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수"(으)로 총 1,328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산수의 산학유랑기수학동아 l2012년 08호
- 마다 $n$²개씩 더해 구하면 된다.케플러의 추측17세기 조선에서는 물건을 쌓아 물건의 총 개수를 구하는 것에 관심이 있었다면, 서양에서는 물건 사이의 빈 공간을 가능한 적게 만들어 물건을 쌓는 방법을 연구했다. 17세기 초 영국의 수학자 토마스 해리엇은 일정한 공간에 대포알을 가장 많이 쌓을 ... ...
- 7화 이상한 수학 세계의 비밀, 조금씩 밝혀지다수학동아 l2012년 07호
- 했다.“에잇, 진짜 별걸 다시키네.”“아, 주의할 점이 있네. 세 명이 팔아야 할 토마토의 개수는 다 다르지만, 토마토를 다 판 뒤 최종 판매금은 모두 똑같아야 하네. 그리고 한 번 정한 가격보다 가격을 깎아 줘서는 안 되고, 최종 판매금은 1000원 단위로 똑 떨어지게 갖고 올 것! 덤덤 형제가 ... ...
- 달콤한 기념일의 수,14수학동아 l2012년 07호
- 경우도 마찬가지다.따라서 아르키메데스는 이와 같이 정육각형을 기준으로 변의 개수를 2배로 늘리는 방법을 4번 반복해 정96각형을 만들었다. 그리고 여기서 얻은 원주율의 범위로부터 소수 둘째 자리까지 정확한 원주율의 근삿값 3.14를 구한 것이다. 지금으로부터 2000년도 훨씬 넘는 시대에 ... ...
- 어벤져스 대작전 대칭 몬스터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2년 07호
- 손도 못 대겠어.그러니까 수학계의 몬스터는 악당이 아닌 거지? 엄청난 대칭의 개수를 가진 도형으로, 수학의 중요한 두 분야인 대수학과 정수론을 이어 주고 있구나. 게다가 수학과 물리학을 넘나들며, 우주의 비밀을 풀 수 있는 열쇠가 되고 있어. 오히려 수학계의 영웅이라고 말할 수도 있겠는걸 ... ...
- 세계의 지하철 구조, 수학적으로 서로 비슷해수학동아 l2012년 06호
- 했다.그 결과 몇 가지 수학적인 관계식을 찾을 수 있었다. 역을 잇는 선의 개수는 대략 역 개수의 제곱근 값과 비슷했다. 또 핵 안에 있는 역의 20%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역과 연결돼 있다는 사실도 발견했다.연구팀은 “서로 다른 많은 지하철 노선도가 수학적으로 비슷한 구조를 띠고 있다는 결론을 ... ...
- 사건 X-파일 사라진 수학자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2년 06호
- 부위와 소품을 제외하고 얼굴형, 머리, 눈, 코, 입만 조합해도 나올 수 있는 몽타주의 개수는 2000조 개 이상이다. 이 정도면 웬만한 범인의 얼굴은 다 찾아낼 수 있다.최근에는 몽타주를 비롯한 각종 정보가 모두 디지털로 처리되면서 범죄 수사를 위해 수집되는 자료의 양이 엄청나게 늘어나고 있다. ... ...
- [정보] 부등식, 방향을 정하면 문제없어!수학동아 l2012년 06호
- 속력은 0≤y≤30이다’라고 표현 할 수 있어요.이처럼 생활 속에서 무게나 속도, 길이나 개수를 제한할 때 사람들은 주로 부등식을 사용해요. 영화 관람등급을 매기거나, 백화점이나 마트에서 사은품을 줄 때도 부등식이 쓰이지요. 아마 주위를 둘러보면 꽤 많은 곳에서 ‘부등식’을 발견할 수 있을 ... ...
- [정보] 돌고 도는 정다면체 순환의 비밀수학동아 l2012년 06호
- 입체도형정다면체는 각 면이 모두 합동인 정다각형으로, 각 꼭짓점에 모이는 면의 개수가 같은 볼록한 다면체를 말한다. 이러한 정다면체는 어느 방향에서 살펴봐도 도형의 모양이 같고, 완벽한 대칭 구조를 자랑한다. 그렇기 때문에 수학자들은 오래 전부터 정다면체를 가장 아름답고 완전한 ... ...
- "나는 초신성 박씨"과학동아 l2012년 06호
- 한다. 사람의 몸을 구성하는 주요 원소는 수소, 탄소, 질소, 산소, 황, 그리고 인이다. 원자개수로 치면 수소가 전체의 63%를 차지하고 질량으로 치면 산소가 전체의 26%를 차지하는 ‘짱’ 원소다. 그 외 철, 마그네슘, 나트륨(소듐)과 같이 작은 양이지만 꼭 필요한 원소도 여럿 있다. 그러면, 이런 ... ...
- [news focus] 포스텍 수학과 김민형 교수, ‘호암상’ 수상수학동아 l2012년 06호
- 정수계수 다항식의 문제로 일반화된다. 독일의 수학자 게르트 팔팅스는 유리수 해의 개수가 유한하다는 것을 밝혔고, 이 공로로 1986년 필즈상을 받았다.김민형 교수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유리수의 해를 찾는 방법을 제시했다. 이 때 김 교수가 생각한 아이디어는 바로 위상수학의 개념이다. 김 ... ...
이전7273747576777879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