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료
데이타
정보
data
인포메이션
은행
뉴스
"
데이터
"(으)로 총 8,267건 검색되었습니다.
굿바이, 필레~ 인류 첫 혜성 탐사선 영구 동면 들어가
2016.02.16
데이터
를 지구로 보냈다. 마크 매코그린 영국 엑서터대 교수는 “필레가 수집한
데이터
분석에만 수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며 “태양계의 진화 과정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과학으로 지키는 발렌타인데이 ③] 연인보다 솔로가 좋은 이유
2016.02.14
형제를 가진 1659명을 16세 무렵의 청소년기부터 29세까지 장기적으로 추적 조사한 연구
데이터
를 이용해 이른 성경험 그룹(15세 이전), 보통 그룹(15~19세), 늦은 그룹(19세 이후)으로 나눠 분석했다. 그 결과 늦은 그룹의 경우 교육과 소득 수준이 높을 뿐만 아니라 성인이 되고 난 후 만난 연인에게 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60]아인슈타인도 두 번 놀랐을 중력파 검출 성공!
2016.02.13
팔 길이가 600m에 불과한 GEO 600은 신호를 잡지 못했다. 당시 라이고 프로젝트는
데이터
를 분석해 6000만~1억8000만 광년 떨어진 곳의 블랙홀이 병합할 때 발생한 중력파라고 결론지으며 이 사건을 ‘GW100916’이라고 명명했다. 이듬해 3월 14일 주최측은 이 신호가 가짜임을 발표해 과학자들을 ... ...
[101년 만에 중력파 검출] 韓 연구진, 중력파 검출에 직접 참여
2016.02.12
건설될 예정인 초대형 중력파 검출기다. 이 교수는 “2011년부터 카그라에서 나오는
데이터
를 처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등 일본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판 중력파 검출 프로젝트도 검토 중이다. 초전도 기술을 이용해 0.1~10Hz(헤르츠)의 파동을 검출할 수 있는 저주파 ... ...
미국 車시장... 소형차 지고, 크로스오버 SUVㆍ픽업트럭 뜨나
동아일보
l
2016.02.12
수납공간도 훨씬 더 넉넉한 것도 플러스 요인”이라고 말했다. 이런 시장의 변화는 최근
데이터
로도 잘 나타나고 있다. USA투데이에 따르면 지난해 1월과 올해 1월 미국에서 팔린 자동차 판매량에는 큰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소형차 수요는 11.3% 감소한 반면, 스포츠 웨건과 크로스오버 차량 등은 ... ...
[동아광장/이광형]구글 ‘알파고’와 대국할 이세돌 9단에게
동아일보
l
2016.02.12
딥러닝은 인간의 뇌세포 사이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모방한 인공지능 기술이다. 대규모
데이터
를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자율적으로 학습하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성능을 향상시킬 때에는 상대방이 필요하다. 즉 내가 만드는 프로그램이 상대하며 연습을 하게 ... ...
[2015년] 일반상대성이론의 마지막 선물
2016.02.12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이 있다. 2009년 9월 라이고과학협력단의 검출기에서 나온
데이터
를 슈퍼컴퓨터로 분석하는 연구에 참여해왔다. 아울러 차세대 중력파 검출기에 대한 실험도 함께하고 있다. 중력파로 우주의 비밀을 파헤칠 임무는 이제 미래의 물리학자, 천문학자인 여러분의 몫으로 ... ...
[2014년] 바이셉2 망원경의 역사적인 발견 vs 노이즈로 인한 착각?!①
과학동아
l
2016.02.12
이용하는 극정밀 탐지기 512개를 동원해서 2010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측정한
데이터
를 분석했다. 탐지기가 작동하는 온도가 0.25K일정도로 예민하기 때문에 이들이 남극까지 간 것이다. 남극은 온도와 습도가 낮고 대기가 가장 안정적이라서 주변 잡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하버드-스미스소니언 ... ...
[2014년] 바이셉2 망원경의 역사적인 발견 vs 노이즈로 인한 착각?!②
2016.02.12
흔적이 아닐 가능성이 커지는 것”이라 설명했다. 6일 발표된 플랑크우주망원경의 관측
데이터
에서 빠진 영역은 이르면 2014년 10월 완성된다. 연구의 최종 성공 여부는 그 때 확실해질 것이다. ☞ [2014년] 바이셉2 망원경의 역사적인 발견 vs 노이즈로 인한 착각?!① ※ 출처: [d라이브러리] ... ...
[‘한강의 기적’ 일군 과학기술 50년 中]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TDX에서 차세대 무선이동통신까지
2016.02.12
홀로그램 기술로 평가받는다. 10㎝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영화 3편에 달하는 대용량
데이터
를 1초 만에 전송할 수 있는 차세대 근접무선통신 ‘징(Zing)’ 기술 개발도 세계 최초다. 이는 초당 3.5기가비트(Gbps)급의 인터넷 속도로 기존 근거리무선통신(NFC) 기술보다 전송 속도가 8000배나 빠르면서 ... ...
이전
760
761
762
763
764
765
766
767
7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