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삭제
절제
말소
폐지
금지
소각
철거
d라이브러리
"
제거
"(으)로 총 2,417건 검색되었습니다.
개코보다 더 개코 같은 돼지코의 비밀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냄새 분자보다 훨씬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병원체와 이물질을 인식해
제거
하기 위해 진화했다. 면역은 일정한 수의 유전자를 서로 재조합해 다양한 형태의 면역단백질을 만드는 방향으로 진화했다. 그러나 후각수용체 유전자는 다르다. 재조합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유전자 하나가 ... ...
가려움 알리는 세포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반응한다는 것을 가정하고 자극에 따른 쥐의 반응을 살폈다. 이후 MrgA3 세포를 완전히
제거
한 쥐를 같은 방법으로 고통과 가려움 자극을 주며 관찰했다. MrgA3 외에도 고통을 느끼는 세포가 있지만 가려움을 느끼게 하는 데는 오직 MrgA3 세포만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이 세포가 없는 쥐는 뜨거운 ... ...
떼려야 뗄 수 없는 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가장 강력하고 효과적인 수단은 락스”라고 답하며 “비누 때 성분은 산성에 의해 쉽게
제거
할 수 있기 때문에 유기산이 많이 들어있는 감자나 식초, 레몬도 유용한 방법”이라고 설명했다.때는 사실 알고 보면 매우 단순하다. 몸에서 나오는 분비물의 일종이며, 결국 떨어져 나갈 물질이다. ... ...
중력 역전 행성에서 캬캬족을 막아라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레이저 빔을 사용해 소행성들을
제거
해 주십시오.”“어떻게? 어떻게 소행성을
제거
하란 거야?”폴의 질문에 우주선은 화면 한쪽에 웬 좌표와 소행성들의 정보를 띄우더니 말했다.“10×10의 좌표에 소행성들의 위치 정보가 표시돼 있습니다. 좌표 오른쪽과 아래쪽에 적힌 숫자를 보고 소행성들의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변형을 일으키는 효소와, 변형을 인지해서 발현을 조절하는 단백질 그리고 이 변화를
제거
하는 효소가 차례로 밝혀지고 있다.암을 예측할 수 있다?암의 발생과 치료에도 후성유전학이 관여하고 있다.그 동안 다양한 암 유전자와 신호 전달 체계 등이 발견됐지만, 전체의 극히 일부에 불과했다.DNA ... ...
2013 눈길을 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솜이네 가족이 새해 첫 일출을 보러 동해로 가고 있어요. 떠오르는 태양을 보며 새해를 맞이한다는 설렘에 솜이는 추운 줄도 모르고 가족들과 신나게 이야기꽃을 피우고 있었답니 ... 눈을 20∼30m 밖으로 날려버려요. 또 400∼500도에 이르는 고온으로 눈을 순식간에 증발시켜
제거
하지요 ... ...
성스러운 생태계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옮겼다.더 이상 신들의 생태계가 오염되는 것을 방치할 수 없었다. 오염원은 즉각적으로
제거
되어야 했다. 성간 셔틀을 기다릴 여유가 없었다. 그는 자살했다. 그러자 죽음이 태어났다.행성 ED-042는 외부 방문으로부터 영구 격리, 차단되었습니다. 무인 탐색기들에 의한 간접 관찰에 따르면 한때 ... ...
골치 아픈 해파리, 로봇으로
제거
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8호
최근 얕은 바다에서도 해파리가 많이 나타나 문제예요. 해파리는 피서객에게 독을 쏠 뿐 아니라 양식하고 있는 물고기를 먹어 버리거나 그물을 공격해 골칫 ... 월쯤 상용화할 예정이에요. 해파리를 잡는 것은 물론, 원유 유출을 방지하거나 해양쓰레기를
제거
하 는 데에도 쓸 수 있답니다 ... ...
녹조비상! 물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7호
또 산화력이 높아 염소보다 미생물 살균에 더 효과가 좋아. 오존 처리시설을 거치면서
제거
되지 않은 아주 작은 유기물질은 2.5m 두께로 쌓인 활성탄층을 지나며 흡착되고 분해되지. 활성탄이 나머지 악취 물질을 모두 없애 주는 거야. 녹조 강물은 해롭지 않다?녹조를 일으키는 남조류 중 일부가 ... ...
어메이징 모기맨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4호
존스홉킨스대학교 말라리아연구소에서는 최근 얼룩날개모기의 특정 유전자가 말라리아
제거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복잡한 과정을 상세히 밝혀냈다. 말라리아를 옮기는 모기를 연구해 오히려 백신 개발에 한 발 다가선 셈이다. 세계적으로 2억 2천만 명이 넘는 말라리아 감염환자가 있다.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