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765건 검색되었습니다.
오, 놀라워라~ 파도 쳐도 바위에서 안 떨어지는 홍합 접착력
2015.05.20
특정 환경에서 물질을 방출하는 단백질 나노입자를 개발했다. 차형준 포스텍 화학
공학
과 교수팀은 홍합이 바위에 붙어 있는 원리를 이용해서 약물 전달로 쓸 수 있는 접착성 단백질 나노입자를 만들고 국제학술지 ‘안게반테 캐미(Angewante Chemie)’ 12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홍합이 ... ...
탄소나노튜브가 이런 데까지?
2015.05.20
화학생물
공학
부 교수, 이홍희 명예교수, 이병호 기계항공
공학
부 연구원, 백영빈 화학생물
공학
부 박사(왼쪽부터). -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 물을 통과시키는 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수처리 막을 개발했다. 김용협, 윤제용, 이홍희 서울대 교수팀은 탄소나노튜브를 ... ...
[청년드림]윤성규 장관의 환경분야 취업 조언
동아일보
l
2015.05.20
알았다. 건설부에서 근무하면서 틈틈이 고시를 준비했다. 이런 중에 한양대 기계
공학
과 야간과정 3학년으로 편입해 학업까지 병행했다. 그리고 1977년 기술고시에 합격했다. 곡절 많던 자신의 젊은 한때를 청년들에게 들려주던 윤 장관은 “돌아보면 그때는 형편에 맞춰 되는 대로 움직였던 것 같다. ... ...
2014 브라질월드컵 ‘기적의 시축’ 만든 니콜렐리스 교수
2015.05.20
중구 을지로7가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만났다. 그는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뇌
공학
분야를 개척했다. 1999년 쥐가 자신의 생각을 이용해 로봇팔을 움직여 먹을 것을 얻도록 한 실험을 시작으로 2008년엔 미국에 있는 원숭이가 생각을 통해 일본에 있는 로봇 다리를 움직이도록 하는 데 ... ...
5분이면 얇고 휘어지는 전자소재가 ‘뙇’!
2015.05.18
윤명한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
공학
과 교수와 박성규 중앙대 전자전기
공학
부 교수팀은 그간 제작하는 데 2시간 이상 필요하고 가격도 높은 초박막 전자소재를 5분 만에 만들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팀은 두께가 25㎚(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로 매우 얇고 ... ...
‘뜨는’ 인도와 ‘되돌아온’ 쿠바
2015.05.17
또 정부에서는 ‘생명
공학
부(Department of Biotechnology)’라는 부처를 따로 두고 생명
공학
연구를 집중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네이처는 인도가 진정한 과학기술 강국의 반열에 오르기 위해서는 아직 풀어야 할 숙제가 있다고 지적한다. 대학만 700개나 되지만 교육 환경은 여전히 열악하고, 정부 ... ...
도심형 싱크홀, 인공위성으로 잡는다
2015.05.15
아리랑 5호에는 파장이 수 cm인 X밴드 레이더가 달려 있다. 정형섭 서울시립대 공간정보
공학
과 교수는 “아리랑 5호가 보내오는 영상을 분석해 도심 싱크홀이 발생하기 쉬운 곳을 예측할 수 있다”면서 “현재 아리랑 5호가 28일 주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만큼 발사 후 3년 정도 지나면 싱크홀 예측에 ... ...
깨끗한 수돗물이 퐁퐁~! K-water 성남 정수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5.14
부족한 사막지역은 물론 섬에 사는 주민들에게도 유용한 기술이랍니다. Q 박사님처럼 물
공학
자가 되려면 어떤 공부를 해야 하나요? 과학 공부를 열심히 하세요. 물을 깨끗하게 하고 환경을 지키는 기술은 대부분 과학적인 원리로 만들어지거든요. 자연과 친해지고 사랑하는 마음을 갖는 것도 ... ...
배터리에 비타민C 넣어 에너지 짜낸다
2015.05.14
받고 있는 리튬황전지의 성능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이재영 광주과학기술원(GIST) 환경
공학
부 교수팀은 비타민C로 처리한 황 나노입자를 활용해 리튬황전지의 성능을 향상시켰다고 14일 밝혔다. 리튬황전지는 휴대전화 등에 널리 쓰이는 리튬이온전지와 비교해 에너지 밀도가 5.4배에 이르는 고용량 ... ...
수화 알아듣는 스마트 장갑
2015.05.13
센서 역할까지 할 수 있는 전도성 섬유를 개발했다. 이태윤 연세대 전기전자
공학
과 교수팀은 최대 3.2배까지 늘어날 뿐 아니라 변형된 정도를 인식해서 센서로 활용할 수 있는 섬유를 만들고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펑셔널 머티리얼스’ 4월 20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최근 IT 기술을 의류에 ... ...
이전
761
762
763
764
765
766
767
768
7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