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학
문화
스페셜
"
문화과학
"(으)로 총 756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바이오 기업은 30점, CEO 욕심 버려야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0.04.28
“한국 바이오 기업의 연구역량을 선진국과 비교하면 80점쯤 될 겁니다. 그러나 사업화 역량은 30점에 불과합니다.” 대우증권 기업분석부에서 제약 및 바이오 분야의 애널리스트로 활약하고 있는 권재현 과장을 26일 만났다. 권 과장은 “한국 바이오 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전제하면서 ... ...
“여성 연구 인력 많아야 멋진 기업”
동아사이언스
l
2009.10.29
“과학을 선택한 인생이 행복해” 김은경 연세대 화공생명학과 교수 “어렸을 때부터 과학을 좋아했고 그래서 과학자가 되었죠. 오르내림도 있었지만 과학을 한 덕분에 평생 즐겁게 살았어요. 지금도 과학 하는 사람들과 만나면 ‘우린 참 행복하다’ ‘새로운 아이디어가 연구 결과로 이어진다’ ... ...
“부임 첫 해 5000만원 빚내 연구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0.13
미국하버드 의대 샹카 교수와 함께 한양대 RNAi 연구실에서 찍은 사진. 출처 : 한양대 “한 사람의 열 걸음보다 열 사람의 한 걸음이 중요해” “정상세포에게 치료약물은 오히려 독일 수 있어요. 현재 전 세계적인 추세는 어떻게 하면 표적세포에게만 약물이 작용하게 할 것이냐는 거죠. 약물전달도 ... ...
“국회에 생명공학자 의견 수렴할 의원모임 만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9.29
이상민 의원.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 enhanced@donga.com“민주주의란 서로 ‘합의’하는 것입니다. 토론하고 논의해 합당하면서도 통일된 의견을 만들어 내는 것이지요. 올바른 생명공학 정책도 마찬가지입니다. 정부와 국회는 물론, 과학기술자들도 서로 ‘이야기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지 ... ...
“BT산업 육성의 선결조건은 융복합에 강한 인재양성”
동아사이언스
l
2009.09.02
이세경 UST 총장“미래는 융합이 대세입니다. 특히 생명공학 분야가 그렇습니다. 신약개발 등 연구할 것은 많지만, 막상 제품화 되면 기계, 화학 전공자들의 할일이 더 많아집니다. 결국 융복합에 강한 인재가 바이오산업에 강할 수밖에 없지요.” 이세경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총장은 생명 ... ...
“생명과학은 창의성의 학문…융합형 인재 절실”
동아사이언스
l
2009.04.07
“생명과학은 연구성과가 사업으로 이어지기까지 동물실험과 임상실험, 정부기관 승인을 거쳐야하는 등 중간 단계가 많습니다. ‘인큐베이션’ 기간이 길어서 오랫동안 기다려줘야 하는 분야죠.” 1998년 ‘여성 생명과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의 1회 수상자 ... ...
이전
72
73
74
75
76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