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d라이브러리
"
망원경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초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으로 3차원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인체에 유해한 전자선이 밖으로 새어나오지 못하도록 장비를 설계한 탓에 규모가 우주
망원경
만큼이나 크다.무엇보다도 HVEM만이 가진 중요한 장점은 시료의 입체 구조를 관찰하는 ‘틸팅 기능’과 극저온에서 시료를 관찰하는 ‘급속 동결 장치’다. HVEM은 시료를 여러 각도에서 찍어 3차원 구조를 ... ...
멤스 우주
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즉 일정한 영역을 감시하다가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가 나타나면,
망원경
전체가 아닌
망원경
안의 반사경이 순식간에 각도를 바꿔 메가번개가 발생한 곳을 포착한다. MTEL에는 초점거리가 다른 반사경이 2개 있다. 초점거리가 짧은 반사경(현상 포착 반사경)은 시야가 넓어 광범위한 영역에서 ... ...
자연 속의 역제곱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1등급 간의 밝기 차이는 1001/5=2.512배다. (나) 아래 그림은 밤하늘의 일부분을 대형
망원경
으로 관측한 것이다. 등급이 m인 별이 있을 때, 이 별보다 밝은 별의 개수 N(<m) 이 어떻게 변하는지 나타냈다. 별과 별 사이에 밝기를 감소시킬 물질이 없다고 하면, 별의 밝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해 ... ...
발명의 어머니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타비타 바비트는 1810년에 둥근톱을 개발해 특허를 획득했다. 1845년에 사라 마터는 잠수
망원경
과 램프를 발명해 해저 탐사 작업을 용이하게 했다. 영국 최초의 여성 엔지니어로 알려진 헨리타 밴시타트(1840~1883)는 스크루 프로펠러를 발명해 영국의 선박기술 발전에 기여했다.오스트리아 출신 여배우 ... ...
그래프 분석해 패턴 찾아내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20등급인 어두운 별도 관측할 수 있다. (나) 아래 그림은 밤하늘의 일정한 영역을 대형
망원경
으로 관측해 얻은 결과로 등급이 m인 별보다 밝은 별의 개수 N(<m)이 m에 따라 변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별과 별 사이의 물질로 인해 밝기가 감소되는 것을 무시한다면, 별의 밝기는 거리의 제곱에 ... ...
눈 깜짝할 사이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사라지는 우주의 메가번개까지도 관측할 수 있는 거죠. 이번에 개발된 차세대 우주
망원경
(MTEL)은 오는 4월, 소유스 로켓에 실려 우주로 발사될 예정이랍니다 ... ...
제2 지구 찾는 케플러 우주
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개발’ 사업을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5년쯤 뒤인 2014년까지 남반구에 2m급
망원경
을 설치해 우리 은하 핵 팽대부(bulge)에 있는 수천만 개의 별을 24시간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지구와 유사한 외계행성을 수십 개 이상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 ...
조지 스무트 이화여대 석좌교수 인터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세계 수준으로 향상시킬 계획입니다.”그는 특히 이화여대 창의연구단 ‘멤스(MEMS) 우주
망원경
연구단’에서 개발 중인 위성 탑재체(UFFO, Ultra Fast Flash Observatory)에 관심이 많다. 한국의 반도체 MEMS기술을 이용해 개발할 이 위성은 우주 최대 폭발로 알려져 있는 감마선 폭발의 초기 순간을 포착할 ... ...
[천문우주]포착! 4개의 위성이 토성을 가리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2월 24일, 위성 4개가 나란히 토성 앞을 지나가는 모습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허블우주
망원경
에 포착됐다. 4개의 위성이 토성을 가리는 광경을 찍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광경은 허블 광각 행성 카메라 2로 촬영한 12억 5000만km 떨어진 ‘토성 패밀리’의 모습이다.토성은 적도 부근에 원반 ... ...
별은 몇 쌍둥이까지 가능한가요?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이충욱 박사는 “육중성이 서로를 돌며 궤도 운동을 하는지 판단하기는 쉽지 않다”며 “
망원경
으로도 움직임을 발견할 수 없을 만큼 쌍성이 가까이 있다면 별의 스펙트럼을 분석하거나 스페클 영상을 찍어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스페클 영상은 대기 때문에 별빛이 흔들리기 전에 빨리 찍어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