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
전부
온갖
모두
죄다
전반
전
뉴스
"
모든
"(으)로 총 8,200건 검색되었습니다.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2014.08.04
체온이 40도를 넘기도 했다. 의료진은 당시 막 개발된 인간 인터페론을 비롯해
모든
수단을 동원했는데 자이르 킨샤사에서 급송한 소피의 혈장을 주사하기도 했다. 공식적인 첫 사망자인 마발로의 아내인 소피는 병에서 살아남았기 때문에 혈액에 에볼라 바이러스 항체가 있을 것이므로 혈장이 ... ...
미술관 옆 물리학
과학동아
l
2014.08.03
더불어 태양의 따뜻함과 블랙홀의 깊은 어둠 등과 같은 과학상식도 담아냈다. 이
모든
이야기를 따라가는 사이 물리학 이론을 이해하고 과학자의 삶과 과학사의 흐름까지 살필 수 있으니 ‘일석삼조’가 거뜬하다. ... ...
[2014서울서계수학자대회 기념] 필즈 포커스-2014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4.08.01
*편집자주 8월 13일부터 21일까지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립니다. 에서는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를 맞아 2014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일지 예측하고 직접 투표해 볼 수 있는 특별 섹션 '필즈 포커스'를 마련했습니다. '필즈 포커스'에서는 이뿐만 아니라 필즈상 수상 ... ...
“당신은 동요하고 있습니까?”
과학동아
l
2014.07.27
중 닉은 우연히 누워있는 헤일리를 발견하지만 데이먼은 “인간(Human)이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취해놓았다”는 말로 닉을 안심시키려 한다. 이미 영화는 닉과 조나가 외딴 집에 들어가던 순간을 기점으로 한 순간도 관객이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게 만든 상태다. 닉이 독방에 갇혀있을 때 환풍기 ... ...
자신이 가장 똑똑한 사람일 필요는 없다
과학동아
l
2014.07.27
함축해서 담았다. 덕분에 독자는 더 빨리 핵심만 파악할 수 있다. 주제는 ‘알아야 할
모든
것’이라는 제목에 걸맞게 정말 다양하다. 활과 화살의 발명에서부터 화약은 물론 헬리콥터와 텔레비전, 아이패드까지 다룬다. 빅뱅 이전의 시간과 빅뱅, 지구의 탄생에 이어 유목생활의 종결 그리고 ... ...
“겨울철 교통지도 하는 어머니 보면서 ‘발로 부는 호루라기’ 떠올려”
과학동아
l
2014.07.24
물로켓대회 등에 참여했는데 이 경험이 많은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이
모든
과정을 나 양과 함께한 이 학교 전신용 교사는 “6개월 동안 거의 매일 저녁에 만나 연구했지만 현명이는 지겨워하지 않았고, 매번 작품이 나올 때마다 녹색어머니회에 직접 가지고 가 써 보라고 하는 등 ... ...
마셜 박사가 헬리코박터균을 마신 이유
과학동아
l
2014.07.20
로켓이 지구의 중력을 뿌리치고 탈출하려면 얼마나 빨리 날아야 할지. 저자는 이런
모든
X를 구하는 답에 ‘인생’을 갖다 붙인다. 진정한 사랑을 만나기 위해서는 확률을 적용하고, 춤 교습에 벡터가 나온다. 위상수학을 이용하면 베이글에 크림치즈도 더 많이 바를 수 있다. 수학이 ... ...
휙휙 달리고, 끼이익 서고 무인자동차 나가신다
과학동아
l
2014.07.17
인식하고 제동해 충돌하지 않아야 최종 성공이었다. 결승에 참가한 총 20팀 중 2팀이
모든
과제를 수행하고 완주에 성공했다. 서울과기대 ‘런런’ 팀이 39.875초의 기록으로 우승을 차지했고, 아주대의 ‘밥은 먹고하냐’ 팀은 43.968초로 준우승을 차지했다. 런런 팀의 팀장인 조지훈(서울과기대 ... ...
사고만큼 두려운, 반복되는 그날의 기억
2014.07.16
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원인은 외상적 사건이지만 외상적 사건을 경험한
모든
사람에게서 이 병이 발병하지는 않는다. 사건 이전이나 이후의 생물학적, 정신사회적 요소가 발병에 관련되기 때문이다. 개인별로 받아들이는 외상적 사건의 의미 또한 매우 중요한 요소다. 외상 후 스트레스 ... ...
1세 아기들 뇌 직접 찍어보니…
과학동아
l
2014.07.15
감지할 수 있는 장비다. 실험 결과 주위 사람의 말소리가 들릴 때 실험에 참여한
모든
아기의 뇌 속 특정 부위가 활성화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활성화 된 뇌 부위는 말소리를 구분할 수 있는 ‘상측두회(superior temporal gyrus)’와 말하기에 필요한 근육을 움직이는 ‘브로카 영역(Broca's area ... ...
이전
758
759
760
761
762
763
764
765
7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