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세"(으)로 총 1,007건 검색되었습니다.
-
- 왜 생명과학자는 단백질에 유독 관심을 가질까과학동아 l2002년 01호
- 지난해 과학계는 인간게놈을 99% 해독해 인간게놈프로젝트가 거의 완성에 이르는 기쁨을 맛보았다. 그리고 이제는 인간게놈프로젝트 이후, 즉 포스트게놈 연구에 생명과학자가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그것은 바로 단백질 연구. 왜 단백질 연구가 포스트게놈 시대의 주역일까.2001년 한해 동안 과학계 ... ...
-
- 한국여성 과학계 참여 10%도 못미쳐과학동아 l2002년 01호
- 박사는 현재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으로 화학소재연구부 7팀장이다. 1982년 2월 연세대 이과대학 화학과를 졸업하고 1984년 2월 서울대 자연과학대학원 화학과 석사를 취득한다. 그리고 1990년 8월 미국 휴스턴대에서 화학과 박사를 취득했다. 이후 곧바로 휴스턴대에서 연구교수로 2년간 재직했다. ... ...
-
- 세균 감염으로 사망한 무균처리 선구자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수술법이 발전하는데 마취법과 무균법이 절대적인 공헌을 했다. 마취법은 수술시 발생하는 통증을 완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예로부터 알코올이나 아편(마약의 일종)을 이용해 수술의 어려움을 일부 해결했으며, 19세기에 들어서서 아산화질소(N2O), 에테르, 클로로포름 등이 마취 효과를 지닌다는 사 ... ...
-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생리·의학 - 세포분열 조절 메커니즘 규명과학동아 l2001년 11호
- 지난 10월 8일 노벨상 선정위원회는 미국 워싱톤주립대 부설 프레드 허치슨 암연구센터의 릴랜드 하트웰(Leland H. Hartwell) 박사, 영국 왕립암연구재단의 티모시 헌트(Timothy Hunt) 박사와 폴 너스(Paul M. Nurse) 박사 등 3명을 2001년 노벨 생리·의학상의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세포가 ... ...
-
- 자신의 팔목 묶어 혈액순환 증명과학동아 l2001년 11호
- 역사적으로 남들보다 뛰어난 사람은 한번에 세상을 뒤바꿀만한 업적을 남기곤 했다. 그러나 남들보다 앞서갔다고 해서 항상 좋은 결과를 얻은 것은 아니었다. 아무리 진보를 외치는 사람일지라도 자신의 혁신적 이론이 자신에게 손해가 되거나 신념에 어긋나는 경우에는 보수적으로 변하곤 했다. ... ...
-
- 1 탄생 : 원자 주무르는 초소형 로봇과학동아 l2001년 10호
- 인간은 확대현상을 발견하고 사물에 대한 시각을 점점 아래로 끌고 내려갔다.그리고 지금 원자현미경을 발명해 10억분의 1의 세계를 들여다본다.하지만 단순히 들여다보는 것만으로 끝나지 않는다.원자현미경은 나노세계를 조작하는 능력까지 갖고 있다.인류는 뛰어난 두뇌의 도움으로 다양한 도 ... ...
-
- 항암제 선두주자로 나선 제약계의 최고참 '동화약품'과학동아 l2001년 10호
-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 과정을 통해 어느 정도 투여해야 가장 효과가 큰지가 밝혀졌다.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등에서 진행된 간암 치료에 대한 임상 2상 결과 79.3%의 유효율을 보였다. 유효율이란 의약품이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를 보여주는 수치다. 보통 항암제의 유효율이 20-30% 정도고 50%만 돼도 ... ...
-
-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과학동아 l2001년 10호
- 면목이 갖춰지고 있다. 비록 외국의 선발주자들보다 늦게 시작했지만, 서울대,연세대, 세종대, 이화여대, 성균관대의 20여명 연구진은 우리 땅에서 우리 손으로 우주의 신비를 벗길 수 있는 연구를 한다는데 자부심을 갖고 열정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있다.다행인 점은 윔프가 있다면, 미국이나, ... ...
-
- 허준은 해부를 하지 않았다?과학동아 l2001년 10호
- 세계 최초의 해부도는 누가 그렸을까. 이 문제의 답을 이야기하기 전에 한가지 가정을 해보자. 고려 시대에 누군가가 인체를 해부해 해부도를 그렸다. 그는 아무도 몰래 무덤을 파헤친 후 시체를 해부했으며 자신이 본 것을 그리고 잘 봉한 다음 후손에게 5백년 후 뜯어보라는 유언을 남기고 세상을 ... ...
-
- 물리학자는 왜 대칭성에 주목할까과학동아 l2001년 09호
- 두 가속기에는 벨(BELLE, KEK)과 바바(Babar, SLAC) 두 실험그룹이 결성됐으며,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성균관대,경상대, 경북대의 6개 대학 약 20여명의 한국의 연구자들이 대거 벨 실험에 참여했다.두그룹은 1999년부터 실험을 시작했고 지난 7월에 각각 B중간자의 붕괴에서 CP대칭성 깨짐 현상을 ... ...
이전7273747576777879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