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음
영혼
혼
넋
얼
두뇌
혼령
스페셜
"
정신
"(으)로 총 853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억을 위한 시간, 잠
KISTI
l
2015.10.10
뇌를 일깨우고 다음 날 다시 새로운 기억을 저장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적극적인
정신
활동이기 때문이다. 잠은 뇌가 낮 동안 수집한 기억을 정리하는 시간이다. 잠은 크게 렘(REM) 수면과 비(非) 렘(non-REM) 수면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가운데 깊은 수면을 의미하는 비렘 수면 중에는 느린 뇌파 수면 ... ...
다한증, 보톡스로 치료한다!
KISTI
l
2015.10.03
교감신경이나 땀샘 자체에는 조직학적으로 이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오히려
정신
적인 자극에 대해 피부의 교감신경계가 과하게 활성화되면서 땀샘이 자극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뇌의 시상하부 이상에 따른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치료는 가능하다. ... ...
창의적인 저녁형 vs 공부 잘하는 아침형, 당신은?
KISTI
l
2015.09.29
세브란스병원 김세주 교수팀도 얼마 전 아침형 인간(116명)이 저녁형 인간(123명)의
정신
적인 안정성을 분석해 외국 학술지 ‘기분장애’ 4월호에 공개했다. 논문에 따르면 우울증과 조울증은 저녁형에게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고 명랑하고 쾌활한 기질은 아침형에서 더 높게 나왔다. 스페인 ... ...
[만화] 오~ 진실이시여! 리플리증후군
KISTI
l
2015.08.25
자기가 재벌 2세라고 철석같이 믿고 산단다. 이 소설이 인기를 끌면서 리플리 같은
정신
과적 증상에 관심이 집중됐고 ‘리플리증후군’이라는 이름이 생겨난 거지. 이후에도 리플리증후군을 소재로 한 영화는 계속 만들어졌는데 아빠와 비슷하게 생긴 ‘알랭 드롱’이 주연한 1960년 작 ‘태양은 ... ...
종교는 과학을 도울 수 있을까?
2015.08.10
인간에게 종교까지 없다면 죽을 때 어떻게 편안하게 눈을 감을 수 있겠는가? 물론 강한
정신
의 소유자인 카뮈는 (그럼에도) “이성을 사용해 끊임없이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고 “신의 구원을 기대하지도 않을 것”이며 “바로 지금, 바로 여기의 삶에 충실한 것”이라고 말했지만.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신경계인데 셋 가운데 어느 것도 경락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서구의학의
정신
적 지주인 물리학(현대 의학장비의 상당수가 물리학 원리에 기반하고 있다)이 경락의 실체를 밝히겠다고 나선 것이다. 놀랍게도 이런 시도를 처음 한 사람들은 1960년대 북한의 의학자, 과학자들이었고 수년 ... ...
세계인이 사랑한 커피의 모든 것
KISTI
l
2015.07.07
즉, 커피의 부흥은 문예 부흥과 함께 시작된 셈이다. 커피를 마시면 졸지 않고
정신
이 또렷해지는 이유는 카페인이란 성분 덕분이다. 카페인은 뇌에서 피곤한 신경을 쉬게 하는 아데노신의 작용을 방해하여 이 같은 각성 효과를 불러일으킨다. 그런데 커피나무와 같은 식물이 카페인 성분을 ... ...
원전, 사람들 속에서 함께 소통해야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30
이사장 : 갈등과 대립의 소모적인 논쟁을 넘어서야 한다. 상생과 합의의
정신
으로 정책 결정에 국민참여를 확대하고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야 한다. 이에 우리 재단은 정책조사 기능을 강화하고, ‘로마클럽’과 같은 회의체를 만들어 에너지 백년대계를 논의할 계획이다. 또 지역사회의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마셨음에도 페텐코퍼는 콜레라는커녕 배탈도 나지 않았다. 책에서 저자는 “제
정신
이 아니었던 페텐코퍼가 콜레라에 걸리지 않은 일은 지금까지도 설명할 수 없는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고 쓰고 있다. 그러면서 “살인적인 세균들은 어디에나 있고 우리 몸속으로 숨어 들어온다. 그러나 우리들 ... ...
창조성의 대가는
정신
질환?
2015.06.15
그린 고흐의 그림(붓터치만 봐도 광기가 느껴진다)은 최고의 예술작품으로 꼽히는 반면
정신
분열증을 앓는다는 사실이 밝혀진 내쉬는 교단에서 쫓겨나고 노벨상도 병에서 회복한 뒤에야 수여된 이유다. 그러고 보면 위대한 예술가보다 위대한 과학자들이 더 대단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