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의 소산
독창적인 생각
상상력
창조력
창작력
d라이브러리
"
창의
"(으)로 총 1,126건 검색되었습니다.
놀이가 영재가 되는 지름길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2
평균 이상의 지적 능력을 갖고 있고, 그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강한 동기를가지며,
창의
적인 방법으로 그 능력을 보여 주는 어린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세 가지 능력을 다 가지고 있지만 잘못된 교육 때문에 능력을 잃는 어린이들도 많지요. 또한 또래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해 외톨이로 지내는 ... ...
14년 우정이 만든 빛
과학동아
l
200702
이런 남다른 애정은 자연스럽게 공동연구에도 영향을 준다.2005년 12월에는 제 교수가
창의
적연구진흥사업 연구계획서를 검토해 달라고 스위스에 있는 부총장에게 급하게 요청했다. 그런데 때마침 부총장은 미국에 사는 딸을 만나러 떠나려던 참이었다. 제 교수는 “이미 비행기 예약은 끝났고, ... ...
펨토초 레이저에서 탄생한 X선
과학동아
l
200701
3테라와트의 티타늄사파이어 레이저 개발에 성공했고 1999년 과학기술부에서 지원하는
창의
적연구진흥사업의 하나로 지정됐다.펨토초 레이저로 결맞는 X선을 얻는 방법은 이렇다. 먼저 펨토초 레이저 펄스를 헬륨이나 아르곤, 네온과 같은 기체 원자에 쪼인다. 이때 형성되는 강한 전기장은 기체 ... ...
역사를 바꾼 무기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8
큰 변화는 무기의 발전이었습니다. 돌보다 훨씬 단단하고 날카로운 금속으로 만든 칼과
창의
위력은 대단했습니다. 금속을 다루는‘제련술’과‘야금술’이 발달한 나라는 금속 무기의힘을 바탕으로 정복 전쟁을 시작합니다.제련술과 야금술자연 상태로 발굴되는 광석에는 여러 가지 불순물이 ... ...
나도 애니메이션 감독!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4
애니메이션 외에도 애니메이션의 종류는 무척 많답니다. 애니메이션은 인간의 상상력과
창의
력을 발휘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대상이니까요‘내가 바로 애니메이션의 원조야!’ 셀 애니메이션가장 많이 만들어졌고 친숙한 애니메이션. 우리가 텔레비전에서 보고 있는 대부분의 애니메이션이 셀 ... ...
달에서 월드컵이 열린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3
초등학생들 수준에서 가질 수 있는 과학 오개념과 관련된 내용도 이야기 되었습니다.
창의
적 발상과 나름대로의 이야기 전개는 자칫 과학 글쓰기가 SF에 머물 수 있다는 지적이 있었습니다.많은 어린이들은 장래 희망을 과학자로 정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과학 글쓰기를 통해 자신의 꿈에 접근할 수 ... ...
비밀의섬 '안보여도'의 육상대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3
무게는 800g일 때가 가장 적당하고 100g의 차이가 날때마다 역시 1m의 거리가 줄어든다.
창의
길이는 260㎝가 적당하고 10㎝ 차이마다 역시 1m가 줄어든다. 세 사람의 힘이 같다고 했을 때 각각의 조건에서 누구의 창이 가장 멀리 나갈까?❶머라도 지버던저 : 창 길이 260㎝, 무게 1㎏, 각도 45도❷한창해: 창 ... ...
미개척 전파에서 노다지 캔다
과학동아
l
200612
”10년 전인 1996년 권 교수는 미국 생활을 마치고 모교인 서울대로 돌아왔다. 1999년
창의
연구단에 선정되고, 올해 초 ‘젊은과학자상’을 수상하기까지 그의 행보는 거칠 것이 없어 보인다. 학생들이 보는 권 교수는 어떤 사람일까.연구단이 처음 생길 당시부터 함께 해 온 이상효씨(박사과정)는 권 ... ...
파킨슨도 깜짝 놀랄 초파리 연구
과학동아
l
200612
게다가 세포 수준이 아니라 개체 수준의 연구라 신뢰도가 높았다.정 교수는 2001년부터
창의
적연구진흥사업의 지원을 받아 파킨슨병뿐만 아니라 당뇨나 비만 같은 대사성 질환과 암의 유전적 요인을 밝혀왔다. 그 결과 지난 2년간 네이처 같은 저명한 학술지에 논문 7편을 발표할 정도의 성과를 ... ...
반도체에 심은 양자컴퓨터 씨앗
과학동아
l
200611
양자컴퓨터 연구의 격차를 5년에서 1~2년으로 줄였다는 평을 받았다.안 교수는 1997년
창의
연구단을 꾸리며 반도체에 양자컴퓨터 씨앗을 심었다. 씨앗을 터뜨리기 위해 밤낮 구분 없이 연구에 매진한 결과 SCI 등재 논문을 100편 넘게 발표하는 성과를 거뒀다. 2003년 드디어 반도체 1개로 큐빗을 만들어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