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이점
종차
뉴스
"
다른점
"(으)로 총 5,270건 검색되었습니다.
"1천200만년 전 유인원·인류 공동 조상 얼굴 형태 되찾았다"
연합뉴스
l
2023.10.17
연합뉴스 제공 20여년 전 스페인 북동부에서 발견된 유인원과 인류의 공동 조상인 '피에롤라피테쿠스 카탈라우니쿠스'(Pierolapithecus catalaunicus)의 두개골이 복원돼 본래 얼굴 모습을 되찾았다. 미국 자연사박물관과 브루클린대, 카탈루냐 고생물연구소 연구팀은 17일 과학 저널 '미국립과학원회보 ... ...
의대 정원 확충?...'응급실 뺑뺑이' 해결 vs 특정 진료과 기피가 더 문제
동아사이언스
l
2023.10.16
의대 정원이 당초 예상보다 큰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제공. 정부가 2025학년도 대입부터 의대 입학 정원을 최소 1000명 이상 증원하는 방향으로 의대 규모를 확대할 것으로 알려졌다. 16일 보건복지부에 의하면 정부는 19일 필수의료혁신 전략회의를 열고 의대 정원 확충안에 대해 발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양자점 상용화...끝없는 질문에 답 찾는 과정
2023.10.16
모운지 바웬디, 루이스 브루스, 알렉세이 아키모프(왼쪽부터). 노벨재단 제공 마블 스튜디오의 히어로 중에는 ‘앤트맨’이란 캐릭터가 있다. 앤트맨은 몸을 자유자재로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핌 입자’로 물체의 크기를 바꿔가며 악당을 물리친다. 2023년 개봉한 영화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 ... ...
30kg 이상 무게 버티는 친환경 접착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10.16
수소결합 기반의 비경화성 접착 소재가 33.4kg의 무게를 견디고 있다.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소량만 사용해도 30kg 이상을 버틸 수 있는 친환경 비경화성 접착 소재가 개발됐다. 한국화학연구원은 이상호 정밀화학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과 김병수 연세대 교수 공동 연구팀이 인체에 무해한 고분 ... ...
우주 탐사선 전력원 ‘원자력전지’ 성능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6
왼쪽부터 류병기·정재환·박수동 KERI 전기변환소재연구센터 연구원. KERI 제공. 우주 탐사선의 전력원으로 쓰이는 ‘원자력전지’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신 열전효율 공식’과 ‘고효율 적층형 열전발전소자’가 개발됐다.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박수동·류병기·정재환 전기변환소재연구센 ... ...
AI로 환자 통증 감지해 후유증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5
환자의 통증을 감지할 수 있는 인공지능 시스템이 개발됐다. Wasan Tita/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환자의 통증을 감지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시스템이 등장했다. 수술 전후와 수술 도중 통증 감지를 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의대 연구팀은 14일(현지시간) ‘미 ... ...
금속 소행성 '프시케' 탐사선 발사...지구핵 비밀 풀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23.10.15
금속이 풍부한 소행성 프시케를 묘사한 일러스트레이션. NASA 제공.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금속으로 된 소행성 ‘프시케’ 탐사선을 발사했다. 프시케는 현재 관측할 수 있는 유일한 금속성 소행성이다. NASA는 13일(현지시간) 오전 10시 19분 미국 플로리다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스페이스X의 최대 ... ...
[표지로 읽는 과학] 뇌질환 정복하려면 ‘뇌세포 연구’가 먼저
동아사이언스
l
2023.10.15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표지에는 ‘뇌세포 조사’라는 커다란 글자와 함께 알록달록하게 색깔을 입힌 뇌 이미지가 실렸다. 뇌 이미지는 사람 뇌의 좌반구를 묘사한 것으로, 다채로운 색깔을 더해 뇌가 다양한 뇌세포 유형으로 구성된다는 점을 형상화했다. 이번 주 ... ...
불멸의 세포 '헬라 세포' 70여 년 만에 보상받는다
과학동아
l
2023.10.14
헬라 세포는 1951년 헨리에타 랙스에게서 동의 없이 채취된 뒤 다양한 생명과학 연구에 활용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암, 독감, 그리고 노화까지 2009년 기준 6만 여 건의 생명과학 연구가 이 세포 하나로부터 출발했다. 헬라(HeLa) 세포 이야기다. 헬라 세포는 1951년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 헨리에 ... ...
역대 최대 규모 '뇌 세포 지도' 공개...뇌 기능, 분자 단위로 살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3
인간의 뇌세포와 설치류의 뇌세포를 비교한 연구 등 다양한 뇌 연구가 이번 주 사이언스지에 게재됐다. 사이언스 제공. 역대 최대 규모의 인간 '뇌 세포 맵'이 탄생했다. 인간 뇌가 작동하는 비밀을 뇌 세포 수준에서 연구할 수 있는 길이 열린 셈이다.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뇌의 비밀에 한발 더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