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름 12㎝원반에 책6백권 정보기억하는 전자책 CD롬 시대 온다과학동아 l1992년 11호
- 하자. 종이로 된 책은 아시아의 어떤 지명을 찾기 위해서 그 지역의 지도를 펼쳐놓고 작은 활자를 샅샅이 뒤져야 한다. 그러나 CD롬 지도책은 그 지명을 선택만 하면 그 지명이 수록된 지도가 화면에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그 지명에 속한 관광지나 역사적인 유물, 그리고 인구 특산물 등 지리적인 ... ...
- 태극마크를 둘로 나눠라!과학동아 l1992년 11호
- 그 사잇각은 arctan 2/5—arctan 3/8=arctan 1/46=1.245˚. 이 각도는 육안으로는 판별하기 어려운 작은 각이고, 이 때문에 착오가 일어난다.arctan의 계산에 대해 알고 싶어하는 독자를 위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rctan 2/5-arctan 3/8=arctan c라 놓고 풀 때, arctan 2/5=α, arct ...
- (3) 한반도의 공룡과학동아 l1992년 11호
- 포유류도 중생대 초기부터 생존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대개 현생 들쥐 정도의 체구가 작은 것들뿐이었다. 그러므로 이 시대의 지층에서 거대한 골격의 화석이나 큰 발자국이 나타나면 고생물학자들은 이를 안심하고 공룡의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남해안 일대에서 발자국 발견그러면 한국에서 ... ...
- 1. 고집적 어디까지 가능한가과학동아 l1992년 11호
- 이러한 일련의 공정을 십수번 반복하여 만드는 것인 데, 1㎜의 1천분의 1보다도 더 작은 속에 만들어가는 것이기 때문에 그야말로 초첨단의 기술들이 필요하다.기가세대를 여는 리소그래피 기술G급 메모리를 구성하는 메모리셀의 크기는 선폭이 0.15u이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이것은 머리카락 ... ...
- (2) 공룡은 왜 사라졌나과학동아 l1992년 11호
- 등 이상발달로 인해 오히려 생존에 불리하게 돼 멸망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몸길이 1m의 작은 공룡도 있었고 날씬하고 잘 달리던 것들도 있었는데 모두 절멸했던 것은 왜 인가?먼저 먹이 때문이었다는 주장이 있다. 예를 들면 공룡은 나자식물에 적응했었는데, 현화식물이 번성하게 됐을 때 미처 ... ...
- 실크로드과학동아 l1992년 11호
- 섞인 땅으로 이곳 사람들은 이를 흔히 '고비'라고 한다. 낙타풀은 잎이나 줄기가 억센 작은 가시덤불 모양의 사막식물인데, 지나가는 낙타가 즐겨 먹는다. 오후에는 하루에도 여러 차례 하늘을 가릴 정도의 모래바람이 불고, 한낮의 뙤약볕 아래에서는 용트림과 같은 회오리 바람이 모래를 안고 ... ...
- 2. 미래의 반도체 어떻게 달라지나과학동아 l1992년 11호
- 등은 이미 실용단계에 있다.뇌세포와 바이오컴퓨터,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바이오칩의 제작은 아직도 요원하다. 반도체소서 정보를 전달하는 전자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생체재료가 수없이 많을 뿐 아니라 이들의 합성, 분해과정이 잘 알려져 있지 않아서 이들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 ...
- 별은 죽어 무엇을 남기나과학동아 l1992년 11호
- 수축을 멈추고 안정된 구조를 회복하게 된다. 즉 M<1.4M⊙인 경우에는 백색왜성이라는 작은 별이 된다. 여기서 한계값인 1.4M⊙를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찬드라세카르(Chandrasekhar)의 한계라고 부른다 찬드라세카르는 인도 태생의 미국 천문학자로 1983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백색왜성은 마치 서서히 ... ...
- 오존층 파괴 현상 날로 심각과학동아 l1992년 11호
- "이번에 남극에서 발견된 오존구멍의 크기가 예년에 비해 큰 것만은 확실하다. 그러나 작은 얼음알갱이가 줄어들면 이 구멍도 보름 후에는 다시 막힐 것이므로 자세한 분석결과를 지켜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면서 "올봄 북반구에서의 오존량 감소 등 여러 곳에서의 관측결과를 놓고 볼 때 사태가 ... ...
- 염색체 21Q·Y염색체 유전지도 완성됐다과학동아 l1992년 11호
- 염색체들중 가장 작은 것개미 몸체모양인 염색체 21은 인체게놈 내의 염색체들중 가장 작은 것인데, 반복유전 정보가 있는 위 부분의 염색체 21p와 신경계 질환 및 많은 관련유전자가 존재하는 아래부분의 염색체 21q로 구성돼 있다. 그동안 많은 과학자들의 연구노력으로 5백명에 한명 정도의 ... ...
이전7587597607617627637647657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