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참고"(으)로 총 1,90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지도를 만들 수 있던 비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바빌로니아 점토판에 쓰여 있는 길가메시 서사시에서 길가메시는 친구를 만나기 위해 저승으로 여행을 떠난다. 어디 있는지도 모르는 저승을 찾기 위해 길가메시는 어떤 준비를 했을까? 여러 가지가 필요하겠지만, 아무래도 길을 찾는 데 쓸 지도가 있어야 한다. 수천 년 전 바빌로니아에서는 어떤 ... ...
- [소프트웨어] 내 짝꿍을 소개하는 앱!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위해 준비해야 할 일,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수학동아 1월호 기사를 참고해 주세요. 만약 1월호가 없다면 수학동아 블로그(mathdonga.blog.me)에서 볼 수 있습니다.*앱인벤터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이렇게 하면 수동이에 대한 정보를 읽어주는 앱을 ... ...
- [Knowledge] 생각해선 안 될 것을 생각하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에세이에서 ‘종의 기원’과 관련된 유명한 일화를 소개했다. 이미 들어 봤겠지만 참고 들으면 고맙겠다. 다윈이 활동하던 시절, ‘펀치’라는 잡지에 실린 만평에서 두 귀부인이 이야기한다. “다윈 씨가 그러는데 우리는 모두 원숭이에서 유래했대요!” “세상에나! 그게 사실일 리 없어요! 그러나 ... ...
- 알면 알수록 신기한 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내 이름은 시계토끼, 이상한 나라를 지키는 멋쟁이 집사라고 할 수 있지. 얼마 전에 방문한 앨리스 때문에 이상한 나라가 한바탕 난리가 났었어. 그런데 앨리스 때문에 우왕좌왕하던 사이, 말썽쟁이 알 ‘험프티덤프티’가 도망갔지 뭐야~. 앨리스를 만나고 났더니 다른 세상이 보고 싶어졌다나 뭐 ... ...
- [지식] 어벤져스 vs 어벤져스, 그들만의 대결이 시작된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해서 란체스터 법칙이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건 아니다. 이론은 더 나은 선택을 위해 참고 정도만 해도 충분히 가치가 있다. 시빌 워를 보기 전에 란체스터 법칙을 포함한 나름의 방법으로 그들의 승부를 예측해 보자. 이전 시리즈까지 분석하며 다양한 변수를 함께 고려해 승부 결과를 예측해보면 더 ... ...
- [지식]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지난 3월 15일, 영국 옥스퍼드대 수학연구소의 앤드루 와일스 교수가 올해의 아벨상 수상자로 뽑혔다. 와일스는 오는 5월 24일, 노르웨이의 수도 오슬로에서 상을 받을 예정이다. 필즈상과 더불어 수학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이 상을 앤드루 와일스가 받는 것에 아무도 이견이 없을 것이다. 그는약 35 ... ...
- Part 3. 마르둑 신이 있는 목성을 찾아수학동아 l2016년 05호
-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여러 신을 섬겼다. 태양의 신 샤마쉬를 포함한 7명의 주요 신이 있고, 그 외에도 수많은 신이 있었는데 바빌로니아의 주신은 마르둑이었다. 마르둑은 목성과 관련 있는 신이었고, 바빌로니아인의 목성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행성보다도 특별했다.새로운 점토판의 출현올 ...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달린 고무물통을 잡고 날렵하게 직직 뿌리며 거북이처럼 느린 기자를 앞섰다(위 그림❺ 참고). 기자가 100개를 만들 때, 유 연구원은 600개를 만들었다. 이날 총 1000개의 초파리 밥을 만들었다.한 가지 재밌는 점은 초파리 밥의 레시피에 따라 초파리의 행동이 조금씩 바뀌기도 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 ...
- 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수천 년 전 지금의 이라크 지역. 두 개의 큰 강 사이에 비옥한 토지에서 살던 사람들이 있었다. 비옥한 토지 덕분에 일찍이 농사를 짓기 시작한 이 사람들은 달이 차고 기우는 것을 보며 달력을 만들었다. 이때 사용하던 숫자는 지금과는 조금 다르지만 정교하고 체계적이었다. 모든 기록은 흙으로 ... ...
- Part 1. 60배씩 커지는 단위의 정체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손가락이 10개라서일까? 우리는 10진법을 쓴다. 손가락 개수와 같아 셈하기도 무척 쉽다. 하지만 고대 바빌로니아인은 60진법을 썼다. 12진법과 10진법도 함께 사용했지만, 19세기 초반 발견된 약 500개의 바빌로니아 점토판에는 60진법을 나타내는 쐐기문자가 새겨져 있는 게 대부분이다.왜 바빌로니아 ... ...
이전7273747576777879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