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입 속 세상 다스리는 구강청정제 허와 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자연스럽게 목이나 혀에도 살균·소독 성분이 작용할 수 있다. 한미약품연구소 최용석
개발
팀장은 “구강 수술 후뿐만 아니라 초기 감기 증상이 나타날 때 목 부분을 소독할 목적으로 염화벤제토늄 성분이 함유된 구강청정제를 사용할 수 있다”고 말한다.편의점에서 구입할 수 있는 구강청정제의 ... ...
레고처럼 조립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과정을 등급 1-5(5가 가장 우수)까지 평가한다. 이를 통해 소프트웨어 업체가 얼마나 좋은
개발
절차를 따르는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CMM 등급 5는 곧 수출의 지름길인 것이다. CMM 등급 5의 40%가 인도업체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업체에도 CMM을 도입함으로써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를 개선하고자 하는 ... ...
가가린은 세계 최초 우주인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물론 과거 우주
개발
뿐 아니라 최근 우주왕복선 컬럼비아호 사고에서 봤듯이 유인 우주
개발
은 우주비행사들의 희생 위에서 발전하고 있음이 명백한 사실이다 ... ...
② 시험관에서 이뤄지는 DNA 진화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출현하는지도 예측 할 수 있다. 미래에 출현할 바이러스에 대한 신약을 현재에 미리
개발
할 수 있는 것이다.DNA 차원에서 이뤄지는 인위적 진화기법에는 유전자 진화기술 이외에 ‘게놈 혼합기술’이라는 기법도 있다. 이 기술은 주로 동종의 박테리아나 곰팡이로부터 원형질체(세포막과 세포질, ... ...
머리가 편안해야 장수한다 베개의 과학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대기권을 통과할 때 우주비행사들이 받아야하는 엄청난 충격을 흡수·분산시키기 위해
개발
했다는 메모리폼은 인공적으로 만들어졌다는 사실 외에는 라텍스와 성질이 거의 비슷하다.이와 같은 베개는 전체가 하나로 이뤄져있기 때문에 보통 천 베개처럼 내용물이 한쪽으로 쏠리는 일이 없다. 소재 ... ...
씨없는 수박의
개발
자는 우장춘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있다고 해서 그들의 탁월성과 뛰어남이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우장춘이 씨없는 수박을
개발
한 과학자가 아니고 이태규가 최초의 이학박사가 아니며 이원철이 새로운 별을 발견한 것이 아닐지라도 그들의 명성은 퇴색되지 않는다. 이들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는 다른 측면에서 뛰어난 과학적 ... ...
차세대 정밀유도폭탄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산소아세틸렌 불꽃으로 가열하여 접착하는 방법 1942년에 스위스의 CF 키르에 의해
개발
되었다 천연 가스의 저장법으로도 널리 이용되는 채유법(採油法)의 하나 유전 또는 인근의 가스전(田)에서 분출되는 고압(高壓) 가스를 유전의 중앙부에 있는 갱정(坑井)에서 압입(壓入)하여 유층(油層) 내의 유체 ... ...
① 메타게놈이 가져온 DNA 연구 혁명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염색체’(BAC, Bacterial Artificial Chromosome) 벡터가 이용된다. 이 벡터는 1992년 김웅진 박사가
개발
한 것으로 크기가 큰 DNA를 분석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BAC 벡터는 인간게놈프로젝트에서도 30억 염기쌍에 이르는 인간 DNA 염기서열을 분석할 때 이용됐을 뿐 아니라 쥐와 벼의 게놈 분석도 이 방법을 ...
암울한 미래 디스토피아의 자화상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움직이는 목표물에 대해 먼저 미사일을 발사하고 나중에 보고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개발
중이라고 한다. 물론 현재의 시스템은 인공지능이 아닌 기계적 판단에 의존하지만 멀지 않은 미래에 국가의 안보는 터미네이터의 스카이넷이라는 괴물이 담당하게 될지 모른다.한편 ‘매트릭스’는 ... ...
0.3초만에 시선 사로잡기 간판의 과학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요소뿐 아니라 들리는 소리로써 정보를 전달하는 ‘사인음’(signature sound)의 형태로까지
개발
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사인음을 공공영역으로 확장시켜 ‘보는 간판’이 아닌 ‘듣는 간판’의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사인음을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어떤 음색과 멜로디를 어떤 템포로 구성할 것인지 ... ...
이전
757
758
759
760
761
762
763
764
7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