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d라이브러리
"
약
"(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고효율·무공해 두마리 토끼 잡는다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폐열로 방출되는 셈이다. 따라서 전기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는 효율은 이상적으로는
약
89%나 된다.그러나 실제로 연료전지에서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면 연료가 공급되는 속도만큼 전기화학반응이 빠르지 않고, 구성요소간의 저항이 있을 뿐 아니라 전극에서 연료나 산소의 농도 차이가 생기는 등 ... ...
② 아파트 단지에 설치된 작은 발전소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진행중이다. 환경을 중시하는 21세기에 들어서면 연료전지는 초기에 전세계 발전량의
약
10%, 그리고 2050년에는 현재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설비의 절반 이상을 연료전지가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지금 연료전지는 미래의 기술이 아닌 바로 우리 눈앞의 기술로 다가오고 있다 ... ...
음식에 대한 극단적인 거부와 집착 301 302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보면 ‘대식’에 대한 종교적인 입장이 간략하게 소개돼 있다.최근에는 우울증 치료
약
이 폭식증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계속 보고되고 있어 세로토닌이나 노아에프네프린 같은 우울증 관련 호르몬이 폭식 증세와도 연관 있을 것으로 보고 한창 연구중이다.음식 문화에 관한 한, 현대 사회는 ... ...
이천 도예마을(陶藝) - 불을 다스리는 노하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어떤 색이 나오는지를 확인하고 그 뒷면에 바른 유
약
의 종류를 적어놓았던 것이다.유
약
성분을 알아본 다음 영릉으로 향했다. 그곳에서 세종대왕 시대에 나왔던 수준 높은 천문관측 도구에 대해서 과학적으로 탐구했다. 그리고 세종전에 들러 서책류, 악기류, 기록화, 화포, 과학기구 등을 관찰하는 ... ...
달은 매일 어떻게 뜨고 지나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52분씩 더 늦게 뜨고 진다. 따라서 문제(2)의 정답은 A가 되겠다. 즉 달은 어제 밤 21시보다
약
52분 늦게 떠서 더 동쪽에 있는 것이다. 오늘밤 22시에는 21시의 위치에서 서쪽으로 15°더 회전했으므로 어제 21시 위치에 거의 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문제(3)의 정답은 B가 된다.달의 공전주기가 3일로 ... ...
① 인간유전체기능 연구사업단장 유향숙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지난 2월 인간게놈프로젝트 국제컨소시엄(HGP)과 미국의 셀레라 지노믹스사가 인간게놈프로젝트를 완성했다는 발표가 국내외 언론에 크게 보도됐다. 다름아닌 인간 ... 특이 유전자를 포함한 특허 유전자를 1백종 이상 확보하고 한국인 난치병에 대한 DNA진단칩과 신
약
을 개발할 수 있다 ... ...
한국인 게놈지도 초안 6월 발표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이번 달 안에 12개 염색체 중 덩치가 가장 큰 1번 염색체의 게놈 지도를 발표할 예정이다.
약
5천만개의 염기쌍으로 이뤄진 1번 염색체의 해독은 일본과 우리나라가 맡고 있다. 이 중 우리나라가 맡은 부분은 3백만개. 현재 마무리 연구가 한창이다.원래 우리나라는 농업과학기술원이 주축이 돼 4억 ... ...
바이오벤처 전략의 교과서 유진사이언스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소비자들의 영양 패턴과 유전자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개인별 맞춤의
약
품 개발을 위한 정보로 활용할 계획이다.유진사이언스는 이미 산업자원부 차세대 신기술 개발사업 중 단백질 칩 세부과제 총괄기관으로 선정돼 이 같은 목표를 위한 준비작업에 들어갔다. 지난해 12월부터 시작된 ... ...
생명의 파노라마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분자들이 상호작용해 생물을 살아가게 만든다. 이런 공통점들은 생물의 모든 형태가
약
40억년 전에 시작된 하나의 단세포 생물이라는 추론을 가능케 한다. 생명체의 미세구조들을 현미경으로 바라보는 것처럼 면밀하게 그려낸 그림은 생물체에 대한 이해를 훨씬 쉽게 만들어준다.책 내용을 자세히 ... ...
근육 움직임 모사해 나노구동에 도전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1나노미터(nm)라면 10억분의 1m가 되는 것이다. 이 크기는 머리카락 굵기보다
약
10만배나 작은 정도다. 비유하자면 사람에서 1nm 크기의 물체를 찾는 일은 태양에서 사람을 찾는 일과 비슷하다.이렇게 엄청나게 작은 크기를 찾는 일은 둘째 치더라도 이 정도를 움직이는 일은 어떨까. 나노 길이 정도를 ... ...
이전
760
761
762
763
764
765
766
767
7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