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채택"(으)로 총 1,029건 검색되었습니다.
- 풀어쓰는 컴퓨터 역사③ 최초의 컴퓨터 에니악과학동아 l1991년 04호
- 개발하였다. 에드박은 진공관의 수도 4천개 정도로 줄였으며 전과정에 2진법 회로를 채택하였다.컴퓨터를 과학발전에 이용에니악에서 에드박으로 이어지는 순조로운 발전을 IBM사장 토머스 왓슨은 그냥 보고만 있을 수 없었다. 그는 IBM에서 에니악을 능가하는 '초대형 계산기'를 만들어 모든 ... ...
-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과학동아 l1991년 04호
- 내년도 서울대 입시판도를 크게 바꿔놓을 것이라는 얘기다.KAIST 학사과정은 무학년제를 채택하고 있으므로 대학을 3년 반 또는 3년만에 마칠 수도 있다. 실제로 그렇게 조기졸업을 한 사람의 수는 지난 해에 24명, 금년에는 19명에 이른다.생각보다는 적은 숫자인데 거기에는 이유가 있다. 졸업생들을 ... ...
- 에너지 위기의 대안 솔라카과학동아 l1991년 03호
- 고성능화를 꾀하고 있는데, 종래의 납배터리 대신 보다 가벼운 은-아연 배터리의 채택이 늘고 있다. 주변환경은 좋은 편아무튼 솔라카는 아직 실용화단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태양이 쨍쨍 내리쬐는 대낮에만 동력을 얻을 수 있고 밤에는 맥을 못 춘다는 것이 가장 결정적인 약점이다. 힘도 ... ...
- 1억년전 공룡의 뒷모습이 보인다과학동아 l1991년 03호
- 하고, 그 생존연대는 단기간이어야 하며(한마디로 굵고·짧게 산 종(種)이 표준화석으로 채택되기 쉽다), 진화의 속도가 빨라야 한다. 그 이유는 조금만 곰곰이 생각해 보면 자명해진다. 대표적인 표준화석으로는 암모나이트와 방산충 등을 꼽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지층에서 암모나이트가 ... ...
- 계산하는 기계를 좇아서과학동아 l1991년 03호
- 계산기를 완성했다. 본질적으로는 파스칼린과 같은 톱니바퀴식이었지만 이동식부품을 채택하여 곱셈과 나눗셈이 훨씬 쉽게 해결되었다. 이후 라이프니츠의 계산기는 여러사람에게 소개되었고 나아가서 러시아의 표트르대제에게 바쳐졌다. 표트르대제는 그것을 중국의 황제에게 선사했다. ... ...
- TV화면 보다 선명도 높인다과학동아 l1991년 03호
- 있다.최근에는 얇고 전력소모가 적은 액정 디스플레이가 랩톱이나 노트북 컴퓨터에 채택되면서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액정 디스플레이만 별도로 판매하는 제품은 아직 출현하지 않았다.모니터 사용시 주의해야 할 사항은 먼저 일정한 전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양질의 파워를 공급해야 ... ...
- 1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기계과학동아 l1991년 03호
- 일반화한 경우이고 단순논리는 퍼지 논리의 특수한 경우다. 따라서 퍼지논리를 채택한 시스템은 경비문제를 떠나면 단순논리의 시스템보다 최소한 같거나 더 나은 판단을 내릴 수 있다. 그러나 더 좋은 판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더 많은 경비가 필요한 법이다. 세탁기에서 어느 무게보다 무거우냐 ... ...
- 주변기기 활용법-마우스과학동아 l1991년 02호
- 1~3개까지의 버튼을 가지고 있다. 애플사에서 판매하는 매킨토시의 경우 하나의 버튼을 채택하고 있으며 그외의 다른 제품은 모두 2,3개의 버튼을 사용하고 있다.2버튼식의 경우 작동이 간단하고, 버튼 표면적이 넓어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으며, 크기가 작아 장시간 사용해도 피로하지 않다는 것을 ... ...
- 3. 중대형컴퓨터과학동아 l1991년 01호
- 다중프로세서 구조이며, 운영체제는 유닉스시스팀V를 바탕으로 한 소프트웨어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이 시스템의 하드웨어용량은 최대 20개의 CPU, 5백12MB의 주기억장치, 1백GB의 디스크 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최대 2백56명까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4개 업체들의 독자적인 국산 미니컴생산 계획을 ... ...
- 주변기기 활용법/ 한글카드과학동아 l1991년 01호
- 15비트를 5비트씩 나누어 초, 중 종성으로 할당, 하나의 문자를 표시한다. 모아쓰기를 채택하고 있어 적은 메모리를 사용하면서도 대부분의 한글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한글의 원리를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코드라고 말한다.가장 최근에 출현한 한글 코드는 지난 87년 국가표준코드(KSC 5601-1987)로 ... ...
이전7273747576777879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