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
모퉁이
구석
모서리
어귀
길목
카메라앵글
d라이브러리
"
각도
"(으)로 총 1,544건 검색되었습니다.
체조에 만점이 없는 수학적 이유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때도
각도
가 중요하다. 수직에서 양쪽으로 10°까지는 감점하지 않지만, 10°를 넘으면 그
각도
에 따라 더 많은 점수를 잃는다.연기의 마지막은 내리기다. 안정하게 내려야 심판에게 깊은 인상을 준다. 무릎이나 다리를 어깨넓이정도로 벌린 채 내리면 0.10점, 이보다 넓으면 0.30점의 점수를 잃는다. ... ...
교육 선진국 스웨덴·핀란드 교사단, 한국에서 한 수 배우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있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구조물을 만들어 보라고 한다는 거야. 구조물을 만들다 보면
각도
나 길이에 대한 정의는 저절로 알게 된대. 영어를 잘하는 친구들은 직접 자신이 만든 구조물을 교사들에게 설명해 줬어. 교사단은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상상력이 뛰어나다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지. ... ...
두근두근 문구 발명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주기만 하면 돼. 이
각도
기를 이용하면 한 번에 도형의 모든 각을 잴 수 있어. 게다가 입체
각도
잴 수 있다구! 부채처럼 접히는 팔레트서명빈 (경기 하일초등학교 5)지금 쓰는 팔레트는 부피도 크고 필요 없는 부분까지 펼쳐놓고 있어야 해서 공간도 너무 많이 차지하는 것 같아.해결부채처럼 접히는 ... ...
3D 기술로 살아난 백제의 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슈타인비클러의 광학스캐너를 사용했다. 이런 3D스캐너는 빛을 반사시킨 뒤 되돌아오는
각도
를 읽어 물체의 표면 상태를 알아낸다. 레이저 장비가 흔히 쓰이지만 백제금동대향로는 반사율이 높은 금으로 만들어져 있어 광학스너를 쓰는 것이 더 유리하다.촬영은 국립부여박물관 수장고 내부에서 ... ...
게임 속으로 풍덩~ 내 몸이 게임기가 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팔꿈치나 무릎 등의 관절 위치를 알아낸다. 이들이 움직이는 방향과 정도, 관절이 꺾이는
각도
를 계산해 게임 캐릭터가 사용자와 똑같이 움직이게 만든다.다양한 인터페이스에 다양한 기능닌텐도는 센서를, 마이크로소프트는 영상을, 그리고 소니는 센서와 영상을 동시에 사용한다는 점이 다르다. ... ...
세계가 들썩이는 산업비타민 전쟁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다이오드(LED)의 형광체 역할을 한다. 구형으로 제작하면 빛이 균일하게 뿜어 나오고 보는
각도
에 따라 빛의 세기가 달라지는 현상도 줄어든다. 세륨 입자를 작은 구형으로 제작하면 반도체 표면에 광택을 낼 때 표면에 흠집이 생기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김 박사팀은 이 기술로 중국 특허까지 ... ...
도로 사용설명서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시작하기 전에는 경사도를 나타내는 주의표지판이 서 있다. 여기에 적힌 숫자는 자칫
각도
로 오해하기 쉽다. 하지만 경사도는 수평거리에 대 한 수직높이의 비율을 %로 나타낸다. 그림처럼 수평으로 d 거리만큼갈 동안 h 만큼 올라가는 도로라면 경사도는 (h÷d)×100(%)다. 예를 들어 수평으로 100m 가는 ... ...
거울은 숨은 그림 찾기의 달인?!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은 일반적인 시각에서 보면 대상이 뒤틀려 보여 무엇인지 분간이 가지 않지만 특별한
각도
로 보거나 곡면 거울에 비추어 보면 왜곡이 사라져 제대로 보이게 그리는 기법이다. 이 그림을 제대로 보려면 왼쪽에서 오른쪽 대각선으로 올려다보거나 원기둥 거울을 통해 보면 된다. 그러면 뒤틀린 대상이 ... ...
손바닥 안의 첨단 기술, 명함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훼손돼도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세 귀퉁이에 위치를 지정해주는 문양이 있어 어느
각도
에서 읽어도 상관없다. 별도의 비용 없이 명함에 인쇄만 하면 된다. 눈으로 QR코드를 보면 아무것도 알 수 없다. 복잡한 기호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명함에는 간단한 개인정보와 QR코드를 같이 ... ...
‘자연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알 수 있었을까. 법의학자들이 CAT스캔(X선 체축 단층촬영)으로 등에 박힌 화살촉의
각도
와 깊이를 분석했고, 위장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분석해 빵이 소화된 결과물과 봄에만 날리는 꽃가루 등을 찾아냈기 때문이다. 스미스소니언 교양과학 백과 시리즈 8권 ‘과학수사 법과학’에 실린 내용이다.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