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립"(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과학으로 통일을 준비한다! 반달가슴곰의 팩트체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안녕? 난 비무장지대 ‘DMZ’에 살고 있는 반달가슴곰이야. 최근, 남한과 북한의 사이가 좋아지고 있어서 어쩌면 가까운 미래에 한반도의 백두대간이 이어질 수도 있다고 들었어. 그럼 지리산에 사는 반달가슴곰과 백두산호랑이가 만날 수도 있대. 통일을 위해 과학자들도 준비 중이라던데…. 진짜 ... ...
- [팩트체크 2] 한반도에서 핵무기가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우와~, 남한과 북한의 정상이 만나 올해 안에 종전 선언을 하기로 했다니…. 정말 남북관계가 한 걸음 나아간 건 확실해 보이네. 그런데 판문점 선언문을 보니 ‘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핵 없는 한반도를 실현한다’고 해. 이게 무슨 말일까?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사라지다!“셋, 둘, 하나, 쾅!” ... ...
- [팩트체크 4] DMZ, 멸종위기종의 천국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사실 내가 가장 궁금해하는 소문은 따로있어. 이곳 DMZ가 생태학적으로 엄청난 가치가 있다는 거야. 이 소문도 정말일까? 65년 간 인간 없는 세상, DMZ한반도에는 65년 간 미스터리로 남아있는 지역이 있어요. 바로 폭 4km, 길이 248km인 비무장지대(DMZ)지요. 이곳은 남한과 북한이 전쟁을 멈추기로 하 ... ...
- 지하 1100m 땅속 실험실 최초 공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후보 입자로 여겨진다. 그러나 지금까지 윔프의 흔적은 1997년 이탈리아 그란사소 국립연구소의 ‘다마(DAMA)’ 실험에서만 유일하게 관측됐다. 이후 21년째 다마 팀이 관측한 신호가 정말 암흑물질인지에 대한 논란이 이어져 왔다. 지하실험연구단이 이끄는 ‘코사인-100 공동연구협력단’은 총 10 ... ...
- [팩트체크 1] 남북, 65년만에 평화로운 분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신문을 보니 남북 두 정상의 이야기로 가득해. 무슨 일이 일어난 건지 기사를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볼까? [2018년 4월 27일] 제3차 남북정상회담 결과, 판문점 선언 발표! “한반도에서 더 이상 전쟁은 없을 것이며 새로운 평화의 시대가 열렸음을 겨레와 세계에 엄숙히 천명하였다.”지난 4월 27일, ... ...
- [팩트체크 5] DMZ, 평화지대로 거듭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흠, 비무장 지대를 뜻하는 DMZ는 사실 완전한 비무장지대가 아니야. 아직 지뢰도 많고, 군인들이 감시하는 초소도 많아. 이 지역을 생태공원으로 바꾸는 일이 가능한 걸까? DMZ를 생태공원으로 만든 독일 ‘그뤼네스 반트’우리나라보다 먼저 통일을 경험한 나라가 있어요. 바로 ‘독일’이에요. ... ...
- [과학뉴스] 플라스틱 쓰레기로 만든 에어로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단단하며 단열성이 우수해 차세대 신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하이 즈엉 싱가포르국립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세계 최초로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에어로겔을 만들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페트(PET)병 소재로 미세섬유를 만든 뒤 이를 실리카로 코팅해 에어로겔을 만들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내년 과학 활동 미리 계획하기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준비하기보다는 겨울방학을 이용해 미리 준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전 대회 수상작은 국립중앙과학관 홈페이지(www.science.g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과학축전에 참가하는 것도 좋습니다. 올해는 8월 9~12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대한민국과학축전’이 열렸습니다. 과학 동아리 활동을 ... ...
- Part 1. 성분부터 구조까지 전격 비교 깃털 vs. 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색소 덕분이다.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면 이 차이를 단번에 확인할 수 있다. 이은옥 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융합연구실 선임연구원은 “깃털의 작은 깃가지 단면을 현미경으로 보면 케라틴 주변으로 멜라닌이 꽉 차 있지만, 이에 비해 털에는 멜라닌이 듬성듬성 있거나 아예 없는 경우도 있다”고 ...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깃털 구조, 디스플레이에 응용 깃털의 구조색 역시 생체모방의 주요 대상이다. 이은옥 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융합연구실 선임연구원은 “현재 많이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는 색상을 내기 위해서 별도의 컬러필터와 이를 구동할 전력이 필요하다”며 “구조색은 빛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전력이 ... ...
이전7273747576777879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