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회
집단
회합
단체
그룹
무리
위원회
d라이브러리
"
모임
"(으)로 총 874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린이 과학교육의 새길 닦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더 편안한 곳'으로 느낄만큼 끈끈한 동료애와 치열한 문제의식으로 뭉쳐있지만 이
모임
에 참여하는 교사들에게 갈등이 없는 것은 아니다."이곳에서 느끼고 익힌대로 수업시간에도 아이들에게 개념전달보다는 과학하는 마음을 길러주려고 애쓴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시험과 성적이라는 것을 무시할 ... ...
2 통신공간을 통해 맛보는 새로운 세상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고 있다. '이야기'는 경북대학교 '하늘소'라는 컴퓨터연구
모임
에서 만든 에뮬레이터로서 그래픽문자를 지원한다. 최근 가장 인기를 얻고 있는 통신프로그램이다. 그 외에도 아주 다양한 에뮬레이터가 우리말 이름으로 나와있다.통신프로그램을 구하려면 용산 전자상가 ... ...
1 PC서브·케텔·인포서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있는 권한도 있다. 동호회 초기에는 제안자가 시솝을 맡아 자원봉사하는 경우가 많지만
모임
이 정착되면 민주적 절차에 따라 선출된다. 동호회에 따라 시솝을 보좌하는 부시솝을 두는 경우도 있다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전성시대를 구가했다. 이때 그의 휘하에 모여 그와 함께 황금시대를 구축한 작가들의
모임
을 '캠벨 학교'라고 불렀다. 원래부터 그들은 캠벨의 편집 방향에 공감했고, 20개가 넘을 정도로 스페이스 오페라잡지가 범람하는 가운데서도 스스로 자청해서 캠벨의 잡지에 원고를 가져왔던 신인들이었다. ... ...
해양계 탄소순환의 연결고리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유력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 일군의 과학자들은 89년 전세계적해양유동연구
모임
(JGOFS)을 결성하고 해양의 물리 화학 생태계 변화를 추적하기 시작했다.이들이 처음 조사를 시작한 곳은 북극과 그 일대의 바다. 이곳에는 해마다 5,6월경에 몇주동안 플랑크톤의 수가 평소보다 2~3배 많아지는 ... ...
벽지 어린이들에게 과학의 꿈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슬기를 되살리며 학부모와 학생들이 함께 4월의 별자리를 관측했다.이날 행사를 이끈 이
모임
의 대표 박종규 교사(예일국교)는 "앞으로 과학잔치를 원하는 벽지학교에서 연락을 해오면 찾아가겠다"고 밝혔다전국의 국민학교 교사 2백여명이 11년째 호주머니 돈을 털어 꾸려가고 있는 ... ...
1 애플에서 매킨토시로 좁스의 비전과 제록스의 아이디어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있었고, 가까이에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사람들이 널려 있었으며,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의
모임
도 쉽게 만들 수 있었다.이곳에는 온종일 신선한 과일주스와 피곤해진 엔지니어들을 위한 마사지 서비스가 제공되며, 긴장을 풀기 위해 피아니스트들을 초청해서 연주회를 갖기도 하면서 공유와 협동의 ... ...
4 컴퓨터의 언어장벽 허물어퍼지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membership function)로 집합 X의 각 원소들이 퍼지 집합 A에 속하는 정도를 나타냄으로써 이
모임
을 수학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퍼지 집합 A의 표현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다음과 같은 표현법이 대표적으로 쓰인다.A={(${μ}_{A}$(x),x) : xεX}위의 표현법으로 집합 X에서 '5 보다 훨씬 큰 수들의
모임 ...
PART Ⅰ 표피세포가 뇌의 출발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있다. 대뇌의 겉부분을 피질이라 하는데, 이것은 평균 2.5㎜의 두께로 신경세포체들의
모임
이다.대뇌의 주름은 동일한 부피의 두개골 내에 넓은 피질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주름을 폈을 때 피질의 면적은 대략 4천㎠에 이르는 엄청난 표면적이다. 피질에는 대략 1백50억개의 뉴런이 있는 것으로 ... ...
혜성·신성·변광성을 관찰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보았다면, 은하수가 흐릿하게 이어진 빛의 띠가 아니고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별들의
모임
임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화성 목성 또는 금성을 보면 이것들의 위치가 매일밤 변하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어떤 것을 선택할까?그러면 우리는 어떤 형태의 쌍안경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