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귀에 들리지 않는 곳에서 맹활약한다 초음파의 세계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사용한다. 이들 내부장기에 생긴 암세포 담석 등을 화면에 볼수 있고, 심장 각
부분
의 운동을 관찰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임산부에게 이런 초음파 영상 진단기기를 사용하면 태아의 발육을 체크할 수 있다. 최근에는 영상의 질이 점점 개선되어 태아의 남녀 성감별까지도 가능하게 되었으나 ... ...
내일의 자동차 세라믹차는 어떤 것일까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목적으로 하기보다는 보고 즐기는 귀중품으로 취급되었다. 그러나 지금은 일본의 대
부분
의 백화점에서 진열하고 있고 가정에서도 흔히 사용되는 용품이 되었다.산업용 제품은 구조 세라믹스 제품중 제품화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진 분야인데, 내마모재 세라믹스 베어링 세라믹 절삭공구 등이 있다. ... ...
「흥수아이」를 통해 살펴본 한반도의 구석기 인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굽어 손이 엉덩이뼈 위에 놓였으며 배
부분
에 네모난 판자들이 얹혀 있었다. 2호뼈도 머리
부분
은 없어졌지만 하늘을 향해 곧게 바로 펴 묻은 점으로 보아 당시의 장례습속을 살펴볼 수 있다. 원시인의 지혜두루봉동굴유적들과 흥수아이를 통해 한반도에 살았던 구석기시대 인류의 생활상을 재구성해 ... ...
여름철 피부보호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피부의 이상을 피할 수 있다.아울러 자외선을 받는 일은 가급적 줄여야 한다. 자외선은 대
부분
직사광선에서 나온다. 특시 시간대 별로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가 피크이며, 해변의 흰 모래 물 눈 콘크리트 등에 의해 반사돼 우리 몸안으로 들어온다.형광물질이 내는 빛도 자외선을 방출하나 이 ... ...
제2세대 우주왕복선과 극초음속 여객기개발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수준의 우주왕복선은 아니다. 아직도 매번의 발사 때 소모되는 연료 이외에도 많은
부분
의 구조물을 버린다. 이러한 우주왕복선을 제1세대 우주왕복선이라 한다면 연료 이외에 버리는 것이 전혀 없는 우주왕복선 계획이 제2세대 우주왕복선 개발 계획이다. 이 계획은 극초음속 여객기 개발과 동시에 ... ...
'생명체는 음(-)의 엔트로피를 먹고 산다' 엔트로피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변환시키거나, 이미 변환된 것을 이용하여 자신의 엔트로피를 감소시키고 있는 것.대
부분
의 생명체는 탄소 수소 질소 산소 인 황(CHNOPS)등 몇개 안되는 원소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원소의 존재비율과는 거의 상관이 없다(예를 들어서 지구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규소는 생명체 ... ...
전자시대의 새로운 인간유형 실리콘 밸리의 소년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어린이들은 컴퓨터가 정보를 보내면 순간적으로 반응하여 흘러가는 정보 중 필요한
부분
만을 자신의 지식으로 챙긴다."그들은 모두 일렉트로닉스시대가 낳은 사람들로 내일의 세계에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테크닉을 익히고 있다."그는 '테크노 키드'(techno-kid·과학기술시대의 어린이)의 프로필을 ... ...
개관 1년 앞둔 제2국립과학관 한국과학기술사를 재현한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최근 건물완공을 보지 못하고 세상을 떠나 마지막 유작이 된 셈.과학관건설의 핵심적인
부분
은 역시 전시계획과 전시물의 수집 및 제작이다. 과학관 관계자들도 이 부문에 가장 오랫동안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전시계획은 83년말부터 서울대 김봉균교수팀과 과학기술원 연구팀이 2차례에 걸쳐 ... ...
TV과외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면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일회성의 성격이 진하다. 일단 방송이 나간 후에는 흘러가버리기 때문에 강의내용이 핵심
부분
을 놓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는 학생들이 너무 필기에 집착하는 나머지 범하기 쉬운 과오이기도 하다.핵심사항의 필기도 중요하겠지만,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전반적인 강의내용의 흐름을 머리 속에 ... ...
TDX-1B개통을 계기로 본 국산 전자교환기의 역사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취약점을 안고 있었다.70년대초 반도체 집적회로 및 소자(素子)기술의 발달로 통화로
부분
의 전자화가 실현됐는데 이를 '전(全)전자교환기' 또는 '디지틀교환기' '시(時)분활교환기'라 부르고 있다.프랑스 '알카텔'사가 70년 처음으로 전전자교환기 'E10A'를 개발했고 75년 스웨덴 '에릭슨'사가 'AXE-10'을 ... ...
이전
764
765
766
767
768
769
770
771
7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