탈로그’를 만든 이 연구는 전전두엽 피질의 기능과 질병에 대한 향후 연구에서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전전두엽 이외의 다른 뇌 영역에 있는 ... ...
“밴드 제거 안해도 상처 회복 경과 안다”...일상 문제 해결한 청년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6
바라니에키, 피오트르 발터가 개발한 스마트힐은 센서를 통해 모니터링하기 때문에
정밀
한 진단이 가능하다. 전문 의료진은 스마트힐을 통해 수집 데이터를 분석, 상처에 대한 적절한 치료법을 처방할 수 있다. 지속가능성 부문 우승작에는 캐나다 맥마스터대에 재학중인 스왈레 오와이스와 ... ...
한국인 100만명 유전체 모은다...희귀·유전질환 예측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2.11.11
구축에 적극 나서는 모습이다. 중국은 100만명 이상의 유전체 분석을 추진하는 ‘
정밀
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진행 중이며 일본은 40만명 규모의 유전체 정보를 모으고 있다. 핀란드의 ‘핀젠 프로젝트’는 유전체 정보와 건강정보를 결합해 맞춤 헬스케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50만명의 ... ...
초음파로 뇌 자극해 수면과 단기 기억력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9
소자를 개발했다. MEMS는 마이크로 단위의 기계적 구조물과 전자회로가 결합된 초소형
정밀
기계 제작 기술이다. 이 시스템으로 자유롭게 활동하는 쥐에 10시간 동안 초음파 자극을 준 결과 렘(REM·급속 안구 운동)수면이 대조군 쥐보다 늘어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다른 실험에서 렘수면을 ... ...
심정지 후 '죽음의 문턱'에서 사람들은 죽음을 느낀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경험적인 조사를 받을 가치가 있다”며 “의식이 있음을 의미하는 바이오마커를 보다
정밀
하게 정의하고 심폐소생술 후 어떤 심리적 변화가 일어나는지 관찰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
서울성모병원, 위종양 환자 단일공 로봇수술 국내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 후벽 등에서 발견됐다. 절제 수술 과정에서 위의 기능을 보존하기 위해 매우 섬세하고
정밀
한 수술이 필요했다. 서 교수는 두 환자의 종양의 위치나 모양에 따라 위쐐기절제술과 종양적출술로 각각 수술했다. 수술에는 4세대 다빈치 단일공 SP 로봇이 사용됐다. 이 기기는 로봇팔에 장착된 ... ...
약물 투여, 뇌 신호 실시간 측정...'브레인칩'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칩 안에는 뇌 신호 측정용 전극도 집적돼 있어 약물에 반응하는 뇌 신호에 대한
정밀
측정이 가능하다. 무게도 약 4.6g으로 매우 가볍다. 실험실에서 본 쥐 역시 마치 모자를 쓴 듯 자유롭게 케이지를 활보하는 모습을 보였다. 브레인칩은 뇌 신호를 읽거나 뇌에 전기적 자극을 주는 역할을 하는 ... ...
아이폰, 해안선 침식 연구에 '최적'...라이다 스캐너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2.11.04
주목했다. 그동안 해안선 변화 연구는 주로 위성으로 촬영한 영상으로 이뤄졌다. 하지만
정밀
도가 낮고 초목에 가린 지형이 확인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었다. '지상 레이저 스캐너'로 불리는 장비도 활용됐지만 가격이 비싸고 크기가 커 다루기 어렵다는 게 단점이다. 연구팀은 아이폰의 ... ...
"장기모사칩 한계 극복"...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고승환 서울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없이 즉석으로 가공형상을 바꿀 수 있는 '레이저 직접 가공법'을 개선해 높은 포면가공과
정밀
도를 갖는 3차원 미세패터닝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 새로운 가공법은 기존의 제작방식으로 만들기 어려웠던 장기모사칩을 생산할 수 있어 추후 다양한 생명과학 장비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과기원은 지금] 신기정 KAIST 교수, 정보검색 분야 학술대회 튜토리얼 강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조수복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 박사후연구원팀이 국제
정밀
의료 인공지능(AI) 경진대회인 '마이크로바이옴 드림 챌린지'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고 1일 밝혔다. 이 대회는 의생명 분야의 여러 난제에 대해 참가자들이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대회로 미국 국립보건원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