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천문"(으)로 총 765건 검색되었습니다.
- 50년 후 로봇도 세금낸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0111
- 지하 세계를 다스리는 신인‘플루토’라는 이름을 받는다. 실제로 명왕성은 대기조차 얼어붙는 매우 추운 곳이다. 그러나 2006년 국제천문학계는 명왕성이 크기가 너무 작고 공전궤도가 다른 행성과 다르다며 태양계 행성에서 퇴출시켰다. 1955년 1월 25일_ 미국 콜럼비아대학교 연구팀이 원자시계 개발 {tIMG_R11} 문명이 발전할수록 인간은 더 ...
- 해적왕 잭의 지도 정복기 (1)어린이과학동아 l20061228
- 지도의 창시자‘프톨레마이오스’ 무려 1500년 가까이 유럽인들이 그의 지도를 사용하게 만든 사람이 있다. 바로 2세기 중엽, 그리스의 천문학자이자 지리학자인 프톨레마이오스. 그가 150년 경 만든 세계 반구 지도는 거리나 표현에서 틀린 점이 많았지만 지구의 둘레를 360°로 나누는 경선과 위선을 표시해 근대적인 지도의 바탕이 되었다. 이 지도는 ...
- 매직 크리스마스! - 3개의 선물상자를 열어라 (1)어린이과학동아 l20061214
- 일식이나 월식 등을 예언했어. 그 결과 많은 사람들이 점성술사를 두려워하기도 했대. 하지만 이런 점성술을 하면서 별을 관측하는 천문학과 수학을 포함한 과학이 시작되었으니, 마술과 과학도 그리 먼 관계는 아니지? 세계의 마술사 빅(Big)10! 1. 로베르 후뎅(프랑스, 1805-1871) : 특기_사람 띄우기 근대 마술의 아버지로 불리며 최초로 ...
- 시민천문대를 방문한 우주신령어린이과학동아 l20060628
- ...
- 자연에서 숨은그림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060414
- 육각형이라는 사실은 이미 오래 전의 독서를 통해 알고 있다. 그러나 자세히 보는 건 처음이라 조금 떨린다. 독일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케플러는 1611년 추운 줄도 모르고 외투 깃에 묻은 눈송이를 바라보았다. 눈의 결정은 제각각 다른 모양이었지만, 꼭지점을 모두 연결하면 육각형이 되었다. 갑자기 케플러는 궁금해졌다. 왜 눈의 결정은 육각형인 ...
- 태양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060313
- 갖추고 이러한 재난에 체계적으로 대비하고 있다고 해요. 그러나 아쉽게도 우리나라에는 아직 이러한 예보센터가 없지요. 현재 한국천문연구원 태양우주환경연구그룹에서는 태양 활동 및 우주 환경 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하고 우주 날씨를 정확히 예보할 수 있는 우주환경예보센터를 마련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답니다. 앞으로 다가올 우주시대를 기대하며 9시 ...
- 태양과 계절의 변화어린이과학동아 l20060313
- 말하고, 북위 90°와 남위 90°는 각각 북극과 남극을 의미하지요. 경도란 지구를 세로선으로 나눈 것을 말합니다.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으로 하여 동쪽과 서쪽으로 각각 180°로 나눕니다. 이렇게 하면 위도와 경도를 사용하여 지구 위 어느 지역이든 위치를 표시할 수 있게 됩니다. 태양과 계절의 변화 이제 햇살이 정말 따뜻하게 느껴져요. ...
- 태양빛과 그림자가 알려주는 시간과 방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060313
- 그래서 대개는 어떤지역의 지방시를 전국이 공통으로 쓰게 되는데, 이것을 표준시라고 합니다. 세계 각국은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 0°로 하여 경도 15°마다 1시간씩 차이가 나는 표준시를 씁니다. 즉, 경도가 15°동쪽으로 옮겨지면 표준시는 1시간이 빨라지고, 서쪽으로 옮겨지면 1시간이 늦어지는 것이지요. 우리나라의 해시계들 해시계는 인 ...
- 1781년 3월 13일 윌리엄 허셜, 천왕성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060228
- 태양계 행성의 이름을 말할 때 주로‘수금지화목토천해명’이라고합니다.그중일곱번째행성인천왕성은1781년,윌리엄허셜이발견했습니다.허셜은자신이직접만든망원경으로관찰했으며, 이 발견은 천문학에 커다란 획을 그었습니다. 최근‘UB313’라는이름의행성에대해태양계의행성으로인정할것이냐는것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명왕성보다 큰 이 행성이 인정받으면 열 번째 태양 ...
- 설의 과학(1)어린이과학동아 l20060111
- 달의 날 수로 29일과 30일을 번갈아 사용해요. 이것은 달의 모양 변화의 주기가 29일 혹은 30일로 딱 떨어지지 않기 때문이랍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정확한 계산에 따라 2005년 음력의 11월과 12월의 날 수를 모두 29일로 정하였습니다. 이를 참고하지 않은 달력들이 음력 12월의 날 수를 30일로 잡아 실수가 생긴 것이죠. 설날의 풍속 ...
이전7273747576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