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게놈기능제어연구단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선정돼 현재의 게놈기능제어연구단으로 이름이 변경됐다.올해부터는 성균관대 의과
대학
에 소속돼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박사후 연구원 3명과 박사과정 2명,석사 연구원 8명이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하루의 대부분을 연구실에서 보내는 연구원들은 빡빡한 연구일정으로 일어나는 운동부족을 ... ...
① 20세기 새로운 세계관의 출발 양자가설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그의 판단에 미친 영향이다. 우선 1899년 2월부터 제국물리기술연구소의 룸머와 베를린
대학
의 부교수였던 프링스하임은 흑체복사에 대한 더욱 면밀한 실험을 한 결과 높은 온도의 긴 파장에서 빈의 복사 법칙에서 벗어나는 현상을 발견하기 시작했다.그 뒤 계속된 실험에서 그들은 1900년 10월 12μ(1μ= ... ...
스티븐 호킹은 누구인가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호킹은 74년 32세의 나이로 최연소 영국왕립학회 회원이 됐다. 79년에는 케임브리지
대학
의 최고명예인 루카시언 석좌교수에 임명돼 현재 그는 뉴턴과 디랙에 이어 제3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호킹은 또 85년 폐렴 때문에 기관지를 잘라내는 수술을 받아 목소리마저 잃어 버렸지만 그동안 휠체어 ... ...
한번 슈퍼컴 영원한 슈퍼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사용된다.그렇다면 초기 컴퓨터의 성능은 어느 정도였을까. 1946년에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
에서 개발된 세계 최초의 컴퓨터인 애니악은 1만8천개의 진공관으로 구성된 그 당시 세계 최첨단의 계산기로서 집채만한 장비였다. 하지만 그 성능은 겨우 초당 3백60회의 연산만이 가능한 것이었다. 다시 ... ...
저절로 박자 맞추는 박수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의해 충분히 설명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그로부터 14년이 지난 1989년, 당시 MIT
대학
교수였던 스티븐 스트로가츠 박사는 페스킨의 모델이 수십개의 진동자를 연결한 상태에서도 동기화 현상을 보이는지 컴퓨터로 확인해보았다. 그는 축전기들 사이의 저항값을 모두 다르게 해, 일반적인 ... ...
컴퓨터 혁명 몰고 올 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컴퓨터보다 훨씬 빠른 실행속도를 갖는다고 밝혔다.이 연구는 스탠처드
대학
과 캘거리
대학
의 과학자들이 함께 진행했다.양자컴퓨터를 테스트하기 위해 암호해결에 사용되는 수학문제를 풀게했더니, 기존의 컴퓨터가 반복적인 과정으로 한참동안 처리해야할 문제를 단번에 풀어내는 능력을 ... ...
② 어린이, 노인 참여하는 체험형 과학관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하고 있다.실내에서 만들어진 대형 번개미국 동부의 보스턴도 하버드와 MIT 등 명문
대학
이 자리잡은 도시 답게 훌륭한 과학관을 갖고 있다. 19세기 말에 세워진 이 과학관은 그동안 꾸준히 전시품을 개량해 미국 전역에 설치된 과학관의 또 다른 모델이 돼 왔다. 이 과학관의 구호는 활동으로서의 ... ...
나눗셈으로만 해결하기 어려운 달력 개정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1년의 월수를 정하고 각 달의 날짜수를 정하는 것이 단순한 나눗셈의 문제는 아니다.이것은 달력을 바꾸려는 시도가 많이 이뤄진 것에서 알 수 있다.수천년 동안 지켜온 전통과 종교가 얽혀있는 달력 개정은 수학적인 단순함을 고집할 수 없는 예다.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달력은 1582년 교황 그 ... ...
플라즈마응용표면처리 연구실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있는 고경도의 물질을 도금하는 것이다.1972년 미국 로스엔젤레스에 위치한 캘리포니아
대학
의 번샤 박사가 1천℃이상에서 합성되는 고온 화합물인 고경도의 질화티타늄(TiN),탄화티타늄(TiC)을 5백℃이하의 온도에서 도금하는데 성공했다.이 기술의 핵심은 코팅되는 물질만을 수십만도의 플라스마 ... ...
무선통신의 창시자 마르코니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전파의 응용가능성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은 채 1894년 세상을 떠난다. 바로 이 해에
대학
에서 청강생이던 이탈리아 청년 마르코니는 헤르츠의 글을 읽고 전파를 전신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자신의 집에서 기기를 제작하며 실험에 몰두한 끝에 1895년 드디어 무선 송수신에 성공한다. ... ...
이전
767
768
769
770
771
772
773
774
7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