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념관
진열관
자료관
미술관
뮤지엄
유적박물관
유적
d라이브러리
"
박물관
"(으)로 총 1,104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약 배낭로켓 메고 하늘 난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찾지 못하고 지금은 ‘아주 화려하게 등장했다가 이제는 사라진 운송수단 13’에 뽑혀
박물관
에 보관중이며 특별한 행사가 있을 때만 전시용으로 사용한다고 한다.구름을 산책하고 아파트 21층을 단번에 올라갈 배낭로켓의 시대가 도래하기 위해선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있다. 안전성의 문제, ... ...
최초의 새는 날개가 넷?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있었다는 연구결과인 셈이다.최초의 시조새 화석은 1백40년전 발견돼 현재 독일 훔볼트대
박물관
에 소장돼 있다. 지난 몇년에 걸쳐 나온 비공개 보고서들에 따르면 시조새 뒷다리에서 희미한 깃털 자국들이 발견됐다. 덴마크 코펜하겐대 동물학자인 퍼 크리스찬센 교수와 코펜하겐 지리연구소 ... ...
페름기 대멸종 일으킨 충돌분화구 호주서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때문이었다는 지금까지의 멸종이론과는 배치되는 것이다. 미 스미소니언 자연사
박물관
의 고생물학자인 더클러스 어왼 박사는 “이번 발견은 대멸종과 충돌이 관련 있음을 시사하지만 강력한 증거는 아닌 것 같다”고 평가했다 ... ...
마침내 다시 합쳐진 사자머리 조각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2개로 쪼개진 뒤 오랫동안 따로 보관돼 왔던 고대 유물이 한 전문가의 직감으로 시작된 국제적인 조사 끝에 다시 복원됐다.문제의 주인공은 ... 반쪽짜리 사자머리는 세프톤
박물관
으로 옮겨졌다. 제이콥슨 일가도 나머지 반쪽부분을
박물관
측에 기증해 결국 하나로 다시 합쳐질 수 있었다 ... ...
예술로 피어난 과학 식물세밀화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그 결과 많은 학자들이 우리나라의 식물 견본을 보러 일본이나 러시아 등 외국
박물관
을 찾는 아이러니가 벌어지고 있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대학은 돈이 되지 않는 이런 기초작업까지 돌볼 여유가 없는게 오늘날의 현실이다. 결국 이런 일은 국립수목원 같은 국가기관의 몫으로 ... ...
01. 맨틀에서 탄생한 한반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한반도의 땅덩어리는 언제 생겨난 것일까?한반도는 그 자체가 하나의 훌륭한 자연사
박물관
이다. 수십억년 전인 선캄브리아 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질시대의 온갖 암석이 망라돼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좁은 면적에 이만큼 다양한 시대의 암석이 공존하는 나라는 그리 많지 않다. ... ...
4억2천8백만년 전 세계 최고 육상동물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이 화석을 발견해 스코틀랜드 에딘버러에 위치한 국립
박물관
으로 보냈다. 에딘버러 국립
박물관
과 미 예일대의 고생물학자들이 공동으로 이 화석의 계통을 조사했다.발굴한 화석은 절지동물에 속하는 노래기였다. 이 노래기 화석은 숨구멍이 명확하게 나타날 정도로 잘 보존돼 있었다. 숨구멍은 이 ... ...
열대 곤충과 함께한 6일간의 정글 탐험 리포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지나다니고 나비들은 수면을 스치듯 힘찬 날갯짓을 한다.살아있는 열대 나비의 자연
박물관
정글 트렉킹을 하며 곤충을 찾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곤충이 울창한 열대우림이 우거져 있는 정글을 벗어나 굳이 사람들이 다니는 곳으로 나올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곤충을 관찰할 수 있는 ... ...
풍선 타고 우주 향하는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비행에 도전했는데 2002년 6번째만에 성공했다. 포셋은 미 워싱턴에 위치한 스미소니안
박물관
에 자신이 사용했던 곤돌라를 기증했다. 재미있는 사실은 이 곤돌라를 제작한 사람이 지난해 9월에 최고고도비행에 도전했던 엘슨이라는 것이다.포셋의 모험적인 삶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세계일주 단독 ... ...
광우병 그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쿠루병에 더 많이 걸렸던 것이다.1960년대 미국 과학자인 빌 하들로우는 웰컴 의학
박물관
에서 스크래피로 죽은 양의 손상된 뇌 사진을 봤다. 그리고 이것이 포어족 쿠루병 환자의 뇌와 비슷함을 발견했다. 2년 후 가주섹과 조 깁스가 쿠루병으로 사망한 환자의 뇌조직을 침팬지에 주입했더니 같은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