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화
무비
시네마
영화관
뉴스
"
활동사진
"(으)로 총 1,588건 검색되었습니다.
상어 입속에 손을 집어넣은 이유
팝뉴스
l
2018.10.21
팝뉴스 제공 한 스쿠버 다이버가 상어 입을 벌리고 자신의 손을 집어넣는다. 손은 팔꿈치 깊이까지 쑥 들어갔다. 도대체 왜 이런 위험한 일을 하는 것일까. 상어는 힘들어 몸부림치는 것처럼 보인다. 그렇다면 동물 학대가 되는 것 아닐까. 위 사진은 이탈리아 출신으로 현재 바하마에 거주하면서 ... ...
따뜻한 지구가 낳은 괴물 '슈퍼태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0.20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촬영한 태풍 짜미의 모습 - Alexander Gerst(F) 제공 이달 초 태풍 ‘짜미’가 일본을 강타해 큰 피해를 입혔습니다. 그보다 앞서 태풍 ‘망쿳’과 ‘플로렌스’도 각각 필리핀과 미국에 큰 피해가 났습니다. 불과 한달새 초강력 태풍들이 지구 곳곳에 피해를 입힌 겁니다. 어 ... ...
[표지로 읽는 과학]위장술 끝판왕 갑오징어 뇌를 연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0
네이처 제공 갑오징어나 문어는 몸의 색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주변 물질의 질감까지 완벽하게 재현할 수 있어, 육지의 카멜레온과 함께 변신의 귀재로 불린다. 눈에 비친 세상을 그대로 몸에 반영하는 것이다.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19일 바다를 유영하는 갑오징어 모습을 담은 사진을 표지 ... ...
아기 새는 '비브라토'로 노래를 배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6
새의 노래를 통해 언어 학습을 연구하는 고지마 사토시 한국뇌연구원 책임연구원이 실험동물인 금화조를 살펴보고 있다. -한국뇌연구원 제공 아기가 처음 말을 배울 때엔 ‘옹알이’라고 하는 불분명한 발성을 반복하는 과정을 거친다. 숱한 발음을 반복하며 시행착오를 겪는 가운데 정확한 발음 ... ...
탐사로봇은 실종, 우주망원경 또 고장…우주개발 '삐거덕'
동아사이언스
l
2018.10.15
지난 6월 이후 통신이 두절된 NASA의 화성 탐사선 오퍼튜니티가 찍어 보낸 영상. - 사진 제공 NASA 이번 달 1일 60세 생일을 맞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최근 잇따라 일어난 주요 탐사장비의 고장으로 곤혹한 처지에 몰렸다. 15일 오후 현재 NASA 메인 홈페이지의 ‘뉴스’란에는 메인 뉴스 9개 중 3개가 각 ... ...
[지구를 위한 과학]"민물고기 만나러 섬강으로 가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0.15
민물고기 연구 위해 전국 하천 누비는 성무성·김정훈 연구원 성무성 씨와 김정훈 씨가 자난달 29일 경기도 여주 섬강에서 민물고기인 꾸구리를 찾고 있다. “가슴장화 착용, 족대 장착 완료! 강으로 입수!” 따뜻한 햇살이 하천 위로 부서지던 지난 9월 29일, 사계절 내내 민물고기를 만나 ... ...
바다밑 지도 가장 싸고 빠르게 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1
결승에 진출한 텍사스 A&M 오션 엔지니이링 팀이 개발한 탐사장비. X프라이즈 위원회 제공. 얼핏 불가능해 보이는 과학적 과제를 제시하고 우승자에게 거액의 상금을 주는 것으로 유명한 ‘X프라이즈’ 재단이 운영 중인 해저탐사 국제컨테스트(Shell Ocean Discovery XPrize contest) 대회의 결선진출팀이 ... ...
[2018IAC결산]日 존재감,中 세(勢)과시…불꽃튀는 동북아 우주경쟁(下)
동아사이언스
l
2018.10.07
제69회 국제우주대회 전시장 입구에 마련된 하야부사2의 실물크기 모형. 일본이 주축이 돼 독일과 일본이 함께 참여한 이 임무는 '국제적 협력'이라는 이번 대회 주요 목표를 상징하면서, 동시에 일본의 강력한 연구 능력을 자랑한 계기였다. -사진 제공 윤신영 이번 대회에서 일본은 미국과 유럽에 ... ...
한국 수학계도 36년만에 유리천장 깨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3
최영주 포스텍 교수 여성 최초 ‘대한수학회 학술상’ 최영주 포스텍 수학과 교수. - 포스텍 제공 55년만에 여성 과학자가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가운데 국내 과학계에서도 36년간 이어져온 '유리천창'이 깨지는 일이 일어났다. 대한수학회는 3일 최영주 포스텍 수학과 교수(59·사진)가 여성 ... ...
“뒤뚱뒤뚱 펭귄? 물속선 200m까지 나는 새”
동아사이언스
l
2018.10.02
국내 유일 펭귄 연구자 이원영 박사 까치전문가로 익힌 기법 활용, 남극서 4년간 행동-생태 관찰 최근 ‘물속을 나는 새’ 책 출간… “소리 통한 의사소통 연구도 시작” “펭귄을 흔히 날지 못하는 새라고 알고 있는데, 저는 다르게 생각합니다. ‘물속을 나는 새’라고 할까요.” 이원영 극지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