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독특한 곤충의 생애, 주기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주기로 살아가는 매미 여름마다 들리는 맴맴~ 소리는
우리
에게 친숙한 소리다.
우리
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매미는 매년 나타나는 참매미다. 그러나 모든 매미가 참매미처럼 매년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북아메리카에서 17년 주기로 살아가는 17년매미가 바로 그 주인공. 17년 주기에는 소수의 ... ...
점과 선의 그림, 그래프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오일러의 발상에 의해 시작된 그래프의 세계로 떠나 보자.항공노선은 얼마나 많이 있나
우리
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다른 나라로 갈 때 주로 비행기를 이용한다. 그런데 가려고 하는 곳마다 비행기가 모두 있을까? 항공노선은 버스노선과 달리 작은 도시까지 노선이 직접 연결되어 있지 ... ...
세상만사 둥글둥글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바퀴를 돈 셈이네요.선생님 : 참 잘했어요. 이처럼 원은 신기하면서도 재밌는 도형이랍니다.
우리
도 원처럼 둥글둥글하면서 알차고 신나게 살기로 해요 ... ...
국내 과학글쓰기의 현주소를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강조했다.“하지만 말처럼 쉽지 않죠. 사회 인식이 바뀌는 동안 과학글쓰기의 빈자리는
우리
같은 사람들이 채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조 기자는 과학저널리스트가 전문가들의 목소리를 대변해 과학글쓰기를 이어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재 국내 지질학자들과 함께 ‘살아 있는 ... ...
part3, 즐겁게 글쓰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그 안에 담아내기만 하면 된다. 크로스워드 퍼즐로 과학 용어 정리하기 일반적으로
우리
는 알고 있는 내용이나 지식을 과학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글을 쓰지만, 거꾸로 무언가를 알고 배우기 위해 글을 쓸 수도 있다. 과학 지식을 활용한 크로스워드 퍼즐 만들기는 가장 쉽고 대표적인 예다.과학을 ... ...
1936년 한스 셀리에 박사의 스트레스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날이 없다. 그 결과 셀리에 교수가 실험에서 보여줬듯이 스트레스가 장기간 지속되면서
우리
몸 곳곳에서 문제가 생긴다.한스 셀리에 교수는 1982년 75세를 일기로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사망했다. 그는 15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40여 권의 과학서적과 대중서적을 냈다. 1956년 출간한, 그의 대중서적 ... ...
세포 구조의 알파와 오메가, 지형류의 발생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통과할 때 어떤 상황을 만나게 되는지 분자의 특성과 연관지어 생각해봅니다. 3)
우리
몸에서 적혈구는 핵이 없는 세포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발달과정에서 핵이 없어진 세포입니다. 적혈구의 본래의 기능에 충실하기 위해 적혈구가 어떤 선택을 했는지 생각해보세요. 그리고 미토콘드리아가 ... ...
녹색 지구를 위해
우리
가 할 일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직시할 수 있을 것입니다. 동시에 좀 더 환경친화적이며 맑고 깨끗한 녹색 지구를 위해
우리
가 할 수 있는 일이 될 것입니다.위와 같은 사항이 제10차 생물다양성 협약 총회에서 내려진 결론임을 알려드리는 바이며 오랜 시간 동안 여러 갈등 문제들을 해소하고자 함께 힘써주신 여러분께 다시 한 번 ... ...
Text Messaging To Be Self-destructed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A few months ago, the world first learned about TigerText. TigerText is a smart- pone application that allows users to send text messages to other TigerText users that disappear after a set period. So ...
펠리노의 정체를 찾아서~ 안데스 잉카 문명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메리카에서 가장 물이 많이 저장된 호수인 티티카카 호와 페루의 수도 리마를 거쳐서
우리
나라에 돌아왔어요. 힘든 여행이었지만, 안데스의 고대 문화를 느낄 수 있었던 귀중한 기회였답니다 ... ...
이전
762
763
764
765
766
767
768
769
7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