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기"(으)로 총 3,318건 검색되었습니다.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트랙에서 달리기를 한다고 생각해보자. 출발선에 맞춰 정렬된 선수들이(정보를 저장한 초기상태) 신호가 울린 뒤에는 서로 다른 속도로 뛰어 정렬이 금세 흐트러진다(정보가 사라진다).그런데 출발 T초 후에 이 선수들에게 ‘뒤돌아 뛰어!’라는 명령을 내리면 어떻게 될까. 선수들이 각각의 트랙을 ...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위해 미국 텍사스대 클로드 루퍼트 교수의 연구실에서 박사과정을 시작했다. 박사과정 초기에는 실험이 잘 풀리지 않았다. 산자르 교수는 “동료 중 한 명은 나에게 터키로 돌아가 의사를 하는 게 낫겠다며 면박을 주곤 했다”고 회고했다. 하지만 누구보다 열심히 연구에 매진한 끝에 자외선에 ... ...
-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직접 제작해 본 경험이 있어 한결 만들기가 수월했다. 화성으로 올 때 NASA의 화성우주복 초기 모델인 NDX-1의 설계 파일을 가져왔다. 헬멧과 장갑을 우주복 외피와 연결하는 장치는 남겨진 우주복에서 떼어내 붙이면 된다.2010년 화성 우주복(NDX-1)의 사용성 테스트를 서호주의 눌라진 지역에서 ... ...
- 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현대 과학이 효능을 과학적으로 평가하는 연구방법부터 정착시켜야 한다. 천연물 연구 초기 단계부터 현대적 연구와 병행해 연구 효율을 높여야 한다. 천연물질을 대량생산하기 위해 생명공학적 방법을 활용할 수도 있다. 식물이나 동물이 만들어 내는 천연물은 아무래도 공장에서 만드는 화합물에 ... ...
- 인류의 시작부터 함께 한 학문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점을 잘 인내할 수 있는 사람이 유리합니다. 또 자원공학이라는 게 불투명한 사업이에요. 초기 투자비용이 매우 크니까 위험요소가 많죠. 이건 우리 학문이 가진 특성 중 하나예요. 이 부분을 잘 인내하고 학문에 정진한다면 좋은 인재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없다. 내년에 탄생 600주년을 맞는 김담은 장영실과 이순지, 이천 등의 계보를 잇는 조선 초기의 대표 천문학자였다.일식을 정확히 예측하다“역산을 정밀하게 하는 데 김담 같은 이가 없기 때문에 쓴 것인데, 무슨 불가함이 있는가.” 세종 31년(1449년), 임금은 부친과 딸의 연이은 죽음으로 고향에 ... ...
- [지식 유레카의 순간] 전구 속 그을음에서 탄 생한 진공관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만드는 일을 하고 있었다. 진공관으로 계산 속도를 높인 기계식 컴퓨터도 그중 하나였다. 초기 컴퓨터에서 진공관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논리 회로를 구성하거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역할을 했다.결국 1943년 5월 31일, 미 육군은 존 모클리 교수 연구팀과 계약을 맺고 새로운 컴퓨터를 만들기로 ... ...
- [Hot Issue]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있는 30kW급이고, 현재 200kW급을 개발 중이다.이 기업은 최근 현장 실험을 끝내고 상용화 초기 작업에 들어갔다. 미국국립과학재단(NSF)은 올해 2월3일, 알트에어로스 에너지스사에 700만 달러(한화 약84억 원)의 자금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NSF의 프로그램 매니저 벤 슈라그는 선정 배경에 대해 “쉽게 ... ...
- [Hot Issue] 조선시대에도 5차 방정식을 풀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물론 조선이나 왜에까지 달력을 반포했다. 수시력법은 원나라 세조 때의 역법으로, 세종 초기에는 이 역법을 이용해 절기를 계산했다. 하지만 원나라와 조선은 해와 달이 뜨는 시간, 지는 시간, 별의 위치 변화 등 모든 천문학적 수치들이 달랐다. 수시력법을 조선에 적용하기엔 오차가 너무 컸다.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아니라 우리와 별개의 종이며, 드마니시의 화석은 초기 호모 속과 별개의 종이다. 또 초기 호모 속 후보로 꼽히던 리 버거 교수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는 우리의 직계 조상이 된다. 이상희 교수는 “호모 하빌리스가 아시아로 확산해 거기에서 호모 에렉투스와 플로레시엔시스 조상으로 ... ...
이전7273747576777879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