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2. 거대로봇 가능할까과학동아 l2006년 03호
- 나눌 수 있다. 대부분은 바퀴형으로 개발될 것이다. 그러나 바퀴로 접근이 어려운 45도 이상의 경사와 절벽 오르기 등의 목적으로는 다족보행형이 유리하다. 몸체는 방호와 공격이 쉽도록 다양한 모습이 등장할 것이다.현재의 기술로는 크기 약 6m, 무게 6t 정도의 2족 보행 로봇이 가능할 것이다. ... ...
- 똑똑하게 해 주세요, 하느님과학동아 l2006년 03호
- 우선 주위 신경조직들과 시냅스로 연결돼야 한다. 인간의 신경조직은 세포 하나당 1000개 이상의 연결통로를 가지고 있다. 이들 모두가 올바르게 연결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신경세포가 제대로 연결된다 하더라도 세포가 일찍 죽어버리거나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나면 아무 소용이 없다. 게다가 ... ...
- 도둑, 고주파에 딱 걸렸어!과학동아 l2006년 03호
- 고주파를 발사해 돌아오는 신호를 탐지하는 기술이다. 24기가헤르츠(1GHz=${10}^{9}$Hz) 이상의 고주파를 이용하면 사람의 미세한 움직임도 포착할 수 있다. 레이더에서 정지한 물체에 전파를 쏘면 쏠 때와 물체에 부딪혀 돌아올 때의 주파수가 동일하다. 그러나 물체가 움직이면 주파수가 달라져 물체의 ... ...
- IT꿈나무, ★나라행 티켓을 따다과학동아 l2006년 03호
- 새로운 문제를 풀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응모자들이 중도에 포기해버렸다. 허 씨는 “1회 이상 만점자 중 추첨을 해서 한 명을 뽑는 거였는데 운이 많이 따라준 것 같다”고 말한다.이번 대회에는 수업시간에 배운 지식과 전공서적을 철저히 활용했다. 수업시간에 배운 JAVA나 C, 닷넷은 든든한 배경 ... ...
- 부끄럼 많은 태양계의 외톨박이과학동아 l2006년 02호
- 현재까지 알려진 QBO의 수와 크기를 감안할 때, 지름이 100km 이상인 소행성의 수는 7만개 이상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는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 수보다 수백 배 더 많은 것이다. 카이퍼 벨트 전체의 질량은 지구의 약 1/10에 해당하리라고 추산된다.QBO들은 태양계의 형성 초기에 다른 행성들을 ... ...
- 특집3. 사람 살리는 당과학동아 l2006년 02호
- 성능 향상에 효율적임이 입증된 셈이다. 아라네스프는 기존 제품에 비해 투여 간격이 3배 이상 길어져 환자의 편의를 크게 증진시키기도 했다.탄수화물 의약품인 헤파린도 한 예다. 천연 헤파린은 크기와 순서가 다른 선형 다당류의 혼합물로 항응고 효과 외에도 부작용이 많다. 여기서 필요 없는 ... ...
- 미래 정보저장기술의 주인공과학동아 l2006년 02호
-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다. 하지만 위의 4가지 기술 중 적어도 하나는 5년 안에 500GB~ 1TB 이상의 고용량 광정보저장기기로 발전해 수백억 달러의 정보저장시장을 석권할 것으로 확신한다. 이를 위해 필자를 비롯한 많은 연구자들이 초정밀 나노 기술의 융합체인 광정보저장기기 분야에서 활발하게 ... ...
- 반도체 칩 위의 건축가들과학동아 l2006년 02호
- 칩을 디자인하는 방법을 연구한다.VLSI(초대규모 집적회로)는 실리콘 기판 위에 100만개 이상의 소자가 집적된 회로다. 오늘날 사용하는 컴퓨터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모두 VLSI다.VLSI 반도체는 라디오처럼 트랜지스터를 하나씩 맞춰가는 방법으로는 설계하는데 시간과 공력이 너무 많이 든다. 따라서 ... ...
- 11개 중 2개의 진실과학동아 l2006년 02호
- 보자마자 답을 알았는데, 방학이 끝나고 보니 나 혼자 정답을 적었다.원래 문제처럼 2개 이상의 대상을 찾아야 하는 경우에는 이진법을 쓰는 것이 간단하다. 우선 번호 순서대로 0, 1, 2, 4, 8, 16, …, 512개를 꺼낸다. 모두가 가짜라면 10240g이 나와야 한다. 만약 10243g이 나왔다면 모두가 가짜일 때에 비해 ... ...
- 태양계의 미답지로 가는 여행과학동아 l2006년 02호
- 3권에서는 수사(數詞)·미지수 계산기호 등을 사용하여 대수식을 만들었다변수를 1개 이상 포함하고 정수(整數)를 계수로 가진 대수방정식 즉, ax+by=c(a, b, c는 정수)와 같은 꼴의 방정식이며, 디오판토스의 부정(不定)방정식 또는 부정방정식이라고도 한다그 해〔根〕로는 정수해 또는 유리수해(분수 ... ...
이전7657667677687697707717727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