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때"(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벽과 바닥에 숨은 난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각이 150°, 60°, 135°, 105°, 90°이고, 이 각이 마주보는 변의 길이를 각각 c, d, e, a, b라고 할 때, b, d, e가 같고 a가 e의 두 배다. 이렇게 평면을 빈틈없이 채우는 볼록 오각형이 발견된 것은 1985년에 열네 번째 오각형이 발견된 이후 30년 만이다.볼록 오각형은 평면을 빈틈없이 채울 수 있는 도형의 조 ...
- [스토리텔링 교과서 뛰어넘기] 화합과 평화의 상징, 원형 탁자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중식당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원형 회전 식탁은 가운데 회전판이 있어 둘러앉은 사람들이 쉽게 반대편에 있는 음식을 먹을 수 있다. 더불 ... 호가 같으면 현의 길이도 같다. 또 두 호가 같으면 원주각의 크기도 같다. 이런 원의 성질 때문에 원탁에 둘러앉은 사람은 모두 평등한 위치에 놓인다 ... ...
- 전통의 색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물론 그렇지 않습니다. 경제성 못지 않게 문화재의 원형을 되살리는 일도 중요하기 때문에 전통안료에 대한 연구는 필수입니다. 정혜영 복원기술연구실 학예연구사는 “재료와 제조법, 특성을 규명해서 잊혀져 가는 전통안료의 맥을 잇는 것은 꼭 필요한 일”이라며 “현장에서 목적이나 용도에 ... ...
- 카레이서 ‘ 차타니 막달리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그쪽으로 가 주세요. 아차차! 저 표지판을 그대로 보고 가면 안 돼요. 거울에 비춰봤을 때 보이는 모습을 따라가야 한답니다. 슝~!”미션4 트로피를 완성하라!간신히 표지판을 알아맞히고 순서대로 코너를 돌아 가장 먼저 결승점에 들어온 썰렁홈즈. 기진맥진한 가운데 우승했다는 기쁨이 밀려오는 그 ...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이 분들도 취재해보세요. 저랑 비슷한 또래인데 전문가 수준이에요.” 건혁 학생은 어릴 때부터 파브르 곤충기를 많이 읽었다고 했다. 어린이용 파브르 곤충기는 실제와 달라서 별 도움이 안 됐는데, 김진일 교수의 완역본은 학명과 실험방법이 구체적으로 나와 있어서 연구에 도움이 됐다고 한다. ... ...
- [과학뉴스] 귀성길 지긋지긋한 멀미, ‘모자’로 예방한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앉아 멀미가 나는 상황을 경험하게 했다.그 결과 특수 모자를 썼을 때는 쓰지 않았을 때보다 멀미를 훨씬 덜 느끼고, 어지러움 등 증상이 빨리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가 기존의 먹는 약만큼 좋았고, 졸음 등 부작용은 오히려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아르샤드 박사는 “스마트폰 이어폰 연결 ... ...
- [과학뉴스] 유령입자가 충치 막았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어떤 물질과도 좀처럼 반응하지 않아 ‘유령입자’라고 불린다. 하지만 초신성이 폭발할 때 나오는 에너지가 두 물질 간 반응을 촉진해 불소를 만들었을 가능성은 있다. 연구팀은 우주에 존재하는 불소의 3분의 2가 이렇게 만들어졌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사이언스’는 “중성미자가 없었다면 ... ...
- [Life & Tech] 2015 이스라엘 세계과학컨퍼런스 탐방기 “과학은 가장 좋은 대화법”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살충제를 썼어요. 하지만 그렇게 하면 좋은 곤충까지 다 죽일 뿐만 아니라 화학 성분 때문에 우리 몸에도 안 좋습니다. 그래서 저는 초파리에게만 작용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해 초파리를 불임으로 만들었어요. 박테리아를 가득 채운 식물 수술에 초파리가 날아와 앉으면 다리에 박테리아가 묻겠지요. ... ...
- [Hot Issue]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다시 전기를 이용해 모터를 감는다. 이 때 연이 풀린 경로 그대로 감으면 에너지 손실 때문에 생산량 이상의 전기가 필요하다. 카이트젠사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냈다. 연의 한쪽 끈은 풀고 한쪽 끈을 당겨 연을 바람과 수평한 방향으로 돌리는 것이다. 훨씬 적은 전기로 연을 하강시킬 수 있다. ... ...
- [Hot Issue] 조선시대에도 5차 방정식을 풀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서양 수학을 토대로 만들었다. 시헌력이 조선에 들어온 건 인조 26년(1648년)이었다. 그 때까지 세종이 만든 칠정산을 사용하던 조선에서는 시헌력 채택을 두고 치열한 당쟁이 벌어졌다. 시헌력을 시행하자고 주장하던 무리는 칠정산에 한계가 있어 오차가 나기 시작했다는 점을 근거로 삼았고, 이를 ... ...
이전7647657667677687697707717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