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에 엘니뇨 재앙 닥칠까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많이 내린다면 집중적으로 내릴지 여부가 확실치 않다. 무엇보다 날씨가 따뜻하고
눈
이 내리는 현상이 엘니뇨 때문에 발생하는지는 아무도 자신있게 얘기할 수 없는 사항이다. 왜 그럴까.올해의 엘니뇨는 세계적으로 금세기 최대의 기상재앙을 일으킨다고 알려졌다. 엘니뇨로부터 직접 영향을 받아 ... ...
카이로프랙틱 식물인간이 깨어난다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지식없이 사람들을 치료해온 탓에 카이로프랙틱이 많은 의료인과 일반인에게 좋지 않은
눈
으로 비춰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미국에서 카이로프랙틱대학은 이미 일반 의과대학과 유사한 교육과정을 갖추고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캐릭 박사처럼 과학적인 원리를 바탕으로 난치병에 도전하는 ... ...
처녀의 젖가슴이 큰 유일한 동물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섹스를 허락하고 상대의 아이을 낳아주었다. 이런 구도가 깨질 판이었다.그래서 암컷은
눈
에 잘 띄는 몸의 정면에 엉덩이의 둥그스름을 모방한 봉우리를 만들어 수컷의 시선을 끄는 방법을 고안해냈다. 이것이 인간 젖가슴의 기원이라고 한다. 만일 수유를 위한 젖가슴이라면 그렇게 크고 둥근 ... ...
12월은 컴퓨터 구입 최적기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LG전자가 `‘모빌리안’이라는 이름으로 한글 윈도CE를 내장한 휴대용 PC를 발표해
눈
길을 끌었다. 현재 양산 단계에 들어간 모빌리안은 한글 윈도95와 똑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작은 키보드와 펜으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고 내장된 28.8kbps 모뎀으로 PC통신도 할 수 있는 그야말로 휴대용PC다. 이에 ... ...
미래 자동차가 좇는 세마리 토끼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이러한 위험을 줄여주는 장치도 장착된다.그중 첫째가 졸음 방지장치. 운전자의
눈
깜박임 횟수와 얼굴의 각도를 항상 체크하는 카메라를 통해 운전자가 졸고 있다고 판단되면 자동차에서 잠을 깨워주는 방향제가 분출된다. 그래도 운전자가 잠을 깨지 않으면 경고음과 함께 자동차가 자동으로 ... ...
마차를 발명한 아테네의 왕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별들이 흩어져 있다. 세 성단은 모두 2천7백광년에서 3천7백광년 정도 떨어져 있다.IC405는
눈
으로는 잘 볼 수 없으나 사진으로는 쉽게 찍히는 성운이다. 이 성운은 속에 있는 6등급의 별(AE별)에 의해 빛을 내고 있다. 거리 1천6백광년. 이 별은 태양보다 수백배나 밝은 별로 오리온 자리의 성운 M42에서 ... ...
방사성 폐기물의 실체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있는 파동이나 입자를 말한다. 방사선은 냄새도 나지 않고 맛도 없고 손으로 만지거나
눈
으로 볼 수 없는, 즉 우리의 오감으로 느낄 수 없는 광선이다. 방사선에는 X선, 알파선, 베타선, 감마선 및 중성자선 등이 있다. 주변에서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자외선이나 적외선도 방사선의 일종이다. 강력한 ... ...
SF예언력은 어느 정도?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마술이 사회적으로 공인된다는 설정은 꽤 자주 등장한다.캠프(L.S. Camp)의 단편 ‘둥근
눈
의 야만인’(1992)에선 중국인과 콜럼버스가 거의 동시에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고, 해리슨(H. Harrison)의 장편 ‘에덴의 서쪽’(1984)은 과감하게 자연의 역사를 소급해 공룡이 멸종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지능을 ... ...
미디어왕국 꿈꾸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야심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방식, 전혀 다른 기술과 전혀 다른 구성으로 미디어 시장에 진출할 것이다. 비록 사용자
눈
앞에 보이는 단말 장치가 TV나 PC처럼 익숙한 장치일지라도 마이크로소프트는 새로운 미디어 시장의 선두 주자가 될 것이다.소프트웨어 뿐 아니라 정보 기술 분야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의 영향력은 이미 상상을 ... ...
2. 대권을 향한 손짓 그리고 얼굴표정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나선 후보들이 진실을 말하는지 여부를 알기 위해 유권자가 심장박동수를 측정하거나
눈
동자 크기를 확인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노규형소장(리서치앤리서치·정치심리학 박사)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좀더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한다.노소장은 “우리나라 TV 토론을 보면 후보의 하체가 책상에 ... ...
이전
769
770
771
772
773
774
775
776
777
다음
공지사항