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면
측
페이지
장
페이쥐
편
d라이브러리
"
쪽
"(으)로 총 6,767건 검색되었습니다.
방구석 무인도 체험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본책 8
쪽
과 함께 보세요! 바로가기 삼총사는 수학을 활용해 나뭇가지로 오두막을 짓고, 모스부호를 써 본부에 구조신호도 보냈어요. 우리도 삼총사처럼 무인도 체험을 해볼까요? ...
[통합과학 교과서] 갑자기 찾아온 추위가 무서워!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우리나라는 두 기압 사이에 있는데, 하필이면 두 기압의 바람 방향이 딱 맞아 떨어져 북
쪽
의 차가운 공기가 도로를 달리는 자동차처럼 우리나라로 쏟아져 들어왔어요. 이 두 가지 이유 덕분에 오랜만에 강력한 겨울 추위를 겪게 된 거예요.이때 마침 따뜻한 서해에서 다량의 수증기가 더해졌어요. ... ...
[매스크래프트] #15. 인공위성은 지구를 얼마나 빠르게 돌까?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그 비결은 바로 중력과 구심력입니다. 인공위성은 처음 로켓에서 분리되면서 지구 바깥
쪽
으로 날아가는 운동을 하는데 지구가 인공위성을 당기는 중력(구심력)이 작용하면서 원운동을 하게 됩니다. 과학자들은 중력과 인공위성의 구심력이 같아지도록 고도와 속도를 계산해 발사하죠.중력은 ... ...
20년 만에 실마리 찾았다! 4차원 궁극의 모양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씨우시옹 천과 중국과학원 수학과 빙 광 교수는 해밀턴-티엔 추측을 증명하는 120
쪽
이 넘는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두 사람은 5년에 걸쳐 n차원 켈러 다양체를 리치 흐름에 따라 변화시키면 기껏해야 (n-4)이하 차원의 특이점을 갖는 형태로 수렴한다는 것을 증명해냈습니다. 논문은 무려 6년의 검증을 ... ...
[한페이지 뉴스]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나팔 소리는?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뚫은 흔적을 발견했다. 나팔고둥의 겉면에서는 붉은 염료를 바른 흔적도 발견됐다.한
쪽
끝에 입술을 대는 취구를 연결해 연주를 재현해보니 C음과 C#음, D음에 가까운 음파 스펙트럼이 나타났다. 캐럴 프리츠 CNRS 선사시대예술연구센터장은 “깊고 독특한 음색을 가졌던 나팔고둥은 그동안 ... ...
AI 공학│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교수는 “사회적·윤리적 이슈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사실관계를 예측하는 AI가 한
쪽
으로 치우치는 문제도 AI 편향성에 포함된다”고 말했다.가령 공장의 폐쇄회로(CC)TV를 보고 사고 위험성을 예측하는 AI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 AI는 수많은 데이터를 학습하지만, 그 데이터 중 공장 폭발이란 결과에 ... ...
[특집] 수학으로 살아남아라! 무인도의 법칙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테니까요. 모두 외쳐! 무인도에서 살아남기도 역시 ‘매스 파서블!’ +놀이북 책 4
쪽
과 함께 보세요! 바로가기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특집] 수학으로 살아남아라! 무인도의 법칙Intro. 숫자로 보는 무인도Part1. 미션 1. 식량을 공평하게 나눠라! Part2. 미션 2. 나뭇가지로 집을 지어라!Part3. ... ...
[특집] 미션1. 식량을 공평하게 나눠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남도움 중 한 사람이 합친 바구니의 빵을 나누고, 나머지 한 사람이 나눈 빵 바구니 중 한
쪽
을 선택합니다. 이렇게 하면 모두가 불만없이 빵을 나눠 먹을 수 있어요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3화. 지명 수배자 삐뚤란을 찾아 그렁그렁 행성으로 출동!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놀이북 10
쪽
과 함께 보세요! 바로가기 지난 줄거리 ; 탑승해야 할 페가수스 호 대신 해롱 호에 타게 된 고딱지. 간신히 페가수스 호 선장과 연락이 닿았지만, 도깨비방망이와 융합된 고딱지의 코에서 주사위가 나오는 바람에 페가수스 호로 가게 될 기회를 놓치고 마는데…. 마침내 꿈에 그리던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15화. 파이데이와 군론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막론하고 여러 문명에서 원은 신의 상징, 혹은 완벽의 상징으로 여겨왔습니다. 어느 한
쪽
으로 기울지 않고 완전한 균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죠. 군론에서도 원은 아주 특별합니다. 대칭의 관점에서 보면 원은 완벽히 대칭적인 도형이기 때문입니다. 앞에서 본 정삼각형의 대칭이동은 6개였습니다.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