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라"(으)로 총 4,411건 검색되었습니다.
- 갯벌 열대우림보다 훌륭한 탄소 저장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북한, 중국의 갯벌 면적이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알아보았죠. 그 결과, 약 40년 동안 세 나라에서 1/3이 넘는 갯벌이 사라졌다는 사실을 밝혔어요. 간척으로 갯벌이 농경지가 되었고, 그만큼 블루카본의 양도 줄어들었죠. 앞으로 더 이상의 갯벌이 파괴되지 않도록 많은 관심을 가져 주세요 ... ...
- [지구사랑탐사대] 바닷물고기 특별탐사! 첨벙첨벙 발 구르면~ 물고기가 파닥파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일부만 심해에 살아남아 유전자의 다양성이 낮은 편이랍니다. 또 연구실에서는 우리나라 바다에 사는 물고기의 유전자도 연구해요. 예를 들어, 동해와 서해의 전어는 서로 같은 종이지만 유전적으로 꽤 차이가 있다는 걸 발견했답니다.물고기, 너의 이름은?! - 김경화사람들이 바닷물고기의 정확한 ... ...
- 아인슈타인도 난민!? 과학자들이 난민을 돕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초 예멘인 500여 명이 제주도에 들어왔다는 소식에 온 나라가 들썩였어. 인터넷에는 난민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쏟아지고 있지. 그런데 많은 과학자들이 난민을 돕는다고 해. 난민 문제도 과학으로 풀 수 있을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아인슈타인도 난민!? 과학자들이 난민을 돕는 ... ...
- [도전!섭섭박사 실험실] 헉헉, 목말라... 깨끗한 물을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공기 중에 걸어두면 안개에서 물을 모으는 이 그물은 칠레와 네팔처럼 물이 부족한 나라에서 쓰일 수 있답니다. ㅗ어떻게 된 걸까? ☞결과 : 불순물이 걸러져 물이 깨끗해진다.흙탕물에는 흙과 모래를 포함한 작은 이물질들이 섞여 있어 뿌옇게 보여요. 이 흙탕물을 정수기에 부으면, 자갈의 틈을 ... ...
- 점점 늘어나는 난민, 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유엔난민기구가 수를 파악하기 시작한 이래 가장 큰 수치예요. 이제 난민 수는 우리나라 인구 절반에 달하는 2540만 명이랍니다. 2015년, 핀란드 데이터 전문가 빌레 사리넨은 엄청난 난민 수에 비해 사람들이 심각성을 못 느낀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북아프리카와 중동에서 유럽으로 가는 난민을 ... ...
- 21세기 아인슈타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제가 만난 난민 중엔 기자와 프로그래머 등도 있었어요.” 유엔난민기구 한국대표부 친선대사인 배우 정우성이 한 말이었어. 난민은 우리가 생각 ... 할 거예요. 또 예멘인은 언제든 일할 준비가 되어 있어요. 혜택만 누리는 게 아니라 거주하는 나라에도 큰 도움을 주고 싶어 한답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세계를 거미줄처럼 연결한다?! 해저 케이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케이블은 일반 기업이 설치하는 최초의 대륙 간 케이블이에요. 원래 해저 케이블은 각 나라의 통신 회사가 설치를 담당해 왔어요. 하지만 최근 동영상과 사진 등의 데이터양이 늘어나면서 이를 점점 더 빠른 속도로 전송하기 위해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등의 기업들이 해저 케이블을 ... ...
- [팩트체크 1] 남북, 65년만에 평화로운 분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선을 ‘경선’이라고 한답니다. 각 나라는 가까운 경선을 기준으로 시간을 정하지요.우리나라는 1908년 대한 제국에서 처음으로 동경 127.5°를 기준으로 표준시를 정했어요. 이후 남북이 분단되고, 남북 표준시가 수차례 바뀌다가 2015년 광복절 이후 한국은 동경 135°를, 북한은 127.5°를 기준으로 하는 ... ...
- [팩트체크 5] DMZ, 평화지대로 거듭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있었고, 2km 떨어진 지역까지 비무장지대로 정해졌지요. 이 길이는 총 1400km에 달해, 우리나라 DMZ 길이의 5배 이상이었답니다. 하지만 통일 이후, 독일의 DMZ는 거대한 생태공원 ‘그뤼네스 반트’로 탈바꿈했어요. 동독과 서독을 막고 있던 장벽을 없애고, 근처의 지뢰를 모두 제거했지요. 또 ... ...
- [프리미엄 리포트] 천리안 2A호가 뜬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거쳐 정상 서비스를 시작한다. 양 책임연구원은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는 일기예보를 위해 위성 데이터를 쓸 수밖에 없다”며 “천리안 2A호의 방대한 데이터를 수치예보 모델에 입력하면 더 정확한 일기예보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최 단장은 “정지궤도위성을 조립하고 ... ...
이전7273747576777879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