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충족
충만
만족
흡족
배가득
만복
넉넉함
d라이브러리
"
충분
"(으)로 총 2,439건 검색되었습니다.
엔지니어의 이유 있는 자부심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좋겠다. 현대사회는 더 이상 ‘사농공상’의 시대가 아니기 때문에 엔지니어들은
충분
한 자부심을 가져야 한다. 2006~7년에 느낀 중국 칭화대 공대 학생들의 자신감과 일본 도쿄대 공대 학생들의 자부심에 필자는 무척 놀랐다. 좋은 전자기기를 남들보다 잘 사용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보단 남들보다 ... ...
PART 4. 신의 입자는 아직도 많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했던 연구는 모두
충분
한 수의 충돌을 일으켜 잉여 사건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충분
한 양의 데이터를 얻은 단계를 나타내는 통계 용어가 바로 ‘5시그마’다). 특히 LHC는 해마다 성능을 높여가면서(양성자 빔의 에너지를 높이고 양성자 뭉치의 밀도를 높였다-파트3 참조) 데이터의 양을 ... ...
말랑말랑 젤리 방탄복 나온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촘촘해야 총알이 방탄복의 올 사이를 비집고 들어오지 못한다. 물론 이렇게 가는 실이
충분
히 튼튼하지 못하다면 아무 의미가 없다. 이런 방탄섬유로 쓰기에 적합한 첨단소재로 강한 분자결합 구조를 갖는 ‘탄소 복합체’가 주목받고 있다.실제로 과학자들은 굵기는 머리카락의 100분의 1에 ... ...
과학특별시 열대해양탐사대 선발기!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모두 해양 지식과 관련 경험도 풍부하고 열정도 뛰어나, 모두 열대해양탐사대가 되기
충분
했습니다. 결국 기존의 과학특별시 활동과 미션, 면접 결과를 합산해 예정 선발 인원보다 2명 더 많은 총 4명의 합격자를 선발했습니다.합격된 4명의 친구들은 8월 18일부터 8박 9일간, 남태평양 미크로네시아 ... ...
극한광으로 보는 나노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극한광이어야 하는 이유를 또 다시 찾을 수 있었다. 10펨토초 정도의 짧은 시간만으로
충분
한 회절 신호를 얻을 수 있을 만큼 X선이 고출력이어야 하기 때문이다.[X선 회절로 얻은 정보를 컴퓨터 알고리듬을 통해 복원하면 실제 눈으로 보는 것 같은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의 이미지를 ... ...
수학·과학 외 영역도 챙기자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능력이 떨어지면 할 수 있는 일의 영역도 좁아져. 아직 중학교 2학년이니까 노력한다면
충분
히 나아질 수 있어.” 과학자도 다른 사람과 소통하지 않으면 공동연구도 할 수 없을 뿐더러 프로젝트를 따오는 것도 힘들다. 좀 더 나아가 점점 어려워지는 과학을 대중들에게 쉽게 알려 줄 수 있다면 ... ...
Part 2. 나만의 지구를 설계한다면? '지구설계사무소'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나중에 진짜로 지구를 지을 마음이 생겼을 때 저희 사무소를 찾아주시는 걸로
충분
해요.단, 예약은 꼭 미리 주세요. 저희는 외계생명체들에게도 인기가 많아 주문이 밀려 있답니다. 자, 그럼 저희가 설계한 대안행성들을 보시지요.혹시 갖고 싶거나 선물하고 싶은 모델이 있다면, 비용은 각오하셔야 ... ...
아이 러브 ♥ 고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주식으로 했습니다. 손바닥보다도 작은 크기의 초기 영장류는 과일과 이파리만으로도
충분
했습니다. 몸집이 비교적 작은 원숭이는 곤충이나 애벌레 정도 되는 동물성 단백질을 먹기도 합니다.하지만 오랑우탄이나 고릴라처럼 몸집이 큰 유인원은 거의 채식만 합니다. 거대한 몸집을 유지할 만큼 ... ...
대한민국 블랙아웃 초비상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생명을 구하기 위해 암 조직을 도려내는 외과수술에 비유할 수 있다.하지만 블랙아웃은
충분
한 발전량을 확보하고 있어도 발생할 수 있다. 천재지변으로 고압송전선이 끊어지거나, 전력관리시스템이 고장나도 전기 부족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럴 때는 즉시 문제가 생긴 전력망을 외부 ...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이란 이름의 차세대 고체로켓을 개발 중이다.일본은 가장 중요한 재돌입기술 역시
충분
히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1994년 일본은 오렉스란 이름의 우주개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우주공간으로 일단 로켓을 내보낸 뒤 로켓 상단부에 실려 있던 캡슐이 대기권을 뚫고 다시 지구로 돌아오도록 하는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