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각"(으)로 총 2,50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다단계 점프’로 화성에 간 인도과학동아 l2014년 11호
- 9월 24일 오전 7시 41분(현지 시각) 인도 남부 방갈로르에 있는 인도우주개발기구(ISRO) 지휘센터에는 긴장감이 흘렀다. 조금 전 인도 최초의 화성 탐사선 ‘망갈리안’이 화성 궤도로 진입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마침내 무사히 궤도에 진입했다는 신호가 도착했다. 인도가 아시아 최초이자 ‘화성 ... ...
- [hot science] 중생대 바다의 난폭한 주인, 해양파충류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오늘날의 부리고래처럼 사냥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물고기처럼 생긴 어룡은 시각이 매우 발달했던 해양파충류였다. 이들의 눈구멍은 매우 컸으며, 카메라 조리개처럼 생긴 얇은 뼈가 둘러싸고 있어 수압으로부터 눈동자를 보호했다. 눈이 가장 큰 것은 템노돈토사우루스(Temnodontosaurus )다. 이 ... ...
- [knowledge] 우주멀미는 괴로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도착했다.뿐만 아니다. 우리가 손을 뻗어 어떤 물체를 정확히 집어 올리는 것 역시, 시각이 3차원적 지각 능력을 발휘해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한쪽 눈을 가리고 물체를 잡으려고 하면 평소보다 어렵다는 것은 지구에서도 한번쯤은 겪어본 일이다. 그런데 무중력 상태에서는 ... ...
- [화보] 열매의 아찔한 유혹수학동아 l2014년 10호
- 롭 케슬러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어떤 계기를 통해 열매를 비롯한 자연과학을 소재로 시각 예술을 하게 되셨나요?어렸을 적부터 생물과 예술 과목을 가장 좋아했어요. 10살이 되던 해 아버지께서 빅토리안 브라스 현미경을 선물로 사 주셨는데, 그 덕분에 맨눈으로는 볼 수 없었던 자연과학의 ...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로봇윤리 개념을 최초로 세운 이탈리아 국립로봇연구원 장마르코 베루지오 교수는 이런 시각이 오해라고 말한다. 그는 “로봇윤리는 로봇기술을 반대하는 논리가 아니다”라며 “로봇기술의 긍정적 확산을 위해 우리가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지 논의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인류의 역사에서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가시권에 들 것이다. 어떤 풍경이 펼쳐질지 기대된다. 나는 내년 7월 15일, 지구 표준시각(UTC)으로 정오 무렵 명왕성 근처 1만3700km 지점을 통과한다. 지구로 치면 한국에서 브라질까지보다도 훨씬 가까운 거리다. 한 시쯤에는 명왕성의 태양 그림자 뒤를 통과해 그 후면을 관찰할 것이고, 다시 한 시간 ... ...
- [life & tech] 과학자와 예술가의 만남 2014 아티언스 오픈랩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했다.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여기에 호응했다. 예술과의 만남이 과학자들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봤다. 연구원은 작가들이 머물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기숙사와 사무실을 제공했다. 연구실을 돌아다니며 관심분야를 정할 수 있는 랩투어도 실시했다. 과학자의 장소로 예술가가 ... ...
- [career] 서울공대카페 21 조선해양공학과 “커다란 고래 같은 공학”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보통 외부 정보의 70%를 시각으로, 20%를 청각으로 얻습니다. 그런데 어두운 바다 속에서는 시각을 제대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어두운 동굴에서 박쥐가 길을 찾는 것처럼, 청각과 음파에 의지해 바다 속을 탐사해야 합니다.제가 학생 때 국내에는 수중음향을 연구하는 분이 거의 ... ...
- [과학뉴스] 5분만 기다려 택시 합승하세요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만 건을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해 분석했다. 지도에는 출발지와 도착지, 그리고 출발 시각과 도착 시간이 기록돼 있었는데, 이를 빅데이터 분석법으로 처리했다.분석 결과 전체 승객의 95%가 최대 5분만 기다리면 다른 승객과 택시를 함께 탈 수 있었다. 같은 목적지를 두 번 가는 수고를 덜자 운행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공간의 대수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직관을 키우려면 실수를 직선상의 점과 동일하게 여기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이런 시각적인 연습은 초등학교 수준에서 교육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된다.수를 길이로 해석하고자 할 때, 나는 학생들에게 가끔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한다. 직선상에 점 A와 B가 놓여 있으면 A+B를 정의할 방법이 있는가 ... ...
이전7273747576777879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