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억"(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 게임으로 충격을 치료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하면 작업기억 중 일부가 테트리스에 사용되지요. 즉, 테트리스를 하면 원래처럼 기억이 뇌에 생생하게 새겨지는 것을 방해할 수 있어요. 실제로 홈즈 교수는 2009년부터 여러 환자를 대상으로 테트리스 치료법을 연구해 효과를 봤어요. 2015년 연구에서는 교통사고 생존자가 사고 발생 6시간 이내에 ... ...
- [2018 여름캠프] 어서 와~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처음이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탐사는 처음인데, 송사리와 비슷하지만 그보다 덩치가 큰 버들치가 이름도, 모양도 예뻐 기억에 남는다”고 말했어요. 이어 “앞으로 버들치가 건강하게 잘 살았으면 좋겠다”고 소감을 밝혔답니다. 꽁꽁! 지하 46m 깊이에 종자를 보관하는 시드볼트세계 최초의 야생식물 종자 보관소 시드볼트 ... ...
- [특별 기고] 아르마딜로가 눈 앞을 총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닦다 현생종 중 가장 큰 설치류인 카피바라가 눈 앞을 뛰어가는 광경을 본 것도 즐거운 기억이다.사실, 포유류 동물들과의 만남은 위험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한밤중 야간조사를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는 우리를 보고 놀란 타피르(작은 코끼리 형태의 초식동물)에게 밟힐 뻔한 적도 있고, 야밤에 ... ...
- [팩트체크 5] DMZ, 평화지대로 거듭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잘 보존된 생태를 유지하는 것도 충분히 의미 있는 일이지만, 젊은 세대가 분단의 역사를 기억하는 데에도 중요한 장소가 될 테니까요. 앞으로도 친구들이 DMZ의 보전에 꾸준히 관심을 가져주길 바랄게요. #와, 실제로 DMZ가 생태공원으로 바뀐 적이 있다니 희망적인걸? 앞으로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코딩의 기본, 알고리즘을 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코딩펫과 놀면서 코딩을 배워 보세요!햄스터 모양의 코딩 로봇 ‘코딩펫’을 기억하나요? 코딩펫은 로봇과 함께 놀면서 코딩을 배울 수 있는 장난감이에요. 이번에 소개하는 건 2세대 코딩펫, ‘밀키’예요. 코딩펫 밀키는 감정 코딩, 사고력 카드 코딩, 창의력 프리 코딩 등 다양한 방법으로 ... ...
- [매스미디어] 수학 잘하는 법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분야인 ‘경제학 잘하는 법’으로 할 걸 그랬어요! 수학동아 : 반대로 보람 있거나 기억나는 순간이 있다면요? 최근에 어떤 독자에게 메일이 왔어요. 수학과에 진학하고 싶다며 진로 상담하는 내용이었죠. 그래서 수학 자문 담당 수학과 친구에게 상담을 부탁했어요. 친구는 수학과에 무척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최고의 학과’ 만드는 ‘최고의 학생’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과학자에 대해 찾아본 뒤 그가 쓴 책까지 다 읽었다. 이런 방식으로 공부한 덕분에 기억에 더 잘 남고, 더 재밌게 공부할 수 있었다. 그 결과 그는 수학과 과학 과목에서 우수한 성적을 유지할 수 있었다. 김 씨는 화학생물공학부의 장점으로 “넓은 분야를 배우는 만큼 연구실이 다양하고 선택의 ... ...
- [과학뉴스] 달팽이에게 기억 이식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인간의 중추 신경계에서 기억이 전달되는 과정은 비슷하기 때문에 기억이 전달되는 데 사용된 RNA의 종류를 알아낸다면 멀지 않은 미래에 알츠하이머병이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는 사람들을 치료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연자의 ‘아모르파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과학, 특히 수학에 후한 지원자였던 오스카르 2세는 자신의 생일을 맞아 사람들에게 두루 기억에 남을 행사를 고민하다 국제수학대회를 개최했습니다. 전세계 학자들을 대상으로 수학 분야에 4가지 문제를 냈습니다. 그중 하나는 ‘태양계의 행성들은 서로 잡아당기면서 공전하는데 과연 태양계는 ... ...
- [에디터노트] 1993년 ‘불수능’의 기억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에 ‘올인’해야만 했다. 올해 ‘불수능’ 논란에 오랜만에 25년 전 ‘불수능’의 기억을 떠올렸다. 당시 수능은 교육 정상화가 핵심이었다. 단편적인 지식을 암기하는 학력고사와 달리 문제 해결 능력과 판단력 등을 평가해 교육을 정상화시킨다는 게 수능의 목적이었다. 이는 지금도 유효하다. ... ...
이전7273747576777879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