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d라이브러리
"
1
"(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기계를 내 몸처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9호
밝혔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아이언맨 기술이 한자리에! 사이배슬론Part
1
. 따뜻한 올림픽Part 2. 기계를 내 몸처럼!Part 3. 근육을 내 맘대로!Part 4. 뇌파를 내 손처럼!Part 5. 사이배슬론 공개훈련 현장 ... ...
Part 4. 뇌파를 내 손처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9호
‘워크 어게인’, 즉 ‘다시 걷다’라는 뜻이지요.워크 어게인 프로젝트로 환자 8명이
1
년간 매주 2시간씩 훈련한 결과 대부분의 환자가 로봇만 입고 걸을 수 있게 되었어요. 여러 재활 기술이 결합한 좋은 예시랍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아이언맨 기술이 한자리에! 사이배슬론Part
1
. ... ...
[도전! 코드마스터] 좋은 알고리즘은 빠른 알고리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9호
할 수 있답니다. 단, 시간복잡도만으로 알고리즘을 판단하기 어려울 때도 있어요. ‘
1
부터
1
0까지의 수를 정렬하라’처럼 해결해야 할 데이터의 수가 너무 적으면 거품 정렬처럼 적은 양의 명령어로 간단하게 만든 알고리즘이 더 좋은 방법이에요.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더 정확한 답을 ... ...
[교과연계수업] 한반도가 흔들~, 한반도가 깜짝!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9호
하는지 행동 수칙을 배운다.4. 교과 연계초등 4학년 2학기 과학 (화산과 지진), 중등
1
학년 과학 (화산 활동과 지진) 등5. 수업 지도 순서포항 지진, 경주 지진 사례 영상(유튜브 등에서 검색) 함께 보기 ▶ 한반도 지진의 발생원인 알아보기 ▶ 이것만은 꼭 알자! Q&A로 개념 이해하기 ▶ 지진 ... ...
[긴급취재] 최대 규모 지진 발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9호
32배만큼 커져요. 규모 5.
1
과 5.8은 약
11
배의 에너지 차이가 나지요. 즉 전진보다 본진이
11
배 크고 강했다는 뜻이랍니다.Q5 우리나라 건물은 내진설계가 잘 되어 있나요?내진설계는 지진이 일어났을 때 땅의 진동으로 인해 건물이 무너지거나 부서지지 않도록 건물을 짓는 걸 말해요. 우리나라는
1
98 . ...
[과학뉴스] 온몸이 말랑말랑~ 문어 로봇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이용해 움직이기 때문에 금속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지요. 5cm 크기의 옥토봇은
1
mL의 과산화수소로 최대
1
2분 30초까지 움직일 수 있답니다. 또한 다리 끝은 최대 80°까지 구부릴 수 있지요.제니퍼 교수는 “현재 옥토봇은 단순한 동작만 가능하지만 앞으로 더 다양한 움직임이 가능할 것”이라고 ... ...
[해외취재] 비만 잡는 ‘움직이는 학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때문이에요.핀란드는 어린이의 비만과 과체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서 큰 문제였어요.
1
997~20
1
3년에 실시한 학교건강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세이나요키가 속한 핀란드 남포흐얀마 지역의 8~9학년(
1
4~
1
5세) 학생의 경우 *과체중이나 비만인 여학생은 8%에서
1
4%로, 남학생은
1
...
[도전! 코드마스터] 하노이의 탑을 옮기는 데 걸리는 시간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n이 64개니까 2의 64승에서
1
을 빼면 되겠죠? 답은
1
844경 6744조 737억 955만
1
6
1
5번이랍니다.
1
초에 하나씩 옮긴다 해도 5800억 년 이상이 걸리지요. 세상 멸망은 아직 한참 남았으니 다들 안심하세요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노란 바나나의 색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껍질을 깎은 사과나 감자가 갈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갈변 현상’이라고 불러요. 과일과 채소의 독특한 맛과 색깔을 내는 ‘폴리페놀’이 원인이랍니다.사과나 감자를 칼로 깎으면 세포가 손상되며 ‘폴리페놀 산화효소’가 나와요. 그러면 폴리페놀이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며 갈색의 ‘퀴논 ... ...
Part 3. 유물에서 역사를 읽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그래서 바다에서 건진 유물은 우선 증류수가 가득한 수조에 담가요. 바닷물의 염도는
1
만 8000ppm 정도예요. 수돗물은
1
00ppm 미만, 증류수는 5ppm 미만이지요. 유물을 담가 둔 물의 염도가 수돗물 수준이 되면 탈염이 완성돼요.탈염을 마친 뒤에는 X-ray로 유물의 내부 구조를 촬영해요. 쉽게 깨지거나 ... ...
이전
760
761
762
763
764
765
766
767
7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