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료
요법
처치
진료
방법
치료법
구제법
뉴스
"
치료
"(으)로 총 9,931건 검색되었습니다.
23번째 노벨과학상 수상…日 과학 위기론 수그러들까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수 있는 환경을 강조했다. 그는 “지속적으로 꾸준히 한 기초 연구가 새로운 암 면역
치료
에 응용돼 기쁘다”며 “많은 연구자가 좋은 환경에서 연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
“새로운 항암
치료
시대 열렸다” 노벨상 발표현장 이모저모
과학동아
l
2018.10.01
“여태까지의 연구들을 복합하는 것, 그리고 이것들을 이용해 환자 개개인에 맞게 맞춤
치료
를 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보인다.” -수상자들의 소감을 듣고싶은데. “앨리슨 교수는 연결이 되지 않았다. 혼조 교수는 전화로 ‘매우 기쁘다’고 전해왔다.” ... ...
3세대 항암제 탄생 이끈 앨리슨·혼조 교수는 누구
2018.10.01
건강보험 급여도 이뤄지고 있다. 이대호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는 “면역관문
치료
제의 장점은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고, 장기간의 효과가 지속돼 완치까지도 바라볼 수 있다는 점”이라며 “인류의 건강에 크게 기여했다는 점에서 두 사람의 노벨상 수상은 충분히 예상됐다”고 ... ...
면역기능의 브레이크를 풀다…항암
치료
길 연 美日 과학자 노벨의학상 수상(종합)
2018.10.01
교수는 “아직 흑색종 환자의 20% 정도에서만
치료
가 된다”며 “나머지 80%를 위한 면역
치료
연구가 현재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수상자들은 상금 900만 스웨덴 크로네(12억2976만원)가 주어지는데 각각 450만 스웨덴크로나씩을 나눠 갖게된다. 이날 노벨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2일 ... ...
노벨생리의학상, 면역항암
치료
길 연 앨리슨·혼조 교수 수상(3보)
2018.10.01
혼조 교수는 1942년 생으로, 면역에 관련된 ‘PD1’이라는 단백질을 발견해 항암
치료
제 ‘옵디보’ 개발에 기여했다. 이날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물리학상(2일), 화학상(3일), 평화상(5일), 경제학상(8일) 등 노벨상 수상자를 발표한다. 혼조 타스쿠 교토대 명예교수가 노벨상 수상 소식을 ... ...
노벨생리의학상에 면역
치료
전문가 제임스 앨리슨·혼조 다스쿠 수상(2보)
2018.10.01
"앨리슨 교수와 혼조 교수가 면역학 연구를 통해 암
치료
에 일대 혁명을 일으켰으며 암
치료
방법을 근본적으로 변화 시킨 공로를 인정받았다"고 설명했다. ... ...
[2018노벨상] 노벨상 근접 한국 학자 13명…올해 노벨상 3대 관전 포인트는?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화학 분석 장비를 개발한 연구자들이 21명이나 상을 받은 화학상이나, 2015년 말라리아
치료
제처럼 약 개발 연구자가 상을 받을 수 있는 생리의학상 역시 응용 분야 연구가 주목받는다. 직접 제품화를 위한 연구가 아니더라도 노벨상 수상자의 주요 연구는 특허와 곧바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 ...
[2018노벨상]'여성 과학자에겐 유리천장'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있는 까닭이다. 2015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한 투유유(屠呦呦). 개똥쑥에서 말라리아
치료
성분인 아르테미시닌(Artemisinin)을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노벨상수상위원회 제공. 그나마 최근 들어 여성 수상자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2004년과 2009년이 대표적인데 200 ... ...
유방암 항암제 환자 절반만 효과보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28
국내 연구진이 유방암 항암제가 환자 절반에 듣지 않는 근본 원인을 찾았다. 한양대 공구 교수팀은 기존 유방암
치료
제인 ‘허셉틴’에 내 ... 관찰하면 허셉틴에 대한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다”며 “ADAM10/17 저해제로 허셉틴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땡큐 슈퍼맨~"…하반신 마비 환자들"두 발로 다시 걷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28
치료
를 받고 혼자 집 앞 잔디밭을 걸을 수 있을 정도로 좋아졌다. 마퀴스 씨도 루이빌대
치료
를 통해 홀로 걷기에 성공했다. 연구진은 "아직은 신호가 완전하지 않아 겨우 보행을 하는 정도에 그친다"며 "관련 연구를 충분히 진행하면 더 정밀하게 신경을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
이전
756
757
758
759
760
761
762
763
7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