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채"(으)로 총 95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 받는다. 유전형이 가장 큰 요인이지만 흡연(촉진), 음주(억제), 간 질환(억제), 녹황색채소 및 비타민C(촉진), 먹는 피임약 등 일부 약물(억제) 등이 변수로 작용한다. - ISIC 제공 이런 민감도의 차이는 두 가지 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카페인을 분해하는 효소 유전자의 차이다. 카페인 분해를 ... ...
- 도시 곳곳에 과학자 거리-연구단지… “평양이 달라졌네” 동아사이언스 l2018.05.04
- 테스트베드로도 활용된다. 태양전지와 지열발전을 도입하고 건물은 전등 대신 자연채광을 극대화하는 형태로 지어진다. 려명거리 설계를 맡은 백두산건축연구원은 건물 옥상에 보냉·보온 효과를 위해 녹지도 설치했다. 2016년에는 대동강에서 평양 김일성광장∼주체사상탑을 오가는 태양전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치료제 나올까?2018.05.01
- 정황상 꽤 효과가 있어 보이는 약물이 이미 개발돼 있는데 환자가 이를 써보지도 못한 채 죽게 방치하는 상황이 더 이상 계속되지 않기를 바란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2018.04.24
- 못했다. 집 근처에 혹시 배울 데가 있는지 알아봤지만 종교(명상)나 미용(요가)의 색채가 짙어 내키지 않았다. 명상에만 오롯이 집중할 수 있는 곳이 생길 때까지는 장 교수의 CD에 계속 의지해야겠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2018.04.17
- 들여다보면 이론이 예측한 대로 보르프라잔이 붙은 양성자 펌프는 엉거주춤하게 열린 채 작동이 멈춘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약물작동 메커니즘이 명쾌히 밝혀지면 아무래도 믿음이 더 가기 마련이다. 학술지 ‘네이처’ 4월 12일자에는 새로운 유형(P-CAB)의 위산과다 치료제 보노프라잔이 ...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 박사 2018.04.10
- 의 경계다.” 그가 말문을 열자 서울대 문화관에 모인 900명의 청중들은 숨을 죽인 채 집중했다. 2000년 여름, 18년이나 지난 일이지만 당시의 분위기는 아직도 생생하다. 호킹 박사는 1990년 가을과 2000년 여름 두 차례 한국을 찾았다. 2000년에는 9월 4~8일 개최되는 ‘COSMO 2000’ 학회에 참석하는 것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女 마라톤 최고 기록 김도연, 밥심으로 달렸다!2018.04.03
- 거의 매일 수십 킬로미터를 걷거나 뛰는 게 일상이었다. 즉 우리 몸은 큰 뇌를 지닌 채 근육을 많이 쓰는 생활(둘 다 포도당을 물 쓰듯이 하는 기관이다!)에 맞게 설계돼 있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게놈에 탄수화물 대사 관련 유전자를 집중적으로 투자했다. 녹말을 소화하는 효소인 아밀라아제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 아니라 정도의 문제라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공감각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도 안대를 한 채 48시간을 보내면 손가락에 물체가 닿거나 소리를 들을 때 번쩍하는 뭔가를 본다고 한다. 즉 시각피질이 시각자극을 전혀 받지 못하면 그동안 눌려 있던 미미한 공감각 네트워크가 모습을 드러낸다는 것이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2018.01.30
- 사람의 소장에 트레할라제가 있더라도 음식 속 트레할로스의 상당 부분이 소화되지 않은 채 대장으로 넘어간다는 연구결과가 이미 나와 있다. 즉 식품첨가물로 쓰인 트레할로스의 일부는 대장까지 이동해 그곳에 사는, 트레할로스에 민감한 유형의 클로스트리디움의 먹이가 될 수 있다는 말이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2018.01.16
- 지구촌 인구 70억 명 가운데 Aldh2 유전자변이형을 지닌 사람은 5억 4000여만 명으로 10%가 채 안 되는데 특이하게도 동아시아에 몰려있다. 한중일 사람의 36%가 알데히드탈수소효소2(Aldh2)의 변이형을 갖고 있어서 술을 해독하는 효율이 떨어진다. 이런 사람들은 술 한 잔만 마셔도 얼굴이 금방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