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도
정확성
스페셜
"
정확도
"(으)로 총 1,57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행동의 진화] 점성술과 인플루엔자
2020.11.22
별자리가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기원전 600년경의 그리스 와인잔. 존 반스 제공 2020년은 코로나-19가 극성이지만 불과 1년 전만 해도 가장 큰 공공보건 상의 감염 위기는 인플루엔자였다. 매년 평균 40만 명 가까이 인플루엔자가 감염되어 숨졌다. 특히 65세 이상에게 대단히 위험하다. 미국에서만 매 ... ...
[표지로 읽는 과학] 얼굴 인식 시스템의 두 얼굴
동아사이언스
l
2020.11.21
대한 규범인 ‘AI 프레임 워크’를 만들고 있다. 네이처는 또 얼굴 인식 시스템의
정확도
를 높이기 위해 사진 데이터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행위에 대한 전 세계 연구자 480명의 견해를 보도했다. 연구자 중 동의를 얻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40%에 불과했으며 반대하는 사람은 학습에 사용하는 ... ...
"효과적 조치 없으면 1~2주 뒤 하루 1000명 감염"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마스크를 착용한 채 관악산에 오르고 있는 시민들의 모습이다. 연합뉴스 제공 대한감염학회와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중환자의학회를 비롯한 11개 의료계 학회가 급격하게 확산하고 있는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상황 관련 성명을 발표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낮은 온 ... ...
후쿠시마 오염 방출 분석 논문 보니 1~10년내 영향…전문가들 "방류영향 예측 어렵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일본 연구팀이 지난해 8월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흘러나온 세슘137이 해류를 타고 이동하며 일부는 동해로 흘러 들었다. 2012~2016년 동중국해에서 흘러 들어온 세슘137은 총 210조 Bq로 추정된다. 이는 같은 기간 후쿠시마 주변 아열대 수괴지역에 방류된 세슘137의 ... ...
한미 연구팀, 사람 피부처럼 온도와 힘 느끼는 인공피부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정운룡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교수(왼쪽)와 유인상 박사후연구원(오른쪽), 제난 바오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온도와 힘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다기능성 이온 전자피부를 세계 처음으로 개발했다. 포스텍 제공 인간의 피부를 전자장치로 모사하는 ‘전자피부’의 궁극적 목표는 얇으 ... ...
스티커로 물뽕 잡고 땀으로 음주 측정한다…올해도 빛나는 과학치안 아이디어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9
제6회 과학치안 아이디어 공모전 포스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마스크 벗지 마세요. 음주 단속은 이 측정지 하나로 충분합니다” 창원과학고에 다니는 허유진·전주은 양과 박성민·최치원 군은 술을 마시면 대사과정에서 알코올 성분이 땀으로 배출되는 사실에 착안해 기름종이로 채취한 ... ...
[코로나19 연구속보] 관절염 약이 코로나19 노인 사망률 낮춘다
2020.11.19
국제공동연구팀이 관절염 약 ‘바리시티닙’이 코로나19 노인환자들의 사망률을 낮춘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영국 런던임페리얼대 제공 관절염 약이 코로나19 노인 환자들의 사망률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런던 임페리얼대와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 공동연구팀은 평균 ... ...
美 가정용 코로나19 자가 진단 키트 긴급 승인…30분내 결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11.19
분석해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6시간의 시간이 걸리지만
정확도
가 현재로서는 가장 높은 검사 기술이다. 사용하는 유전자만 일부 다를 뿐 전세계가 비슷한 방식을 사용한다. CDC제공 미국식품의약국(FDA)이 17일(현지시간) 집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 ...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19 확산세, ‘기후모델’로 예측한다
2020.11.17
코로나19 확산세를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 기후 모델링 방법인 ‘앙상블 기법’을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시됐다. 픽사베이 제공 “코로나19 확산을 예측하기 위해서, 역학 전문가들은 기후 모델링 방법을 채택해야 한다.”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을 예측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모델 중 ... ...
'뇌 속 독성 산소' 영향받는 반응성 별세포가 치매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0.11.17
녹색형광단백질(GFP)을 이용해 일반인의 뇌 속 별세포(왼쪽)와 알츠하이머 환자의 별세포를 비교한 영상이다. 치매 환자의 별세포는 매우 크고 가지도 많은 모습을 하고 있다. 반응성이 높아진 상태인데, 이 상태가 치매 발생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논문 캡쳐 그 동안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